부산고속철 재협상 "더 이상 미룰수 없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노무현 대통령이 환경문제 등으로 논란을 빚어 온 경부고속철도에 대해 공사 중단 및 재협상을 지시한 이후 공사지연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노선 변경을 주장해온 종교계와 환경단체는 문제해결의 물꼬를 틀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반면 고속철 조기개통 입장을 보였던 부산시·상공계 등은“부산항 물류수송계획에 차질을 빚어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주게될 것”이라며 걱정하고 있다.

오거돈 부시장은 “경부고속철도는 동북아 물류 거점 확보를 위한 핵심 국책사업”이라며 “환경 훼손을 최소화 하면서 고속전철이 빠른시일 안에 재개될 수 있도록 건교부와 시민·종교단체간의 재협의가 신속하게 추진돼야 한다”고 밝혔다.

건설교통부 신동춘 고속철도기획단장은 “천성산·금정산 통과 노선은 여러 가지 대안 중 최선의 노선을 정한 것”이라며 “기존 노선을 포함해 전문가들의 과학적인 검증을 거쳐 합의안이 마련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신 단장은 “노선을 변경할 경우 기본·실시설계,환경영행평가,자치단체협의 과정 등 준비단계만 7년 이상 소요된다”고 덧붙였다.

부산경제살리기운동 시민연대 박인호 의장은 “경부고속철도는 지역 문제가 아닌 국가적 차원의 문제인만큼 계획대로 건설돼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상의 성병두 부회장은 “경부고속철도 건설은 부산지역의 발전과 물류문제 해결을 위해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없는 상황”이라며 “금정산·천성산 등의 환경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하고 가덕도 부산신항 개장에 맞춰 차질 없이 개통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문재인 민정수석은 7일·8일 이틀간 부산을 방문,시민단체 대표와 고속철도 관계자 등을 만나 8개월째 결렬됐던 민관협의체를 재구성해 대안노선 등 환경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키로 합의했다.

그러나 시민·종교단체와 환경운동단체 등은 부산고속철 노선을 금정산·천성산을 관통하지 않는 다른 노선으로 바꿔야한다는 입장이어서 난항이 예상된다.

문수석은 또 8일 오전 부산시청앞에서 부산고속철 백지화를 요구하며 단식농성중인 지율스님을 만나 “부산고속철에 대해 기존노선을 포함해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며 단식을 중단하도록 설득했다.

이에 대해 지율스님은 “기존 노선을 완전 백지화 하지 않는 상황에서 단식을 풀 수 없다”고 말했다.

허상천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