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퇴임 후 8년간 차명계좌 총 3만 개”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전두환 전 대통령이 1990년대 초반 4200~4800여 개의 차명 계좌를 통해 최소 2000억원 이상의 비자금을 운용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검찰은 이 같은 사실을 파악하고도 수사 능력을 넘어선다며 비자금 추적을 사실상 포기했다.

1995~96년 서울지검에 설치됐던 12·12 및 5·18 특별수사본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당시 전 전 대통령 측이 2000억원 이상의 비자금을 1억~3억원 단위로 700~800개 차명계좌에 넣은 사실이 확인됐다. 검찰의 계좌추적 결과 이 돈들은 평균 2개월 단위로 모두 인출돼 다른 차명계좌들로 옮겨졌다는 것이다. 당시 수사팀 관계자는 “이런 식으로 매년 4200~4800개씩의 차명계좌를 만든 뒤 퇴임 후 8년간 최소 3만 개 이상의 차명계좌를 운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당시 계좌추적 과정엔 15명의 정예 요원이 동원됐지만 한 개의 차명계좌를 추적하는 데 최소 5일 이상 걸렸다고 한다. 이 관계자는 “차명계좌를 좇아가더라도 벌써 여러 단계 세탁 과정을 거친 게 대부분이어서 특별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당시 수사팀 관계자는 “전 전 대통령 비자금 전모를 파악하려면 최소 3년 이상 전담팀이 수사해야 할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전 전 대통령은 96년 군형법상 반란·뇌물 수수죄로 구속기소됐고, 수사팀의 능력을 넘어선 점 등이 고려돼 당시 검찰은 계좌추적을 중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 관계자는 “당시 계좌추적 자료는 봉인돼 보관 중”이라고 말했다. 봉인된 수사 자료는 검찰이 2004년 추가로 전 전 대통령 비자금을 포착하는 데 활용됐다. 당시 불법 대선자금을 추적하던 검찰은 서울 명동의 한 사채업자 계좌에 입금된 수표의 출처를 따라가다 노숙자 명의의 차명계좌를 발견했다. 계좌추적 결과 이 차명계좌의 돈은 95년 비자금 차명계좌에서 나온 것으로 확인됐다. 검찰은 전 전 대통령으로부터 73억5500만원을 환수할 수 있었다.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추징금 특별환수팀도 95년 수사기록을 다시 꺼냈다고 한다. 검찰은 지난달 전 전 대통령 일가 명의의 증권·보험·은행 계좌 219개에 대한 정보를 금융권으로부터 받았다.

중앙선데이 이철재 기자

관련기사
▶ 검찰, 전두환 처남 이창석 '불법증여' 정황 포착
▶ "이창석, 오산 땅 팔아 전씨 측에 최소 300억 줘"
▶ "추징금 얼마 내면 돼" 전두환 측 질문에 檢 대답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