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조 용산개발 사업 부도 위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추정 사업비가 31조원에 이르는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이 무산 초읽기에 들어갔다. 땅 주인인 코레일이 사업비 마련을 위해 민간 출자사가 요청한 담보 제공을 거부했기 때문이다.

 코레일은 21일 “이날 열린 이사회에서 국제업무지구 개발 주체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이하 드림허브)가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을 위해 요청한 토지대금 반환확약서 제공안이 부결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3000억원대의 ABCP를 발행하려던 드림허브의 계획은 무산됐다. 드림허브의 자산관리회사(AMC)인 용산역세권개발㈜은 다음 달 12일 돌아오는 59억원의 금융이자를 막지 못하면 부도를 맞는데 현재 남은 자금은 9억원 정도다.

  AMC는 의결권만 있는 드림허브를 대신해 개발·계획·분양 등의 사업 실무를 맡고 있다. 이 회사가 부도나면 사업이 수포로 돌아가는 셈이다.

 코레일은 “롯데관광개발 등 29개 민간 출자사와 현 AMC는 사업비를 끌어올 능력이 없다”면서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을 고려해 이 지구 사업 형태를 공영개발로 바꾸고 사업성이 있는 것부터 단계적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코레일은 이 같은 계획을 정부에 보고하고 자금 지원을 요청하기로 했다. 코레일의 공영·단계 개발 방침에 대해 민간 출자사 측은 “소송 등 모든 방안을 강구해 이를 막겠다”고 강력히 반발하고 있다. 공영 개발의 경우 특혜 및 혈세낭비 논란이 제기될 수도 있다.

 심교언 건국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양측의 주장이 팽팽해 쉽게 결론을 내기 어렵다”며 “사업이 좌초하게 되면 사회·경제적 파장이 클 것으로 예상돼 이제라도 정부가 중재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황정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