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자원 해외유출 심각…산림청 DB 구축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우리 자생식물이 해외로 유출됐다 역수입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이 식물자원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구축하고 나섰다.

26일 산림청에 따르면 세계 라일락시장에서 가장 비싼 품종 중 하나인 미스킴라일락은 1947년 한 미국인이 북한산 백운대 부근에서 자라는 정향나무 씨 12개를 받아가 증식시킨 것으로 미국의 57개 조경수 회사에서 묘목당 9-17달러에 팔고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1976년부터 역수입되고 있다.

또 37개 미국 조경수 회사의 인기 품종으로 뿌리를 내려 우리나라로 역수입되고 있는 개나리도 1917년 미국인이 경기도 광교산에서 채집해 간 것이다.

이밖에 현재 네덜란드 등 유럽에서 고가에 팔고 있는 나리(백합) 역시 우리나라 특산 나리들을 교배해 얻은 것들로 우리나라는 이를 네덜란드와 일본에서 수입해 오고 있으며 지난 99년에만 340만달러어치를 사들였다.

이같은 자생식물 해외유출 후 역수입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자 산림청은 식물자원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에 착수, 최근 시스템 구축을 완료하고 27일 인터넷(http://www.foa.go.kr)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이 시스템에는 식물 종(種)정보 4천건을 비롯해 전국 19개 대학 및 16개 수목원에 산재해 있는 표본과 보유정보 40만3천여건이 총망라돼 있으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식물 종정보 40만건과 2차원 바코드 시스템 및 한국형 맵 베이스(Map Base)도 개발돼 구축돼 있다.

산림청 관계자는 "생물다양성 협약에 따라 자국 식물에 대한 배타적 권리가 인정되는 현실에서 우리 식물자원에 대한 체계적 정보화는 우리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중요한 증거자료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산림 내 토양과 동물, 곤충 등 산림생태계에 대한 총체적 정보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전=연합뉴스) 정윤덕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