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약품, 약효 지속 바이오 신약 미국서 임상 2상 돌입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한미약품이 랩스커버리지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바이오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한미약품(대표 이관순)은 최근 미국 스펙트럼社와 공동으로 개발 중인 바이오신약 LAPS-GCSF(호중구감소증 치료제)의 미국 내 임상2상 시험을 위한 환자 등록을 시작했다고 9일 밝혔다.

LAPS-GCSF는 바이오 의약품의 약효 발현 시간을 늘려주는 ‘랩스커버리(LAPSCOVERY)’기술을 적용한 호중구감소증치료제다. 한미약품은 약효 발현시간을 늘려주는 랩스커버리지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을 적용하면 투약 주기를 1일 1회에서 3주 1회로 늘릴 수 있다. 투약주기가 늘어난 만큼 약효가 유지되는 시간이 길어진다. 약 먹는 회수가 줄어 환자 편의성이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번 미국 임상2상 시험은 LAPS-GCSF의 약효 유효성을 대조군과 비교하는 시험이다. 3월부터 약 150명의 유방암 현지 환자를 대상으로 미국 내 주요 대학병원에서 진행되고 있다.

한미약품은 이미 미국과 국내에서 2건의 1상 임상을 통해 LAPS-GCSF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했다. 손지웅 한미약품 R&D본부 부사장은 “한미약품의 독자기술로 개발한 바이오 신약의 글로벌 진출이 가시화되고 있다”며 “스펙트럼과의 공동개발을 통해 LAPS-GCSF의 제품화 시기를 앞당기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미약품은 지난 2012년 스펙트럼사와 LAPS-GCSF에 대한 공동개발 및 글로벌 판권에 대한 상업화 계약을 체결했다. 스펙트럼사는 항암신약 개발에 주력하는 나스닥 상장기업이며 미국에서 발매된 비호치킨림프종치료제(Zevalin)와 골육종치료제(Fusilev) 등 신약을 보유하고 있다.

[인기기사]

·[포커스] 복지부는 다국적 제약사의 봉? [2013/04/08] 
·[본들] “북한 도발 위협 두렵다” 한국방문 취소 속출 [2013/04/08] 
·중국 조류인플루엔자, 사람 간 전파 가능성 낮아 [2013/04/08] 
·아시아인 약물 조기 임상시험 확대되나 [2013/04/08] 
·단식농성 중인 김용익 의원 “의료수가체계에 문제 있다” 인정 [2013/04/08] 

권선미 기자 byjun3005@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