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봄 일본 올 드론, 북·중 감시 다목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6면

‘글로벌호크 드론(무인정찰기)이 북한과 중국에 관한 정보를 수집한다’.

 워싱턴포스트(WP)는 4일(현지시간) 일본 도쿄에서 열린 미·일 안전보장협의회(외교·국방장관 회담) 결과를 전하며 드론 배치의 의미를 자세히 전했다. WP는 미 당국자가 수행기자단 간담회에서 밝힌 내용이라며 “내년 봄부터 배치될 드론의 주요 임무는 북한 인근을 비행하며 군사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글로벌호크 드론은 현재 괌 기지에도 배치돼 있다. 하지만 이 당국자는 “괌에서 북한까지는 거리가 너무 멀고 악천후가 잦아 작전을 펴는 데 어려움을 겪어왔다”며 “일본 배치는 이런 고민을 해소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일본 어느 기지에 배치할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북한이 지난해 장거리 로켓 발사에 성공한 뒤 미국은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이용한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해 왔다. 미사일 요격기지를 괌에 추가 배치키로 한 게 대표적이다.

 드론의 일본 배치는 그 연장선이다. 미국은 또 P-8 해상초계기도 올 12월부터 일본에 배치하기로 합의했다. P-8 해상초계기의 해외 배치는 처음이다. 그만큼 미국은 전방위적으로 북한을 에워싸고 있다.

 특히 미 정부가 북한을 타깃으로 삼고 있다고 밝혔지만 드론, P-8 해상초계기, 미사일 감시시스템인 X밴드 레이더 등의 일본 배치는 중국까지 겨냥한 다목적용이라고 WP는 전했다.

 한번에 28시간을 비행할 수 있는 글로벌호크 드론의 경우 중국과 일본이 영토 분쟁을 벌이고 있는 센카쿠(尖閣)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는 물론이고 중국 해상까지도 감시 범위에 넣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존 케리 국무장관은 “이 지역에서 우리는 다양한 종류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고 말했다. 한반도를 둘러싼 긴장은 미·중·일이 벌이는 무력시위로 점점 확대되고 있다.

 일본 언론들은 미·일 양국이 중국 문제에 있어서는 적지 않은 이견을 보였다는 해석도 내놨다. 아사히(朝日)신문은 이날 “미·일의 외교·국방장관 회담(2+2)에서 미국은 융화를 모색하려 하고, 일본은 중국에 대항하려 하는 동상이몽의 신경전이 벌어졌다”고 보도했다. 실제로 센카쿠를 둘러싼 공동발표문 작성에 가장 오랜 시간이 걸렸다.

워싱턴·도쿄=박승희·김현기 특파원

관련기사
▶ 日 손 들어준 美 때문에…한국, 뜻하지 않은 상황에 놓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