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수출 한국의 징검다리 홍콩

    【홍콩=이종호 특파원】홍콩은 우리 나라 수출 시장 가운데 미국·일본 그리고 월남에 다음 가는 큰 시장이다. 지난해의 대 홍콩 수출 실적은 3천8백54만불. 비록 규모 면에서는 미국

    중앙일보

    1971.04.01 00:00

  • |현장 취재…70만 교포 성공과 실패의 자취|동남아 (2)|망신 도매…진열된 「타락 상도」|홍콩=이종호 특파원

    영국의 직할 식민지 「홍콩」에는 현재 1백44가구 4백22명의 한국인이 살고 있다. 그러나 해방 후 25개 성상이 흘렀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중 이렇다할 기반을 잡은 사람은 별로 없

    중앙일보

    1971.03.16 00:00

  • 천대받는 민속관

    우리나라에 단 하나 밖에 없는 「한국민속관」은 폐관해버린 채 금년에도 문을 열 전망이 없다. 임시 휴관이란 명목으로 문을 닫은지 만1년이 되는 민속관은 지난10월에 전선마저 끊어버

    중앙일보

    1971.01.14 00:00

  • 정비단계 들어선 백화점

    우리 나라의 백화점은 일정한 룰과 질서가 없이 잡화점의 성격을 벗어나지 못한 채 전국적으로 1천여 개가 산재해있다. 특정업종의 소매상집단 또는 일부 소매상이 백화점간판을 달고 있는

    중앙일보

    1970.10.07 00:00

  • 수사식 취재로 권력 부정 파헤 친 뉴스데이(미) |사설도 가담

    금년초, 70년도 「풀리처」상의 공개부문 보도상이 발행 부수 46만의 지방지 뉴스데이지에 수여되었을 때 미국의 언론계에서는 그 결정이 더 없이 공정한 것이었다는 점에 의견을 모았다

    중앙일보

    1970.09.22 00:00

  • 7개 구에 간이 시장

    서울시는 10월부터 종로·중구를 제의한 7개 구에 구청 단위로 간이시장을 개설, 노점잡상인을 수용할 계획이다. 양탁식 서울시장은 현재 노점잡상인은 모두 1만2백49명으로 시내 1백

    중앙일보

    1970.08.25 00:00

  • (15)시장

    서울시의 시장행정처럼 난맥을 이루고 있는 것도 드물다. 1백 15개 시장과 8개 백화점 가운데 무허가시장이 29개나 된다. 종로구엔 허가시장이 2개소인데 비해 특히 무허가시장은 2

    중앙일보

    1970.08.18 00:00

  • "우리 가게에 머무르는 시간 단 1분" 구호 내걸고 미서 「컨비니언스·스토어」대인기

    『머무르는 시간 단 1분』의 「캐치프레이즈」를 내 걸어 『가깝고 빠르며 쉬지 않는』점포가 미국에서 소비자의 인기를 모으고 있다. 「컨비니언스·스토어」 (Convenience Sto

    중앙일보

    1970.07.31 00:00

  • 바닥난 수돗물…그 지대를 가다

    수도물 부족은 이제 서울시민을 물 전쟁의 단계로 몰아 넣고 있다. 급수차의 물을 서로 차지하려고 이웃 동민들끼리 싸움까지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서울의 수도물 부족은 3개월 가까이

    중앙일보

    1970.05.12 00:00

  • 정찰제실시 난관에

    오는 4일부터 시내 1백 37개 시장과 백화점, 상가 등의 정찰제 실시를 앞두고 무허가시장과 상가 등이 정비되지 않고 있어 이의 전면 실시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들 무허가시장

    중앙일보

    1970.04.02 00:00

  • 3일천하…갑신정변의 모의처|한말 우정국본관

    안국동 네거리에서 신신백화점으로 가는길 중간쯤에서 오른쪽의 좁은 골목을 10m 정도들어가면 한말우정국 본관 건물이있다. 견지동 39번지. 옛날에는 5백여평의 대지안에 10여채의 행

    중앙일보

    1970.03.23 00:00

  • 월동 적신호|김장감 감수·연료난으로

    날씨가 차가와짐에 따라 김장철이 다가오며 연탄 등 겨울을 날 월동준비에 신경을 쏟게 한다. 올해는 삼남지방의 수해로 배추·무 등 김장감의 작황이 평년의 30%나 감수될 것이 예상되

    중앙일보

    1969.10.10 00:00

  • 막내린 피서전쟁|후반서열올린「바캉스」결산

    올여름 「바캉스」도 24일을 막바지로 사실상 끝났다. 그동안 전국곳곳에 피서 나들이를한 인파는 줄잡아 9백만명정도. 전인구의 3분의1에 가까운 수효가 여름 바다와 산, 강줄기를 찾

    중앙일보

    1969.08.25 00:00

  • 꼬리무는 지리산 도벌 막을수없나|「인간송충」은 건재하다

    10여년 전통을 지닌 도벌의 본산 지리산엔 아직도 인간송충이 건재하고 있다. 지난 6월22일에는 안동영림서 남원관리소 직원11명이 서로 짜고 도벌목 8천여재를 「트럭」으로 부정 반

    중앙일보

    1969.07.05 00:00

  • 여름들자 식수수요 격증|목마른 대도시

    한여름철을 맞아 서울을 비롯한 부산·대구·광주·인천등 대도시가 식수난으로 갈증에 허덕이고있다.이 같은 식수난은 계획성없는 행정과 도시인구집중현상이 날로 심해가는데 상수도시설 확장은

    중앙일보

    1969.07.03 00:00

  • (157) 희망의 계단 「코리언」의 해외개발

    원시의 거목에 문명의 톱날이 파고든다. 『부르릉!』 한두번의 작은 폭음이 「정글」에 메아리치더니 「체인·소」(기계톱)는 회색 연기를 뿜는다. 한아름의 톱밥을 갉아내기 20분, 대여

    중앙일보

    1968.08.17 00:00

  • 가짜『인도네시아』인|「인니 협회」최은하의 사기행각

    「인도네시아」인을 가장한 한. 인니협회장 최은하(50·서울도동 1가38의9)의 사기 행각을 가리켜 수사당국자는 제2의「가네시로」사건이라 했다. 이름부터가 터무니 없는 가짜다 「수하

    중앙일보

    1968.06.06 00:00

  • (19) 외항 객·화선「견우호」취항

    『뚜-뚜-』 만국기가 펄럭이는 부산항. 5색「테이프」가 끊어지자 「견우」는 공룡처럼 잽싸게 푸른물결위를 미끄러져 나갔다. 2일하오2시. 신조도입으로는 처음인 외항객·화선견우호(알태

    중앙일보

    1968.02.03 00:00

  • 한국학의 새 시대|국제동양학자대회를 다녀와서-유홍열

    나는 지난 8월13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미시간」대학에서 열린 제27회 국제동양학자대회에서 참석하고 28일 귀국하였다. 이 국제동양학자대회는 1873년부터 개최되어 처음에는 근동

    중앙일보

    1967.08.31 00:00

  • 굳어가는 표의 향방 전국 131개 구의 대세

    시간 갈수록 기울어 ◇종로=표 싸움으로 맞선 50년 내의 친구 유진오 신민당 당수와 김성진 공화당 중앙위 의장의 대결은 시간이 갈수록 판세가 기우는 듯. 둘이 모두 정치인으로서

    중앙일보

    1967.06.01 00:00

  • 굳어가는 「표」의 향방 전국 131개구의 대세

    【4면에서 계속】 여서 사설조직까지 ◇완주=유범수(공화) 배성기(신민) 이성노(자유)씨간의 삼파백병전. 현역의원인 최영두 전 문공위원장을 눌러 공천을 받은 유씨는 당 조직과 「완우

    중앙일보

    1967.06.01 00:00

  • 한국외교의 허점 「국제적 타산」앞에 무력 드러낸 김귀하 선수 강제 북송

    북송 권투선수 김귀하(27)씨가 끝내 북괴로 강제 송환된 사실은 분단국가외교가 지닌 「아킬레스」의 뒤꿈치 같은 아픔이었다. 국제권력정치의 타산 앞에 인도주의가 패배해버린, 그리고

    중앙일보

    1966.12.16 00:00

  • 봄은 와도 외로운 동심 놀이터가 없다

    봄이 와도 서울의 어린이에게는 마음놓고 놀 놀이터가 없다. 서울시는 도시계획에 따라 89개소의 어린이놀이터(아동공원)를 설정했으나 그중 14개소만이 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미 시설

    중앙일보

    1966.03.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