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 속의 내분…영화계|영협·제협 불화 표면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위기에 빠진 한국영화의 활로를. 찾자는 지난 12일의 영화인 전체대회와 때를 같이해서 영화제작자협회는 영화인대회의 결의사항을 뒤엎는 한국영화산업 진흥협의회의 창립지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영화계는 한층 혼선을 빚어내고 있다.
「영화산업성조금」제도를 실시 자립 자활의 길을 찾자는 「영화산업진흥협의회」는 최근 제협의 지원을 얻어 창립을 서둘러 왔다는데 여기에 관여하고있는 대부분의 창립위원들이 영협의 원로급 회원들이기 때문에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영화산업 진흥협의회는 지난 13일 전 영화인과 영화관 여자에게 보내는 호소문을 내고 또 제협은 이 진흥협의회의 창립과 목적을 지지하고 영화법개정을 반대한다는, 성명서를 낸 것이다.
영협은 다시 14일 이를 반박하는 성명서에서 진흥협의회를 「정체불명」의 단체라고 규탄하고 제협의 이와 같은 행위는 자기네들의 이권을 위한 잔꾀라고 비난했다.
즉 제협이 영화인대회가 있은 바로 다음에 영협 회원의 이름을 앞세운 성명서를 발표함으로써 영화인대회의 의의를 흐리게 하고 영협이 추진하고있는 영화법 개정을 저지하려는 술책이라고 영협은 주장하고 있다.
진흥 협의회에 관여한 영화인들은 진흥협의회는 이미 오래 전부터 구상돼 오던 것으로 다만 발표한 시기가 좋지 않았을 뿐이라고 말하고있다.
그러나 영협 측은 진흥 협의회의 창립위원으로 발표된 이병일 전창근씨 등 몇몇 사람은 진흥협의회와는 관계가 없다고 통고를 해왔다는 주장이다.
특히 영협이 분개하고 있는 것은 제협이 주동인 진흥협의회를 영협 회원들의 이름으로 발표해서 영협의 주장이 분열돼있는 것처럼 보이게 하기 위한 교란작전이라는데 있다. 영협과 제협은 원초적으로 이해관계가 서로 엇갈려 반목을 거듭해 왔었는데 지난번의 영화인대회를 계기로 그것이 표면화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제협 측의 주장은 현행영화법의 테두리 안에서도 영화인·제작자들이 일치단결해서 진흥 협의회 같은 기구를 잘 운영하면 현재의 불황을 타개하고 방화를 키워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영화인들은 제협이 만든 「영화금고」가 이미 유명무실해진 오늘날 다시 진흥협의회를 만든다 그래서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는 보장은 없는 것이라고 말하고있다.
영협 측은 모든 영화인 이자가 반성, 저질영화에 참여치 않고 프로듀서제의 인정과 외화수입 코터 등의 공영화를 골자로 하는 영화법개정을 주장 하고있다.
영협 측은 진흥협의회에 참가한 회원들에 대한 진상 조사가 끝나는 대로 이사회에서 제명동 강경한 조치를 취하기로 방침을 세우고있는데 특히 수입 코터 등 이권과 직결된 영화법 개정문제인 만큼 영협과 제협의 대립은 더욱 심각해질 것 같다.<이영섭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