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지사, 순직한 소방관 영결식 참석…"근본적 대책 마련 다짐"

중앙일보

입력

김문수 경기도지사는 지난 13일 화재진압 중 순직한 고(故) 윤영수 소방관의 영결식에 참석한 뒤 자신의 트위터에 소방관 순직을 줄이기 위한 근본 대책 마련을 다시 한번 약속했다.

김 지사는 15일 자신의 트위터에 "포천소방서 가산면안전센터 고 윤영수 소방장의 영결식에 참석하고 옵니다. 홀어머니와 20대 부인과 5달밖에 안된 아들과 유족의 울부짖음이 그칠 줄을 몰랐습니다. 소방방재청장과 소방관순직을 줄일 방안에 대해 근본적 대책을 마련하자고 다짐했습니다"라며 비통한 심정의 글을 올렸다.

윤 소방관은 포천의 한 플라스틱 제조공장에서 난 화재를 진압하던 중 건물 벽에 깔려 의정부의 한 병원으로 이송됐지만 끝내 숨졌다. 윤 소방관은 부상자 응급처치를 하는 구급대원이지만, 인력 부족으로 진화작업이 어려움을 겪자 화재현장에 투입됐다.

윤 소방관을 비롯해 소방관들의 순직이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여론에서는 소방인력 문제를 지적하며 대책을 세울 것을 촉구했다.

김 지사는 지난해 12월17일 일산소방서 장항센터에서 2명의 소방관이 순직했을 때 "무엇이 잘못됐는지 꼼꼼히 살펴보고 잘못된 것이 있으면 조속히 개선해 다시는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해 달라"라고 주문했다. 또 "나홀로 소방서 근무지를 최소 2인 이상이 근무할 수 있도록 2년 안에 개선하고, 현장 중심으로 소방서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현재의 열악한 소방환경 개선을 위해 2013년 219명, 2014년 218명 등 2년 동안 총 437명의 소방공무원을 채용하겠다. 이럴 경우 도내 소방공무원은 모두 6397명으로 3교대 근무가 100%가능하게 된다"고 밝혔다.

소방방재청에 따르면 한국의 2011년 기준 순직률(소방관 1만명 당 순직자)는 1.85명으로 일본 0.70명, 미국 1.01명에 비해 월등히 높다. 2007부터 2011년 동안의 순직자는 35명으로 한 해 평균 7명에 달한다. 소방방재청 관계자는 우리나라 소방관들의 순직률이 높은 이유로 인력부족과 장비의 노후를 꼽았다.

한편, 경기도는 소방업무의 70%가 국가사무인데도 불구하고, 99%의 예산을 지방자치단체가 부담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보고 정부를 상대로 소방예산 확대를 적극 추진키로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