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정요금 환원|상술에 손든 단속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7면

국민투표일을 앞뒤해서 올라버린 각종협정요금을 환원시키겠다는 정부의 약속은 업자들의 얄팍한 상술과 이를 뒷밤침하는 행정조처가 뒤따르지 않고있어「말만앞선 협정요금 환원조처」가 되고있다.
서울·부산·대구등 각지에서는 당국의 환원지시에 업자들은 식사의 경우 지금까지 딸려나오던 부식값을 따로 받는다든가 양을 줄이는등 얄팍한 상술로 사실상 오른요금을 그대로 받고있는곳이 대부분이다. 또한 당국도 업자들을 불러놓고 막연히 환원을 종용할 뿐 위생감찰등 행정적 뒷받침을 않고있으며 특히 서울시의 경우는 김현옥시장의 환원발표이후 1건의 단속실적도 없다.
서울시내의 경우 김현옥시장은 지난21일 오른 대중음식값 이발료등 협정요금을 일단 환원시키겠다고 공언했는데도 25일현재 일부업소는 환원은커녕 오른값대로 받고 있을뿐아니라 서울시는 환원시키기위해 한다던 위생감찰을 통한 강력한 행정조처를 단1건도 내리고있지 않고 있다.
서대문구 M식당등 서울시내 일부음식점은 서울시의 환원방침을 무시, 가격표만 90원을 붙여놓은채 값은 종전대로 1백30원을 그대로 받고있다.
또한 90원으로 환원한 일부음식점에서는 종전에 반찬으로 따라나오던 김치깍두기등을 따로 20원씩 받고있어 음식값은 사실상 환원되지 않고있는 실정이다.
한편 추석전에 올랐던 이발요금도 협정가격에 따르면 일류이발관은 1백80원, 변두리이발관은1백20원씩 받게되어 있는데도 거의 2배가 오른 일류는 3백원∼3백50원, 변두리이발관은 2백원씩 받고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