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강한 야당은 국민 위해서도 필요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4면

민주당이 어제부터 1박2일간 워크숍을 열고 당의 노선과 계파 청산 문제에 대한 끝장토론을 하고 있다. 대통령 선거 패배로부터 44일 만, 비상대책위 체제가 출범한 지 21일 만이다. 이제라도 당 밖에서 오가던 자성과 질책·진단·대안이 당 안으로 수렴되는 듯해 다행이다.

 그간 논의를 통해 민주당의 진로에 대해선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 있긴 하다. 우선 위기의식 자체다. “절체절명의 위기로 벼랑에 선 기분”이란 절박감은 문희상 비대위원장 혼자만의 감정이 아니게 됐다. “지하의 김대중(DJ) 전 대통령이 통곡한다”(한상진 서울대 명예교수)란 말까지 나온다.

 이분법에서 벗어나자는 다짐도 있다. 민주당이 그간 지나치게 민주 대 반민주, 독재 대 반독재, 반미 대 친미 등 이분법 구도에 안주했다는 것이다. 그 결과가 국민 다수를 소외시킨 진영논리였다. 이념 정치에서 벗어나 생활 정치로 가자는 주장도, 선명 야당에서 대안 야당으로 가야 한다는 제안도 같은 맥락이다. 반대를 위한 반대에만 머물러선 안 된다는 얘기이기도 하다. 민주당이 국가안보와 경제성장에 취약하다는 걸 깨달아야 한다는 주문도 있었다.

 이젠 이 같은 말을 행동에 옮길 때다. 그러기 위해서 민주당은 고질적인 계파주의에서 벗어나야 한다. 계파의 눈으로 보면 친노 책임론이니 계파 청산론이니 하는 게 죽고 사는 문제처럼 느껴질 수 있다. 국민의 눈으로 보면 대수롭지 않은 문제일 뿐이다. 그런데도 계속 싸운다면 공멸이다.

 제대로 된 리더십도 만들어내야 한다. 민주당은 선거 때마다 연대란 명목으로 범야권 세력들을 끌어들이곤 했지만 복잡다기해져 가는 당내 세력들을 끌고 갈 리더십을 형성하진 못했다. 2003년 열린우리당 이래 당 대표가 21명이라니 5개월짜리 대표가 “개혁하자”고 외친들 누가 따르겠는가. 민주당도 지도자 있는 정당이 돼야 한다.

 민주당이 명심할 건 대통령과 정부를 위해, 무엇보다 국민을 위해 진정 강력한 야당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어제·오늘의 말이 내일의 행동으로 이어지길 진심으로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