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핵 평화적 해결 촉구" 결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제13차 비동맹운동(NAM) 정상회담이 "유엔의 승인 없는 이라크 공격에 반대한다"는 내용의 성명을 채택하고 25일 폐막했다.

말레이시아의 콸라룸푸르에서 24일부터 이틀 일정으로 진행된 이번 정상회담은 이라크 사태와 북한 핵문제를 주요 이슈로 다뤘다.

폐막 성명에서 NAM 정상들은 "이라크가 유엔 무기사찰단의 조사에 적극적으로 응하고 대량살상무기를 파괴할 경우 이라크에 대한 경제제재를 해제하라"고 촉구했다.

또한 미국이 북한과 이란.이라크를 지칭하는 표현인 '악의 축'용어를 거부하며 "이는 테러리즘에 대처한다는 구실로 다른 국가들을 겨냥해 사용하는 심리.정치적 테러리즘의 한 형태"라고 비난했다.

NAM 회원국 중에는 앙골라.카메룬.칠레.시리아 등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이사국인 6개국이 포함돼 있어, 이번 성명은 미국의 대이라크전 수행에 또 하나의 걸림돌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편 북한 핵문제는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사실과 NPT 참여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데 그쳤다. 북핵 관련 결의 최종안은 최근 한반도 사태의 진전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고 "관련 당사국들은 평화적 해결을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라"고 촉구했다.

당초 결의안에는 북한의 NPT 복귀를 촉구하는 내용이 포함됐으나 북한의 반대로 최종 단계에서 이 부분이 삭제됐다. 북.미 간 분쟁의 원인이 미국 측에 있다는 북한 측 주장도 생략됐다.

1955년 중립 독자노선을 표방하고 창설된 NAM은 1백16개 회원국 대부분이 아시아.아프리카.중남미 등 제3세계 국가며 미국이 악의 축으로 규정한 북한.이라크.이란도 회원국으로 등록돼 있다.

신은진 기자.외신종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