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보고서 읽은 이건희 회장 "처자식 빼고 다 바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후쿠다 다미오(64·사진) 일본 교토공예섬유대학 교수는 28일 “삼성은 경영진과 직원들이 필요한 변화를 함께 실천했고, 일본 전자업계는 실천하지 못했다. 거기서 성패가 갈렸다”고 말했다. 그는 삼성 ‘신(新)경영’의 계기가 된 ‘후쿠다 보고서’의 작성자다. 중앙일보는 다음 달 1일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 취임 25주년을 앞두고 후쿠다 교수와 e-메일 인터뷰를 했다. 그는 1987년 이 회장 취임 뒤 삼성전자 고문으로 영입돼 10년간 삼성전자에서 일했다.

 후쿠다 교수는 “삼성은 꼭 해야 할 일을 회사 전략으로 만들고, 이 전략에 맞춰 전 직원이 일사불란하게 움직여 즉각 실행에 옮겼다. 그 결과 디자인을 경영자원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분석했다. 디자인을 경영자원의 요소로 인식하고, 어떤 제품을 만들지 말지 등 기획부터 생산까지의 전 과정에 디자인이 함께하는 방식으로 변신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1990년대 초반부터 10년간 진행된 이 회장의 개혁 드라이브가 오늘날 삼성 성공의 밑바탕이 됐다”고 덧붙였다. 그는 일본 전자업체들에 대해서는 “디자인의 중요성은 알았지만 구호에 그 친 것이 침체 원인”이라며 “1억 명이라는 내수 시장에 안주하면서 해외 시장 개척의 절실함이 부족했던 것도 이유”라고 진단했다.

 중앙일보는 그동안 외부에 알려지지 않았던 ‘후쿠다 보고서’의 핵심인 ‘경영과 디자인’ 부분도 입수했다. 보고서에는 19년 전 ‘질(質) 경영’을 고민하던 이건희 회장과 경영진의 고민이 질문 형태로, 이에 대한 디자인 전문가들의 조언이 답변으로 담겨 있다. 보고서에서 삼성 경영진은 “왜 우리 디자인은 독창성이 떨어지는가” 를 포함해 40여 개의 질문을 쏟아냈다. 이에 후쿠다 교수는 문항마다 상세한 답을 내놨다. ‘디자인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단순히 형태나 색을 만드는 게 아니다. 제품의 편리성 연구에서 시작해 부가가치를 높여 이용자의 생활을 창조하는 문화 행위”라고 설명했다.

 ‘후쿠다 보고서’는 1993년 6월 4일 일본 도쿄 오쿠라호텔에서 이 회장에게 건네졌다. 이튿날 독일행 비행기에서 보고서를 정독한 이 회장은 임원진 200명을 프랑크푸르트에 소집했고, 사흘 뒤 “마누라와 자식 빼고 다 바꿔라”라는 ‘이건희 신경영’을 선포했다.

박태희·이지상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