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담보 비율 완화할 듯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은행들이 가계대출 연착륙을 위해 기존 주택담보대출의 만기연장에 대해선 주택 담보인정 비율을 완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현재 신규 주택담보대출은 담보가격의 55~60%까지만 빌릴 수 있지만 기존 대출의 만기분에 대해서는 이보다 담보인정 비율을 높여 최고 1백%까지 인정해주겠다는 것이다.

15일 금융계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주택담보대출 만기 연장 때 예전 담보비율을 그대로 인정해주기로 했고, 한미은행도 올해 만기도래하는 담보대출 1조1천억원어치에 대해 기존 담보비율을 유지해주기로 했다. 부동산 가격이 내렸거나 연체 등으로 신용상태가 나빠진 경우 외에는 종전 대출금 전액의 만기를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하나은행은 기존 담보대출의 만기분에 대해 신용이 나쁜 경우만 최대 10%까지 깎는다는 입장이다.

우리은행은 기존 대출의 만기연장분에 대해서는 주택가격의 70%까지 담보비율을 적용해주기로 했다. 우리은행은 당초 6월 말까지만 기존 대출의 담보비율을 우대할 계획이었으나 방침을 바꿔 당분간 만기분에 대해서는 주택가격의 70%를 인정해주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지금까지는 종전 조건대로 만기연장을 해주고 있으며 조만간 이에 대한 방침을 정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신규 주택담보대출의 대출 가능 금액은 줄어들지만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기존 대출 조건대로 최고 1백%까지 담보가격을 인정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은행 관계자들은 "대통령 당선자가 가계대출 연착륙 방안을 마련하라고 하기도 했지만, 갑자기 대출금을 많이 갚도록 했다가는 정상 대출도 부실화할 수 있다"며 "대출을 까다롭게 규제하는 신규 대출과는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정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