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하철 파업 비상

중앙일보

입력

'분규 없는 직장'을 선언했던 서울지하철공사(1~4호선) 노조(위원장 裵一道.50)가 2년여 만에 파업에 들어갈 움직임이어서 서울시 등 당국이 긴장하고 있다.

이같은 지하철노조의 '노선변경'은 인원감축.퇴직금 누진제 폐지 등을 골자로 한 행정자치부의 지방공기업 단체교섭 지침에 반발해 나온 것이다. 노조는 이달 말께 전국 26개 지방공기업과 동시 파업에 나설 방침이어서 노동계의 동투(冬鬪)로 번질 가능성마저 배제할 수 없다.

노조는 지난해 말까지 ▶임금 11.51% 인상▶해고 조합원 19명 전원 복직▶구조조정(4백17명) 반대▶조합원과 노조 전임자의 연월차 축소 반대 등을 놓고 여섯차례에 걸쳐 공사측과 2001년 임단협을 벌였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이에 따라 지난 11일 중앙노동위원회에 파업을 위한 쟁의조정 신청서를 제출했다.

裵위원장은 "현재로선 중노위가 쟁의 조정(15일간) 시한인 오는 26일까지 합리적인 협상방안을 내놓을 가능성이 작다"며 "이에 따라 조합원 9천3백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 투표를 실시한 뒤 이달 말 전면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2000년 1월 4일 "파업은 노사 모두에 도움이 안된다"고 선언했던 裵위원장과 지하철 노조의 '무쟁의' 선언은 만 25개월 만에 깨질 가능성이 커졌다.

노조측이 파업돌입 전 단계인 쟁의조정 신청서를 낸 것도 1999년 4월에 한 8일간의 격렬한 파업 이후 32개월 만에 처음이다.

裵위원장은 "화합 원칙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다수의 조합원들이 원하면 원칙을 깰 수밖에 없다"며 "중노위가 필수공익 사업장임을 들어 직권중재를 하더라도 받아들이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노조측은 지난 11~12일 충남 계룡산에서 서울도시철도공사(5~8호선).도시개발공사.시설관리공단 등 서울시 산하 6개 공기업과 함께 공동파업을 결의하고, 지방 공기업들과 연대투쟁을 선포했다.

이에 대해 공사측은 "지난해 잉여인력 4백여명에 대한 구조조정을 못해 총 인건비 지출액 개념으로 직원 임금이 14.31%나 올랐다"며 "파업을 주도한 직원의 해고는 합법적인 데다 공사는 행자부의 공기업 구조조정 지침에 따를 의무가 있다"고 노조측 요구를 전면 거부했다.

하지만 공사측은 "파업시의 시민 불편을 감안, 마지막까지 협상은 계속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양영유 기자 yangyy@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