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실 4단지 재건축 늦어진다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11면

서울 송파구 잠실 주공4단지 아파트 재건축 관리처분 총회가 무산됨에 따라 사업지연이 불가피하게 됐다.

잠실 주공4단지는 지난해 4월 잠실저밀도지구 5개 단지 가운데 가장 먼저 사업승인을 받았고 지난해 5월 이주를 시작해 현재 이주가 거의 끝난 상태다.

이 단지 재건축조합(조합장 문동렬)은 지난 22일 오후 2시 잠실학생체육관에서 관리처분계획안 통과를 위한 조합원 임시총회를 소집했으나 서면결의서를 포함해 전체 조합원 2천2백94명 중 1천11명이 참석하는 데 그쳐 정족수 미달로 무산됐다.

관리처분 총회는 조합원들의 평형 배분과 추가부담금 등을 결정짓는 자리로 전체 조합원의 과반수 참석과 과반수 찬성 요건을 갖춰야 한다.

그동안 추가부담금 과다를 이유로 재건축조합 측에 반기를 들어온 비상대책위원회(이하 비대위)도 이날 송파구민회관에서 조합원 1천2백24명(서면결의서 3백60명 포함)이 참석한 가운데 임시총회를 개최했다. 비대위는 이날 참석 조합원 만장일치로 ▶기존 조합장과 임원을 해임하고▶현 조합집행부와 시공사(삼성물산.LG건설)가 제시한 관리처분계획안을 부결키로 결정했다.

하지만 현 조합 측이 비대위의 임시총회가 조합 정관규정에 의해 소집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들어 소송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양측의 대립이 심화할 조짐이다.

비대위는 그동안 강남구 도곡 주공아파트와의 형평성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왔다.

잠실 주공4단지 17평형과 대지지분(19평)이 같은 강남구 도곡 주공 저층 13평형은 33평형에 입주할 때 2천만원 정도 환급받는 반면 자신들은 34평형에 입주할 때 6천5백만여원을 추가로 내야 한다는 것.

도곡 주공은 공사비가 평당 2백49만8천원이지만 잠실 주공4단지는 2백66만원으로 높고,아파트 지하에 96억원 상당의 모래가 묻혀 있는데 이 가치가 반영되지 않았다고 비대위는 주장해 왔다.

이병준 비대위 공동위원장은 "33평형에 입주하는 조합원의 추가부담금을 없애는 게 목표며 이르면 2~3개월, 길어도 6개월 안에는 협상이 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시공사 측은 비대위의 주장은 현실성이 떨어지며 공사비 인하 여지도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LG건설 관계자는 "조합원에 제공하는 새시와 가전제품을 없앨 경우 도곡 주공 공사비 수준으로 줄일 수 있지만 그 이상 떨어뜨리면 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밖에 없다"며 "일반분양가를 평당 1천1백만원대에서 평당 1천3백만원대로 높인다 해도 조합원의 부담금은 1천만원 정도 떨어지는데 그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송파구청이 분양가 인상에 반대하고 있어 분양가를 평당 1천3백만원 이상 올리기는 쉽지 않다는 게 시공사 측의 설명이다.

잠실에서 첫 일반분양을 하는 주공4단지가 분양가를 올리면 다른 단지들도 잇따라 분양가를 인상할 가능성이 커 이 단지의 분양가 인상 여부가 주목된다고 전문가들은 말하고 있다.

서미숙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