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동안 49명이 넘는 남자와 동침

중앙일보

입력

프랑스의 한 여성 현대미술 평론가가 자신의 성(性) 을 완전히 노출시켰다. 30여년간 성생활을 책을 통해 털어놓는 전위예술 행위랄까. 신간 『카트린 M의 성생활』은 문학장르의 개념을 벗어난 '이야기'다. 문화적 차이에 대한 실감도 그때문.

그 소재가 폭넓은 섹스라는 점과 표현의 대담함에서 우리에겐 낯선 단계를 넘어 두려움까지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허무와 사치가 극에 달하면 나올 수 있을지도 모를 세기말적 광란의 섹스파티. 저자의 증언에 따르면 그 인간 욕망과 윤리의 한계에 대한 도전이 1960~70년대 프랑스에서 실제로 벌어졌다.

이 책은 올해 초 프랑스에서 출간될 때부터 많은 화제를 모았다. 완전히 속내를 까발려 보이는 노골성 때문이었다.

그러나 무엇보다 저자의 사회적 신분이 관심을 집중시켰다. 저자 카트린 밀레(53) 는 프랑스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미술 잡지 『아트 프레스』(72년 창간) 의 편집장이다.

그녀는 베니스 비엔날레 등 국제 전시회의 큐레이터를 맡았고, 광주 비엔날레와 아트선재센터의 특강을 위해 한국을 두 번 방문하기도 했다. 그녀가 쓴 『프랑스 현대 미술』(시각과언어사) ,『드니즈 르네와의 대화』(시공사) 등이 한국에서 번역되기도 했다.

이 책에서 저자의 남편인 소설가이자 사진작가 자크 앙릭(62) 과의 관계는 일부분에 불과하다. '68혁명 세대'인 이들은 "세금 때문에 결혼했고", 서로의 자유로운 성생활을 침해하지 않는다.

18세때 첫 경험을 한 저자는 이후 얼굴과 이름을 분명히 기억할 수 있는 49명의 남자 이외에도 집단 성행위를 통해 수많은 남자들을 섭렵한다. 자녀는 없다. 자녀가 있었다면 이렇게 자신을 노출하기는 쉽지 않았을 것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그녀는 왜 그렇게 문란한 성생활을 했을까. 성의 해방이론이 나오던 시대 조류, 다시 말해 성의 자유와 평등, 혹은 성적 사회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그 행위를 정당화할 수 있을까.

그리고 나아가 그 은밀한 사생활마저 스스로 낱낱이 공개하는 의미는 무엇인가. 객관적 서술이란 냉정함 뒤에서 저자는 언급이 없지만, 자유의 무한 확대가 인간의 욕망을 어디까지 끌고가는지를 한 여인의 삶을 통해 발견한다.

프랑스 언론에서는 책의 노골적 표현을 그대로 인용하며 비교적 호평을 한 점도 우리와의 문화 차이를 실감케 한다. 르몽드는 "아주 훌륭하고 잘 쓰여진, 우리를 완전히 아연실색케 하는 책…외설이나 음란이란 말은 당치 않다"는 서평을 실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