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국 '북핵 해법'] 중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중국의 원칙적 입장은 '한반도 비(非)핵화'와 '번영과 안정'이다. 따라서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등 북한의 극단적 대응을 매우 우려하면서도 이같은 상황을 낳게 한 조지 W 부시 미국 행정부의 강경 조치에 대해 마찬가지 불만과 우려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북핵 문제를 안보리에 회부해 토의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매우 소극적이거나 회의적이다.

베이징(北京)의 한 외교소식통은 "한반도에 북핵 문제로 인해 불안이 야기되는 상황의 큰 책임은 미국에 있다는 게 중국 정부의 시각"이라며 "미국은 조건 없는 대화로 북핵 문제를 풀어가야 하며 북한만 다그치는 것은 사태 해결에 도움이 안된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른 소식통은 "중국은 북한 핵 문제를 안보리에 회부하기 전에 먼저 미국이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입장을 견지해 왔다"면서 "대화에 나서지 않는 미국에 대해 이미 여러 차례 불만을 표시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의 외교가에서는 북핵 문제가 안보리로 넘어가 결의해야 할 상황이 생기면 중국이 '기권표'를 행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중국은 또 1993~94년 1차 한반도 핵 위기 때와 마찬가지로 국제사회가 북한을 비난하는 결의문을 채택하는 데 대해서도 반대할 것으로 외교 소식통들은 전망하고 있다.

베이징=유광종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