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발전 노사교섭 중단 선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정부와 한국전력이 9일째 파업중인 발전노조에 대해 급기야 교섭중단을 선언했다.

이에 노조도 '민영화 철회'가 받아들여질때 까지 파업을 무기한으로 가져간다는 방침이어서 사태가 파국으로 치닫고 있다.

발전5사 사장단은 5일 오후 산업자원부에서 합동기자회견을 갖고,"노조가 협상 대상도 아닌 '민영화 철회'를 계속 고집,더이상의 소모적인 교섭을 중단키로 했다"고 밝혔다.

사장단은 "향후 안정적인 전력공급에만 전념하면서,중앙노동위원회의 중재결정에 따르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또 사장단은 "1차징계(52명)에 이어 2차 징계대상 2백명을 선정해 이미 관할 경찰서에 고소했고,오는 11일 열리는 인사위원회에서 이들에 대한 해고결정을 내리겠다"고 말했다.

이와함께 "이번 불법파업으로 인한 재산상 피해가 현재 수백억원대에 이르는 달하는 만큼 노조와 파업주동자들을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신청하고,이들의 재산에 대한 압류조치도 병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사장단은 "1차 징계대상자(47명)의 경우 정식 해고절차에 들어가는 오는 8일,2차 징계대상자(2백명)는 인사위원회가 열리는 11일까지 현장에 복귀하면 해고에서 제외시킬 방침"이라며 조합원들의 업무 복귀를 종용했다.

이밖에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관련 "현재 총1천1백4명을 3조3교대로 나눠 발전소를 가동하고 있어 앞으로 한달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면서 "비상시 언제든 투입할 수 있는 대체인력 5백명도 추가로 확보해 놓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전측은 이날 현재 업무복귀율(4백2명)7.2%로 조금씩 늘어나는 추세며,전력예비율도 23%대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중앙노동위원회는 이날 오후 중재위를 개최,노사 양측을 불러 쟁점 사항에 대한 확인작업을 벌였다.

이수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