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번 하던 수산물 경매, 한 번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두 번 하던 수산물 경매가 한 번으로 줄어들게 된다. 그간 수산물은 농산물과 달리 어촌의 포구 위판장에서 산지(産地) 경매를 한 뒤 서울 가락동 도매시장과 같은 소비지 도매시장에서 다시 경매를 통해 일반에 유통됐다. 두 번의 경매를 거치다 보니 소비자 가격이 비싸질 수밖에 없었다.

 해양수산부는 15일 수산물 유통 과정에 소비지 경매 생략을 중심으로 하는 유통단계 축소와 경쟁 유통 시스템을 도입해 가격 인하를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전국 어촌에 있는 단위수협 중심의 ‘산지거점유통센터’와 수협중앙회 중심의 ‘소비지 분산물류센터’를 축으로 하는 유통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수산물은 ‘어민-산지거점유통센터(경매)-소비지분산물류센터-소매상-소비자’의 4단계 유통 구조가 만들어진다. 기존에는 ‘어민-산지 위판장(경매)-산지 중도매인-소비지 도매시장(경매)-소비지 중도매인-소매상-소비자’로 이어지는 최소 6단계 이상의 유통 과정을 거쳤다. 유통 과정이 6단계 이상에서 4단계로 축소되면 유통비용이 줄어들어 소비자 가격이 최소 10% 이상 내릴 것으로 해수부는 전망했다.

 해수부는 최근 제주 한림수협과 강원 속초시수협을 수산물 산지거점유통센터로 선정했다. 올해 말까지 세 곳을 더 선정하는 등 매년 확대해 2025년까지 전국 주요 거점 포구에 산지거점유통센터를 선정해 주요 수산물 생산량의 30%를 취급할 예정이다. 전국의 어촌 포구 위판장은 모두 210곳이다. 이와는 별도로 생산자인 어민이 직접 소비자에게 수산물을 판매하는 ‘로컬 푸드(local food)’ 형태의 직거래 마트도 설치하기로 했다.

 해수부 관계자는 “그렇다고 서울 가락동 농수산물도매시장과 같은 기존 소비지 도매시장에서 경매가 없어지는 것은 아니다”라며 “4단계로 축소된 유통시스템을 도입해 기존 유통 과정과의 경쟁을 통해 수산물의 소비자 가격이 떨어질 수 있도록 정책을 쓰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기존 유통시장의 항의와 마찰이 있겠지만 수산물 유통단계 혁신과 가격 인하 유도를 위해서는 마찰도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세종=최준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