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은 이런 정부를 바란다] "노무현 정부 성공할 것" 91%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9면

노무현 정부의 앞날에 대해 국민의 91.5%는 '성공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런 견해는 강원(1백%)과 호남(97.1%)에서 가장 두드러졌고, 다른 지역에서도 고르게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모든 연령층에서 90%가 넘는 등 세대별 편차도 거의 없었다. 당선자 상태에서는 지지율이 높게 마련이나 성공에 대한 낙관론이 지배적인 것만은 분명하다.

국정 분야별 전망도 마찬가지다. 노무현 정부 5년 동안 정치가 '나아질 것'이라고 본 사람이 89.6%였다. 남북 관계 전망에선 85.3%, 경제 전망에선 83.7%가 각각 '좋아질 것''나아질 것'이란 대답을 했다. 대선 이후 盧당선자의 모습에 대해서도 83.0%가 '만족스럽다'고 했다.

하지만 정부 출범 이전 국민들이 내놓는 '장밋빛 전망'을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곤란하다. 냉철한 판단이라기보다 차기 정부에 대한 기대와 격려가 반영된 것이기 때문이다.

대선 때 낮은 지지를 보냈던 영남권의 시선도 盧당선자가 신경써야 할 부분이다.

영남권은 김대중(金大中)정부 부패 인사에 대한 철저한 사정과 민주당의 해체 또는 환골탈태 수준의 쇄신을 요구하고 있다. 盧당선자로선 어느 것 하나 쉽지 않은 일이다.

숙명여대 강인수(康仁洙.경제학)교수는 "노무현 후보에게 표를 주지 않았던 사람들까지 노무현 정부의 미래를 밝게 본다는 것은 선거도 끝난 만큼 정부에 화합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일 수 있다"며 "그런 만큼 독단적인 국정 운영보다는 합리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런 흐름 속에서 국민의 공감대가 형성된 정책을 우선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게 됐다. 국민들은 최우선 개혁대상으로 국내 정치를 꼽았고, 정치 분야에선 정경유착을 최우선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가장 먼저 실시해야 할 경제공약으로는 '일자리 2백50만개 창출'(27.3%), '서민금융 활성화'(24.1%), 경제 7% 성장(21.6%)등을 선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