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 마더 … 빅 브러더처럼 어린 자녀들 감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8면

‘빅 브러더’가 ‘빅 마더’를 낳은 형국이다. 공적 영역에서 활용돼온 감시체계들이 민간으로 전이돼 부모가 어린 자식을 감시하는 산업이 미국·유럽에서 급성장하고 있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자녀가 온라인으로 포르노 영화를 시청하지 못하게 하는 필터 프로그램이나 타인에게 괴롭힘을 당하는지 집 안 등에 감시카메라를 설치하는 정도였다. 하지만 최근 아이들의 인터넷 접속기록을 체크하고 e메일·메시지를 열람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수십 종 개발됐다. 청소년 자녀에게 차를 사준 부모는 원격 감시장치로 자녀가 차를 몰고 어디를 다니는지 또는 가속·코너링 등 운전습관을 체크한다. 비자와 마스터카드는 자녀들이 어디서 돈을 쓰는지 부모가 바로 체크할 수 있는 선불카드 서비스를 출시했다.

 이에 대해 어린이가 부모로부터 사생활을 보호받을 권리를 명기한 유엔 아동권리협정이 훼손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시민단체 ‘빅브러더 워치’의 닉 피클 국장은 “ 어린이에 대한 감시가 정당화된다면 성인의 사생활 보호는 왜 당연시돼야 하는가”라고 말했다.

 페이스북 계정을 이중 개설하는 등 대응하는 아이들의 잔꾀도 진화하고 있다. 사진 등 데이터가 15초 후 자동 삭제되는 서비스 등 ‘아이들을 위한’ 시장도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이충형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