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특구 계획 전면 재조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DJ 정부의 동북아 중심 국가 구상을 대폭 변경하기로 했다.

인수위는 28일 동북아 중심 국가의 핵심 산업을 당초의 금융.서비스에서 정보기술(IT) 등 생산 중심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또 외국 기업을 끌어들이는 전략보다 국내 기업을 한곳에 모으는 전략을 우선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오는 7월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할 예정인 송도 신도시에는 국내 기업과 대학의 연구기관을 대거 유치해 미국의 실리콘밸리와 같은 동북아 IT.연구개발(R&D)의 허브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인수위는 송도 신도시가 서울과 가깝고, 인천공항.인천항과의 연계를 통해 물류면에서도 유리하다는 판단 아래 조만간 이곳에 유치할 각종 산업과 연구 부문을 선정할 방침이다.

정태인 인수위원은 이날 "기존 경제자유구역 입지 계획은 수정이 불가피하다"며 "청와대에 관련 태스크포스(TF)팀을 만들어 경제자유구역 사업을 중앙정부가 직접 관장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인수위의 다른 관계자는 "삼성그룹의 기흥연구소, 현대의 마북리 연구소, 서울대 공대 연구시설 등 국내 최고의 IT 관련 연구기관들을 모으겠다"며 "IT 중심으로 산업정책의 여지가 있는데도 불구하고 정부 원안은 산업에 대한 고려가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경제자유구역 밑그림을 그려온 재정경제부는 "21세기에 우리가 살아남기 위해서는 외국 기업을 끌어들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해야 하는데 국내 기업을, 그것도 제조업 중심의 공단을 만들어서는 절대 동북아의 중심지가 될 수 없다"며 반발하고 있다.

김기환 골드먼삭스 고문은 "동북아 중심지로 발돋움하려면 금융과 서비스를 육성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고현곤.이상렬 기자 <hkkoh@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