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9년 독도 해양기지 추진하다 무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관측자료를 세계기상기구(WMO)에 제공해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전 세계에 알린다."

해양수산부가 1999년 5월 한국해양연구소에 의뢰, 작성한 '독도 해양과학기지 구축사업 보고서'에 나온 독도 기지의 활용 계획이다. 기상 자료를 전 세계에 제공하면서 독도의 실효적 지배를 자연스럽게 알릴 수 있다는 생각이다.

독도를 중간수역에 남게 한 98년 한.일 어업협정 체결을 전후해 정부의 독도 기지 건설 계획은 상당 부분 진척됐다. 20일 입수된 보고서에 따르면 정부는 독도 권리 확보와 쓰나미 같은 재난 방지 등을 위해 독도에 기지를 만들기로 했다. 연구진은 독도 주변을 탐사해 독도 북북서 900m 지점 해상을 최적지로 결정했다. 기지는 2층 구조(72평)로 4인용 침실과 회의실.화장실 등을 갖춘 것으로 설계됐다. 그러나 계획은 성사되지 않았다. 연구에 참가했던 한 인사는 "1년 정도 작업을 진행했는데 정부 방침이 바뀌면서 일이 중단됐다"고 말했다. 한 정부 관계자는 "일본과의 관계를 염려해 그런 결정을 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문제를 추적해 온 전종민 전 한나라당 부산시당 정책부장은 "독도 기지 건설이 무산된 것은 '일본 눈치보기'의 결과"라고 주장했다.

강주안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