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중정상, ‘北 비핵화’ 공통 인식 “6자회담 재개해야”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박근혜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27일 북한의 비핵화(非核化)에 대한 인식을 같이하고 앞으로 6자 회담 등을 재개하기 위해 상호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뉴스1이 보도했다.

뉴스1에 따르면 박 대통령과 시 주석은 이날 오후 중국 베이징(北京)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ㆍ안정 유지, 그리고 대화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앞으로 한중 양국 간 전략적 소통과 협조를 강화해나가기로 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 자리에서 “북한의 도발에 대해선 단호히 대응하지만, 대화의 문(門)은 열어놓고 북한이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 변화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우리 정부의 대북(對北)정책 패러다임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설명했고, 시 주석 또한 이에 대한 지지 입장을 표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두 정상은 올해로 수교 21주년을 맞은 양국의 경제관계를 앞으로 정보통신ㆍ금융ㆍ에너지ㆍ환경 등 보다 다양한 분야로 확대해나가는 한편 한중 자유무역협정(FTA)이 양국 국민에게 실질적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상호 노력해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두 정상은 이날 회담에서 상호 이해와 신뢰 제고, 미래지향적 호혜협력 강화, 평등 원칙과 국제규범 존중, 지역과 국제사회 평화안정과 공동번영과 인류 복리증진에 대한 기여 등을 향후 양국관계 발전의 4대 기본원칙으로 하는 ‘한중 미래비전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김행 청와대 대변인은 이번 공동성명에 대해 “과거와 비교할 때 좀 더 중장기적이고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광범위한 내용을 포괄하고 있고, 한중관계의 진정한 발전과 질적 변화를 위한 구체적 청사진을 담고 있다. 이는 (박 대통령의) 집권 기간 5년에 국한된 게 아니라 향후 20년 이상을 생각하고 만든 것”이라고 의미 부여했다.

김 대변인은 특히 “분야별 구체 이행계획을 담은 ‘한중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 내실화 이행계획’을 이번 공동성명의 부속서로 채택했다”면서 “그동안엔 형식적 측면에 많이 치중했다면 이번엔 (두 정상의 합의사항을) 구체적으로 이행키 위한 ‘액션 플랜’을 만들었다는 의미가 있다. 이런 두 가지 측면을 볼 때 향후 한중 간 협력 정도가 보다 긴밀하고 심도 있는 새로운 차원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온라인 중앙일보

관련기사
▶ 박 대통령 공항으로 영접 나온 관료는 예정과 달리…
▶ "박근혜·시진핑,우호적인 장면연출은…" 北압박용?
▶ 朴대통령, 中방탄차 '홍치' 타고 숙소 이동
▶ 朴대통령 숙소 '조어대', 회담장 '인민대회장' 어떤 곳?
▶ 박근혜 대통령 만날 中권력서열 1~3위 누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