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명절 준비, 음식 관리부터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건강한 명절 준비를 위해 음식관리 계획을 철저히 세워보는 건 어떨까. 즐겁고 행복한 명절이지만 만성질환자에게는 그 어느때보다 음식관리에 신경써야 하는 때다.

만성신장질환자들은 일반인에 비해 수분, 전해질(칼륨, 나트륨 등)을 배설하는 능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음식섭취에 유의해야 한다.

정상인의 경우 칼륨을 과잉 섭취하더라도 신장을 통해 효과적으로 배설되므로 혈중 칼륨 농도가 높아지는 일은 없다. 그러나 만성신장질환자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알도스테론의 분비가 증가하면서 신장에서의 칼륨 배설능력이 떨어진다. 칼륨이 다량 포함된 계절과일 섭취만으로도 고칼륨혈증(혈장속의 칼륨농도가 정상치(3.7~5.3mEq/L)보다 높은상)을 유발 시킬 수 있다.

고칼륨혈증에 노출될 경우 근육의 마비로 손발이 저리고 다리가 무거우며 혈압이 떨어지고, 부정맥 등의 심장장애 증세를 느낄 수 있다. 칼륨은 일차적으로 세포내(약98%)에 존재하는데, 세포내에서 세포 외로 소량만 유출해도 신체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

만성신장질환으로 혈액투석을 받는 사람의 경우 칼륨이 다량 포함된 과일만 섭취해도 심장장애 뿐만 아니라 감각이상, 반사저하, 호흡부전 증세를 호소 할 수 있다. 특히 칼륨함량이 높은 감자, 고구마, 밤, 견과류, 녹황색 채소류(근대, 시금치, 당근)는 가급적 삼가고 먹더라도 소량만 섭취해야하며 부득이 채소나 과일을 과량 섭취하였을 경우 칼륨이 장에서 흡수되는 것을 줄여주는 약물을 즉시 복용토록 해야한다.

평소 고혈압이나 당뇨병, 대사증후군 같은 만성질환을 갖고 있는 경우에도 음식 섭취에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차례상에 올라오는 고기류와 부침개 등의 기름진 음식은 혈당과 혈압을 빠르게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당뇨병이나 고혈압 환자들은 기피해야 할 음식이다.

질환이 없는 경우에도 동물성 지방 함유량이 높은 고지방 음식은 식도와 위 사이의 괄약근을 느슨하게 만들어 위산이 역류 될 수 있고, 식도도 곳곳이 헐거나 염증을 일으키는 역류성 식도염이나 소화 장애를 유발한다. 따라서 조리 과정에서 기름을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지방 섭취를 줄이도록 한다.

특히 부침개나 돼지고기, 닭고기 등을 간장, 소금 등 양념을 곁들여 섭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경우 체내 염분량이 증가하고 콜레스테롤 수치가 올라가고 혈관이 수축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싱겁게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서울특별시 북부병원 내과 이연 부장은 “건강한 사람도 고지방 음식 등으로 과식하면 수 시간 내 전신의 혈류가 감소하고 일시적으로 혈관이 수축된다"며 "고지혈증환자나 이미 동맥경화가 있는 사람은 혈류감소 현상을 야기할 수 있는 각종 위험요소를 없애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음식 때문에 발생하는 건강상의 문제를 줄이기 위해서는 가급적 기름을 쓰지 않고 조림이나 삶는 등의 방법으로 조리해 먹으면 칼로리를 낮출 수 있다. 소금이나 간장 등 염분이 많은 양념보다는 식초, 레몬즙과 함께 마늘, 생강, 양파 등을 이용한 자연 조미료를 사용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인기기사]

·경찰, 의약품 리베이트 수사 보건소로 확대되나? [2013/02/05] 
·피곤해서 생긴 입술 물집인 줄 알았더니···바이러스 감염 [2013/02/05] 
·동아제약, 수난 끝은 언제? [2013/02/05] 
·극심한 입덧은 임신합병증 적신호일 수도 [2013/02/05] 
·쉿, 중소병원 응급의학 전문의 비밀리에 모여 나눈 얘기는... [2013/02/05] 

이민영 기자 tia@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