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사무총장 당선 이종욱 박사 귀국 회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북한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

지난달 28일 세계보건기구(WHO) 차기 사무총장에 당선된 이종욱(李鍾郁.58) 박사는 4일 보건복지부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취임 후 기회가 닿으면 북한을 방문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李박사는 축하연 등 각종 국내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지난 2일 귀국했으며 7일 김대중 대통령과 노무현 대통령당선자를 면담한 뒤 9일 스위스 제네바로 돌아간다.

다음은 李박사와의 일문일답.

-북한 보건의료 수준 향상을 위한 계획을 갖고 있나.

"북한에 기초의약품 생산시설, 혈액은행, 수액(포도당)제조시설 등을 지원하는 데 역점을 두고 있다. 의료시설이 열악해 인도주의 차원에서 국제사회의 긴급원조가 필요하다."

-한국의 의료정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나.

"의약분업은 후진국에서 선진국으로 갈 때 꼭 겪어야 할 과정이다. 국민적 합의를 이루는 데 어려움이 있었으나 다시 돌아갈 수는 없고 보완해가면서 정착시켜야 한다."

-WHO를 어떻게 운영해 나갈 계획인가.

"비대해진 WHO 본부의 몸집을 줄이겠다. 3천명 가량인 본부 인원 중 1천명 정도를 지역본부와 각국 대표부 등에 재배치하겠다."

-한국을 위한 특별한 계획은 있나.

"1950~60년대 한국은 WHO로부터 많은 원조를 받았으나 이제는 한국이 WHO를 도울 방법을 생각해야 한다.WHO에는 한국인 직원이 16명까지 근무할 수 있으나 현재 나를 포함해 6명밖에 없다."

-WHO에 근무하면서 보람있었던 일은.

"나병 책임자로 일할 때 목표로 세웠던 인구 1만명당 환자 한 명 이하를 현재 달성했다. 소아마비 팀장으로 일하기 시작한 지난 90년 중국의 환자발생이 연간 6천명이었으나 지금은 한 명도 없다."

-부인(가부라키 레이코)은 나환자촌에서 봉사활동을 하다 만났다고 들었는데.

"72~76년 처가 일본에서 돈을 모금해 경기도 안양의 나환자촌인 나자로마을에서 봉사활동을 할 때 만났다. 당시 한국말을 배워 KBS외국인장기자랑에서 1등을 할 정도로 열심이었다. 일본인과 결혼했다기보다는 그 사람과 결혼했다고 생각한다."

-비행기 좌석은 어떤 등급을 타나.

"규정상 사무총장은 1등석을 타게 돼 있지만 나는 비즈니스 클라스(2등석)를 타겠다고 선거에서 공언했다. WHO는 각국의 분담으로 운영되며 이 중엔 가난한 나라의 세금도 포함돼 있다. 이런 돈으로 비싼 1등석을 탈 수는 없는 일이다."

글=정철근 기자, 사진=김춘식 기자 <jcom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