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바이오, NewScientist 선정 과학계 10대 발명의 영예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의 미국 자회사인 스템인터내셔널이 개발한 인공혈액에 美ACT 연구팀이 유도만능줄기세포 기술을 접목해 혈소판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 기술은 1월 세계 최고 권위의 과학 잡지인 New Scientist로부터 2013년 과학계에 영향을 미칠 10대 발명(보건부문 선정)으로 선정됐다. New Scientist 측은 이번에 개발한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인공혈액을 “획기적인 인간 줄기세포 임상시험이 될 것”으로 소개하며 iPSC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세계 최초 임상시험이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은 미국 내 줄기세포 연구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2008년 자회사인 스템인터내셔널을 설립했다. 이 회사는 2009년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적혈구 생산에 성공했으며 2011년에는 혈소판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ACT사는 당시 스템셀인터내셔널이 만든 인공혈액 기술을 유도만능줄기세포(iPSC)에 접목해 인공혈액을 생산하는데 성공했다. 이번에 성공한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공혈소판은 빠르면 올해 미국에서 iPCS(유도만능줄기세포) 최초로 임상시험을 실시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은 2011년 7월 인공혈소판 개발에 대한 북미 (미국, 캐나다) 시장의 권리를 ACT사에 기술이전의 형태로 넘기고 북미를 제외한 나머지 전세계 지역은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이 소유권을 가지는 형태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인공혈액이 개발돼 상용화가 될 경우 북미 지역 ACT사 매출액의 5%를 제공 받는 것은 물론 북미 내 거대 제약사 등에 재라이센싱 (sub-licensing)할 경우에는 라이센싱 금액의 7.5%를 로열티로 지급받기로 한 바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4만5천 리터에서 9만 리터 이상의 혈액이 부족한 것을 감안할 때 인공혈액은 향후 수익을 올릴 것으로 예상된다.

차바이오앤디오스텍 관계자는 “이외에도 ACT사가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포함한 인공혈액기술이 추가적으로 개발될 경우 우선적으로 차바이오앤디오스텍에 조건없이 기술이전하는 하기로 했다” 고 밝혔다.

차바이오앤디오스텍과 미 ACT사는 협력 관계로 세계 최초의 배아줄기세포 유래 망막치료제에 대한 임상시험을 미국과 한국에서 스타가르트병과 노인성 황반변성 질환에서 진행 중이다. 2008년에는 공동으로 줄기세포 연구를 위해 미국에 스템인터내셔널(Stem Cell & Regenerative Medicine International, SCRMI, 대표이사: 정형민)이라는 회사를 설립하기도 했다. 차바이오앤디오스텍은 스템인터내셔널의 1대 주주로 경영과 모든 연구개발 등에 실질적인 운영을 해 왔다.

[인기기사]

·“의약품 리베이트 더 이상 두고보지 않겠다” [2013/01/30] 
·준 간호사제도 도입 "말도 안돼!" [2013/01/30] 
·“30년 이상 지속된 정부의 저수가, 이젠 벗어나야 할 때” [2013/01/31] 
·새내기 치과의사·한의사·약사 올해는 몇 명 배출됐나 [2013/01/30] 
·지난해 하반기부터 환자수 떨어지더니… [2013/01/30] 

장치선 기자 charity19@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