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업계 긴급자금 지원 요청 러시

중앙일보

입력

미국 의회가 세계무역센터 등에 대한 테러사건 이후 항공운송업계에 구제금융을 제공키로 하자 다른 업계 기업들도 저마다 긴급자금지원 요청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항공사에 대한 150억달러 규모의 자금지원에 대해서도 불만이 있는 의회내 긴축재정론자들은 다른 업종에 대한 지원은 '절대 불가'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해가 걸린 업종단체들은 로비스트를 최대한 동원, 어떻게 해서라도 구제금융을 따내기 위해 의회, 정부 등 요로에 설득작전을 펴고 있다.

27일 뉴욕 타임스 보도에 따르면 보험업계는 앞으로 테러로 인해 보험회사들이 손실을 보게 되면 그 부분을 정부가 지원해 주길 기대하고 있다. 여행사들은 40억달러 규모의 구제금융을 바라고 있다. 조종사, 음식점 등 테러 피해자들은 이번 충격에서 살아남기 위한 정부지원을 촉구하고 나섰다. 대기업들은 대규모 감세를 요구하고 있다.

이들이 로비스트들을 대거 동원하게 된 것은 테러사건 이후 경제가 급속히 침체로 빠져들 것으로 우려되면서 테러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정부의 기업지원의지가 어느 때 보다도 강하기 때문이다.

테러 사건을 계기로 마련될 경기부양책에는 항공운송업계와 테러 피해자 지원을 위한 400억달러의 긴급자금 방출 외에도 추가로 400억~600억달러를 지원하는 내용이 포함될 가능성이 크다. 각 업종 로비스트들의 역할은 최대 1천억달러에 달하는 이 지원금의 극히 일부라도 받아내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것이다.

보험업계는 이번 사건 이후 '풀 재보험'제도 도입을 밀어붙이고 있다. 이 제도는 테러행위에 대한 최종보험회사가 정부가 되도록 함으로써 보험업계의 부담을 덜자는 것이다. 미국보험협회측은 "우리는 구제금융을 달라는 것도 아니고 직접 지원을 요청하는 것도 아니다. 단지 정부가 최후의 보루 역할을 해 달라는 것이다"라며 자신들이 정부에 손을 벌리는 것은 아니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에 비해 여행업계는 직접적인 지원을 요청하고 있다. 무상지원과 무이자대출을 포함 40억달러가 필요하며 항공사의 항공권판매수수료 인하를 막아달라는 것이 여행업계의 요구사항이다.

호텔업계는 법인세율을 낮춰주고 새로운 보안시스템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자금지원 등을 요구하고 있다. 요식업계는 세액공제가 절실하다는 입장이다.

철강업계는 현재 미국이 전쟁상황에 있는 만큼 무기제조에 들어가는 철강제품의 공급을 국내업체들이 맡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며 철도운송업체인 암트랙은 테러사건 이후 철도운송수요가 높은 만큼 이 부문에 대한 투자를 위해 32억달러의 긴급자금 방출을 요구하고 있다.

경영난을 겪고 있는 많은 기업들은 미국 노동 총연맹 산업별 회의(AFL-CIO)와 함께 연대해 해고된 직원들에 대한 수당지급을 정부가 보증해 줄 것을 요구하는 등 각계가 저마다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는 상황이다.(뉴욕=연합뉴스) 강일중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