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코노미스트]'CEO 조건' 디지털 마인드보다 청렴도 우선

중앙일보

입력

지난해 '오너의 독단'서 '오너 추종'으로 그들은 하루 평균 10시간 일한다. 매일 10건 안팎의 이메일을 보내고, 1시간 이상 인터넷에 접속한다. 자기 개발을 위해 경영서 등 신간을 구해 읽는 한편 세미나에 참석해 전문가들과의 교류에도 힘쓴다.

지난해엔 한 달에 한 권 남짓 단행본을 읽었다. 올해 연봉은 9천5백만원 정도지만, 스스로 생각하는 적정 연봉 1억3천여만원엔 턱없이 못 미친다.

한국의 CEO들의 평균적인 모습이다. 이들은 57.0%가 하루 1시간 이상 인터넷을 뒤적이고, 74.1%가 자기 개발을 위해 독서를 게을리 하지 않는다. 지난해 읽은 단행본은 15.6권. 61.4%는 자기 개발을 위해 세미나 등에 참석한다.

올해 평균 연봉은 9천4백92만원으로 적지 않지만, 스스로 평가한 적정 연봉(1억3천1백14만원)에 비하면 3천6백22만원이나 적다. 자신의 몸값이 27.6% 저평가돼 있다고 느끼는 것이다.

지난 2월 중·하순 본지가 대한상공회의소와 함께 실시한‘한국의 CEO’조사에서 나온 결과이다.

이들 CEO는 21세기 CEO가 갖춰야 할 조건으로 과반수가 비전 제시(55.1%)를 꼽았다(복수 응답). 다른 조건들은 높은 윤리의식(28.0%), 우수 인력 확보(26.0%), 글로벌 스탠더드 준수(22.7%), 빠른 의사 결정(18.9%), 오픈 마인드(18.0%), 디지털 마인드(10.4%), 불건전한 관행 타파(7.5%), 네트워크의 활용(2.7%) 순으로 응답률이 높았다.

주목되는 것은 지난해 1차 조사에서 CEO의 조건으로 가장 많이 지적된 디지털 마인드(지난해 38.4%)가 퇴조한 반면 윤리의식(지난해 14.0%)이‘약진’한 점이다. 정경유착을 드러낸 각종 게이트와 대우그룹 분식회계 사건 등으로 윤리경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것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비전 제시는 제조 대기업 CEO들(63.6%)이, 나이로는 60대 이상(76.8%), 학력면에서는 대체로 고학력자일수록(고졸 이하 21.4%, 대졸 53.3%, 석사·석사과정 68.1%, 박사·박사과정 57.9%. 단 박사·박사과정인 사람들은 전부 12명으로 이들의 응답 경향을 따로 보는 데는 무리가 있다.) CEO의 조건으로 많이 꼽았다.

높은 윤리의식은 벤처 기업들이 연루된 게이트들이 터져서인지 벤처 CEO들(44.4%)이 CEO의 조건으로 많이 지적했다. 또 나이로 보면 40대가(32.2%), 학력면에서는 뜻밖에 학력이 낮을수록(고졸 이하 49.3%, 대졸 30.2%, 석사·석사과정 21.4%, 박사·박사과정 19.6%) 많이 골랐다.

우수 인력 확보는 벤처 기업 CEO들이(44.4%), 나이는 젊을수록(30대 이하 34.3%, 40대 32.0%, 50대 26.3%, 60대 이상 9.0%), 학력은 높을수록(고졸 이하 19.0%, 대졸 27.2%, 석사·석사과정 29.3%) CEO의 조건으로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스탠더드 준수는 나이가 많고(30대 이하 8.0%, 40대 18.5%, 50대 23.9%, 60대 이상 35.4%), 학력이 높을수록(고졸 이하 0.0%, 대졸 21.6%, 석사·석사과정 24.7%, 박사·박사과정 38.3%) 중시했다.

빠른 의사결정은 업종별로는 벤처나 비제조업 CEO보다 제조업 CEO들이(제조 중소기업 25.0%, 제조 대기업 22.7%), 나이로 보면 고령자일수록(30대 이하 0.0%, 40대 12.2%, 50대 23.5%, 60대 이상 28.3%) 강조했다. 오픈 마인드는 벤처 기업 CEO들(33.3%)과 30대 이하의 젊은 CEO들(59.3%)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를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EO들은 또 전문 경영인 체제 정착의 가장 큰 걸림돌로 전문 경영인의 오너 추종(28.0%)을 꼽았다. 다음으로는 오너의 독단(22.6%), 유명무실한 이사회(17.9%), 불투명한 회계관행(12.3%) 순으로 지적됐다. 지난해 조사에서 CEO들은 전문 경영인의 오너 추종(22.2%)보다 오너의 독단(30.8%)을 더 문제 삼았었다. 오너보다 전문 경영인들에게 더 문제가 있다는 쪽으로 인식이 바뀐 것이다.

사외이사제의 실효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평가가 더 많았다. 응답자의 34.2%가 실효를 거두고 있지 못하다고 답한 반면 실효를 거두고 있다는 응답은 8.5%에 불과했다. 과반수(52.5%)는 ‘그저 그렇다’는 유보적인 태도를 보였다.

사외이사제의 실효성에 대한 부정적인 태도는 벤처(44.4%)와 제조 대기업(40.9%)의 CEO들이, 나이로 보면 30대 이하(59.3%)가 많이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소송제 도입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3분의 2에 가까운 63.2%가 반대했다. 찬성하는 사람들은 33.9%였다. 반대 의견은 제조 대기업 CEO들(86.4%)이, 30대 이하(74.9%)가, 오너(55.2%)보다는 전문 경영인들(72.9%)이 많이 보였다.

우리 경제는 과연 회복기에 들어섰나? CEO들의 43.8%는 ‘그렇다’고 답했다. 아니라고 답한 55.5%의 CEO들 중에서도 14.2%(전체의 7.9%)는 올 2분기면 회복기에 들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전체의 과반수(51.7%)가 2분기 내 회복을 전망한 셈이다.

올해 우리 경제에 대해서는 과반수인 61.4%가 지난해보다 좋을 것으로 내다봤다(지난해와 비슷할 것이다 28.0%, 지난해보다 나쁠 것이다 5.7%).

한편 올해 종합주가지수의 최고치는 919.54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 2월28일 마감 지수(819.99)보다 1백포인트 가량 더 오를 것으로 내다본 셈이다.

‘국민의 정부’의 경제정책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과반수인 55.8%가 정책의 일관성 부족 및 신뢰 상실을 꼽았다. 31.0%는 정책 운용 능력의 부족을 지적했다. 정책 방향의 설정이 그릇됐다는 사람은 9.1%에 불과했다.

이같은 조사 결과도 지난해와는 대비되는 것이다.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난해에는 무려 77.4%라는 압도적인 다수가 정책의 일관성 부족 및 신뢰 상실을 지목했었다. 정책 운용 능력의 부족은 19.4%가, 정책 방향의 그릇된 설정은 2.0%만이 지적했었다.

여전히 정책의 일관성 부족이라는 일종의 시행착오가 가장 큰 문제라는 인식이 높기는 하지만, 1년 새에 20% 가까이가 정책 능력이 부족하거나 경제 철학에 문제가 있다는 쪽으로 기운 셈이다.

이 정부의 이른바 4대 개혁에 대해서는 금융 개혁(49.5%), 기업 개혁(28.2%), 공공부문 개혁(9.2%), 노동 개혁(4.2%) 순으로 평가가 높았다. 1년 새 금융 개혁(35.9%)과 기업 개혁(지난해 49.3%)의 순위가 역전됐다.

우리나라의 CEO들이 가장 존경하는 CEO는 세계적으로는 단연 잭 웰치 전 GE 회장(43.4%)이다.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사 회장(12.9%)이 격차를 두고 그 뒤를 따르고 있다. 국내 CEO들 중에서는 손길승 SK그룹 회장(11.3%), 고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주(8.3%), 김정태 국민은행장(8.3%) 등이 존경을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기 개발의 수단으로서 새 책 읽기는 제조 대기업 CEO들이(90.9%, 제조 중소기업 75.0%, 비제조업 64.3%, 벤처 50.0%) 많이 활용했고, 대체로 나이가 많을수록(30대 이하 42.2%, 40대 68.2%, 50대 81.8%, 60대 이상 80.4%), 오너 경영인(66.6%)보다는 전문 경영인들(83.2%)이 많이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미나 참석 등 전문가 집단과의 교류는 벤처 기업 CEO들(87.5%)이, 나이로는 50대(72.2%)가, 학력이 높을수록(고졸 이하 29. 4%, 대졸 55.7%, 석사·석사과정 78.0%, 박사·박사과정 80.4%), 오너(56.9%)보다는 전문 경영인들(66.9%)이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적정 연봉에 대한 기대치는 CEO들의 종사 업종별로 볼 때 제조 대기업(2억1천9백여만원), 비제조업(1억1천7백여만원), 벤처(1억1백여만원), 제조 중소기업(8천8백여만원) 순으로 높았다. 특기할 만한 것은 오너 경영인(9천1백여만원)보다 전문 경영인들(1억9천2백여만원)의 적정 연봉에 대한 기대치가 두 배 이상 높다는 점이다.

이는 전문 경영인이라고 답한 사람들이 비교적 큰 회사의 CEO들인 것과도 관계가 있어 보인다. 실제로 이들 전문경영인(1억2천1백여만원)은 실제 연봉면에서도 오너 경영인들(7천6백여만원)을 크게 상회하고 있다.

CEO들은 한편 취미 생활로 골프를 가장 많이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43%가 골프가 취미라고 답했다. 골프는 제조 중소기업 CEO들(50.0%)이 가장 많이 치고 있고, 벤처 기업 CEO들도 22.2%가 취미라고 답했다. 골프는 나이가 많은 CEO들일수록 많이 쳤다(30대 이하 0.0%, 40대 39.7%, 50대 46.2%, 60대 이상 68.9%).

나머지 CEO들은 골프 외의 스포츠(15.5%), 등산·낚시(12.9%), 독서(11.1%), 영화·음악 감상(7.3%) 등이 취미라고 답했다. 골프는 오너 경영인들(48.9%, 전문 경영인 37.6%)이 많이 치는 반면 등산과 낚시는 전문 경영인들(25.5%, 오너 경영인 2.5%)이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이코노미스트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