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연구소의 발족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국과학기술연구소의 첫 단계 재정지원을 위한 한·미 사업 협정이 4일에 그 체결을 보게 됨으로써 동 연구소의 정식발족을 보게 되었다. 동 연구소는 지난 65년 5월 18일의 「박·존슨」대통령의 공동성명에 의해서 한·미 양국정부의 지원이 보장되었던 것이며, 그동안 「바텔」 전문가단의 기관설치계획에 의거하여 그 설립이 추진되어 온 것인데, 초기 5개년 간의 소요자금액은 내자 14억3천7백21만 원과 외자 6백70만5천불로 추계 되고 있다. 4일에 서명된 사업협정은 동 연구소의 조정기간중 미 과학연구기관에 의한 운영지도와 기술자문을 지원키 위한 미국개발증여자금 75만 7천불과 초년도의 운영비 및 건설비 조로 원화 3억5천만 원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박 대통령을 설립자로 하는 동 연구소는 그 정관에 정부사업체 또는 기타영리단체로부터 독립되어 자율적으로 운영토록 되어있으며, 과학기술 및 공업경제에 관한 시험 연구 및 조사를 종합적으로 수행하고, 그 성과를 보급함으로써 산업기술개발에 기여함을 그 설립목적으로 규정하고 있다.
종합적인 기술개발연구「센터」가 없었던 탓으로 기초연구나 응용분야를 막론하고 기술의 산업상 이용은 개별적인 분산된 연구에 방치되어 오다시피 하였다. 그렇다고 대학이나, 개별업체의 부속연구시설은 아직도 기초적인 실험시설단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체계적인 종합연구시설의 필요성은 자못 높았었다. 과학기술연구소의 발족으로 이제 비로소 그 소망의 일이 충족될 가능성을 보게된 것이다. 산업상 수요에 즉응한 기술의 적용, 물리적 자원의 제약을 메워줄 기술개발, 경제 및 사회개발을 촉진시킬 기술혁신의 필요성은 그 어느것 보다도 으뜸가는 한국사회의 요구이다.
기술혁신이 경제발전의 기본계기이고, 그것을 선도하는 기업가가 근대사회의 첨병이며, 새로운 기술의 보편화의 정도로써 사회의 성숙도를 잴 수 있다는 것은 일반화 한 상식이다. 그러나 기술의 이용과 개발은 산업사회의 발전단계에 따라 그 수준과 계열을 달리하는 것이므로, 우리사회의 단계적인 이행과정에 맞춰서 경제적으로 가장 타당성이 있는 기술이 개발이 되고 도입이 되어야 한다. 무턱대고 첨단적인 선진기술을 추적하거나, 그와 반대로 낮은 기술 진보율에 만연히 정체되는 일이 있다면 이것은 기술의 경제적·사회적 관련을 무시한 것이 아닐 수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기술의 종합적 개발은 기술개발에 대한 경제적 수요와 경제개발에 대한 기술적 유발의 양면을 종합하고 정리하는 기본작업까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과학기술의 연구는 산업과 경제와 사회에 걸친 통합적인 연구를 수반하지 않을 수 없으며, 이에 동 연구소의 연구영역의 조정도 이러한 의미관련 위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차 전후의 서독과 일본의 이례적인 경제발전도 기왕의 국내기술의 축적을 토대로 한 신기술에의 고도의 적응능력에 연유된 것이었다. 국내외에 산재되어 있는 한국의 우수한 기술두뇌가 과학기술연구소에 집결이 되어 무한한 가능성을 개척케 되었으면 하는 것은 초미의 국민적 염원이다. 세계적 수준의 시설과 충분한 대우조건을 갖춤으로써 과학도가 그들의 연구기회를 갖게 되고 세계과학사회의 일원이 되며 그들의 연구성과가 이 나라 산업사회의 개발을 선도하게 되기를 거듭 바라마지 않는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