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재산종합보험료 30∼100% 인상될 듯

중앙일보

입력

미국 테러공격 여파로 해외 재보험시장이 경색되면서 이르면 이달말부터 대기업의 재산종합보험료가 30∼100% 인상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보험가액 5천억원 이상의 공장이나 시설물을 보유하고 있는 30대 기업의 부담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

26일 손해보험업계에 따르면 세계 재보험사들의 평균 합산비율은 지난 97년 101.6%, 98년 105.6%, 99년 114.9%, 2000년 116.0%를 각각 기록하면서 전세계 보험업계가 경영난에 시달려왔다.

특히 지난 11일 오전(현지시간) 미국 뉴욕과 워싱턴 등지에서 발생한 테러공격사건으로 해외 손보사들이 모두 22조∼52조원의 보험금을 지급해야 할 것으로 추정되면서 세계 재보험시장이 극도로 경색되고 있다.

이 때문에 과거 화재사고가 없었던 전자.시멘트 업종의 국내 대기업은 올해 재산종합보험계약 갱신시 작년도보다 30∼50% 인상된 보험료를 내야 할 것으로 손보업계는 예상하고 있다.

이들 업종에 속한 기업들 가운데 이전에 화재사고가 발생했던 곳은 작년의 2배나 되는 보험료를 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이달말 재산종합보험계약이 만료되는 국내 A전자의 경우 보험회사로 부터 100% 오른 보험료를 제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손해율이 높은 석유.화학이나 면방직.목재업종의 대기업은 100%이상 오른 보험료를 납부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 손보사 관계자는 "국내 손보사들은 매년 기업과 대형 재산종합보험계약을 하면 위험도를 분산시키기 위해 해외 재보험회사에 보험을 가입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해외재보험사들이 미 테러공격 이후 대폭 인상된 보험료율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특히 해외 재보험회사들은 원사나 직물, 제지, 목재가공, 석유화학업종 등 위험도가 높은 보험물건의 인수를 극도로 꺼리고 있기 때문에 국내 손보사들은 재보험을 가입하는 데도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화재사고가 난 적은 없었지만 위험도가 높은 업종의 기업들은 보험계약갱신시 종전보다 큰 폭으로 오른 보험료를 내야 하는 것은 물론 계약자 자기부담금인상, 보상한도액 인하 등 불이익을 받게 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전준상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