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만든 서울사무소 있는데 …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0면

울산시 남구가 5일 서울사무소를 냈다.

 남구는 이날 서울 마포구 도화동 테라펠리스 2212호에 면적 72㎡의 서울사무소를 내고 직원 3명을 채용하기로 했다. 직원은 서울에서 현지 채용하는 6급 계약직 공무원 1명과 9급 계약직 공무원 2명이다. 사무소 소장 격인 6급 공무원은 최병국 전 한나라당 울산시 남구 국회의원 보좌관인 이광복(61)씨가 맡았다. 사무소 임대료는 보증금 2억원에 월 임대료 90만원이다. 남구는 직원 급여와 사무소 임대료, 차량 구입비 등을 합쳐 올해 5억3000만원(보증금 포함)의 예산을 확보했다.

 서울사무소를 낸 이유에 대해 김성옥 남구 인사계장은 “2명의 국회의원이 있는 지역구이며 인구 30만 명이 넘는 남구가 국회·정부기관들과 잘 협조해 고래축제를 알리고 국제교류를 강화하기 위해서다”라고 말했다.

 시민들은 아쉽다는 반응이다. 울산시도 서울 용산구 행정공제회관에 사무소를 열고 있는데 구청이 중복해 사무소를 낼 필요가 있느냐는 것이다.

 울산시민연대는 성명서를 내고 “활동 분야가 고래축제 홍보와 중앙부처와의 업무 협조, 출향민 행사 지원 등으로 울산시 서울출장소와 비슷하다. 울산시 서울출장소 활동에 대해서도 효용성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에서 독자적인 활동도 할 수 없는 기관을 만든다는 것은 시민의 이해를 구하기 어렵다”라고 주장했다.

 서울에는 시·도 광역자치단체를 제외하고 국내 기초단체 20여 곳이 사무소를 운영 중이다. 그러나 광역시 소속 자치구가 서울에 사무소를 낸 것은 이례적이다.

  김윤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