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세계적 복제혁명 3D서 시작됐다

    세계적 복제혁명 3D서 시작됐다

    ▶ 황우석 교수는 매일 새벽 40분씩 짬을 내 국선도 수련을 한다 23일 오전 5시40분 관악산 밑 서울대 수의대 건물. 석사 3학기생 권대기(27)씨가 묵직한 가방을 들고 연구실

    중앙일보

    2004.02.25 06:09

  • [중앙 시평] 과학기사, 정확성이 첫째다

    서울대의 황우석.문신용 교수팀이 인간배아 복제를 통해 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했다는 연구 성과가 보도되는 과정에서 국내 언론 매체들 간에 상당한 논란이 있었다. 중앙일보가 다른 언론보

    중앙일보

    2004.02.22 18:35

  • 질병 치료법 확 바꿀 줄기세포

    국제적 학술잡지인 사이언스가 황우석.문신용 교수팀을 초빙해 기자회견과 함께 강연을 하기로 한 곳은 미국 시애틀 중심가에 있는 그랜드 하얏트 호텔이다. 하루 방값만 3백달러나 되는

    중앙일보

    2004.02.20 09:49

  • [홍혜걸의 건강 이야기] 질병 치료법 확 바꿀 줄기세포

    국제적 학술잡지인 사이언스가 황우석.문신용 교수팀을 초빙해 기자회견과 함께 강연을 하기로 한 곳은 미국 시애틀 중심가에 있는 그랜드 하얏트 호텔이다. 하루 방값만 3백달러나 되는

    중앙일보

    2004.02.19 15:48

  • 타임ㆍ뉴스위크도 황 교수 연구성과 극찬

    미국의 시사주간지 타임과 뉴스위크가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만으로 '인간 배아(胚芽) 줄기세포'를 만드는데 성공한 서울대 황우석.문신용 교수팀의 연구업적을 극찬했다. 타임과 뉴스위크

    중앙일보

    2004.02.18 09:42

  • NYT 한국 줄기세포 연구성과 이틀째 대대적 보도

    체세포와 난자만으로 '인간 배아(胚芽)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한 서울대 황우석.문신용 교수팀의 연구업적에 대해 미국의 권위지 뉴욕 타임스가 이틀째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타임스

    중앙일보

    2004.02.16 10:15

  • "장기 복제 美 회견 성황"

    여성의 난자를 이용해 인간의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한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13일 오전 4시(한국시간) 미국 현지에서 국제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

    중앙일보

    2004.02.16 09:46

  • [글로벌 아이] 바이오 코리아의 약진

    사람의 난자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해 장기(臟器)복제의 길을 연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개가로 한국은 일약 세계 생명공학의 '파워하우스'로 떠올랐다. "가위 기적이다" "놀라 까무러칠

    중앙일보

    2004.02.15 18:13

  • "장기 복제 美 회견 성황"

    여성의 난자를 이용해 인간의 배아줄기세포를 배양하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한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 결과가 13일 오전 4시(한국시간) 미국 현지에서 국제 기자회견을 통해 발표

    중앙일보

    2004.02.13 18:39

  • [취재일기] 엠바고와 언론

    [취재일기] 엠바고와 언론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세계적 과학저널인 '사이언스'나 '네이처'등에 논문을 발표하는 일은 연간 10여 편에 그칠 정도다. 그렇게 어려운 만큼 그 연구 성과에 실리는 무게 또한 큰

    중앙일보

    2004.02.13 18:21

  • [줄기세포 배양] 臟器 복제 길 한국인이 열었다

    [줄기세포 배양] 臟器 복제 길 한국인이 열었다

    국내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만으로 인간 배아(胚芽) 줄기세포를 만들어내는 개가를 올렸다. 난치병 치료의 관건이 되는 줄기세포 배양은 지금까지 동물의 난자에 체

    중앙일보

    2004.02.13 16:47

  • [줄기세포 배양] 정부 지원은 5억뿐

    [줄기세포 배양] 정부 지원은 5억뿐

    프랑스를 빛낸 역사상 최고의 영웅은 누구인가. 많은 사람은 나폴레옹을 첫손으로 꼽는다. 그러나 실제 프랑스 국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해보면 그게 아니다. 파스퇴르를 꼽는 사람이

    중앙일보

    2004.02.13 16:14

  • [중앙일보 '국제 엠바고' 파기 파문의 실상]

    12일자 중앙일보에 '장기 복제 길 한국인이 열었다 - 서울대 황우석·문신용 교수팀 세계 첫 개가' 기사를 단독보도한 중앙일보 홍혜걸 기자입니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금지 약속(엠바

    중앙일보

    2004.02.13 15:58

  • 사이언스誌 인간 배아줄기 세포 개발 논문 게재

    세계적인 과학잡지 사이언스는 국내 과학자의 쾌거인 인간 배아줄기세포 개발에 대한 논문을 2월12일자 커버스토리로 게재했다. 사이언스 인터넷 속보인 사이언스 익스프레스(www.sci

    중앙일보

    2004.02.13 11:56

  • 중앙일보가 특종 보도 안했다면 국내학자 개가 外信 베낄뻔

    중앙일보가 특종 보도 안했다면 국내학자 개가 外信 베낄뻔

    연구에 참여한 노성일 미즈메디 병원장이 12일 서울대병원에서 생체 내 세포 분화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김상선 기자] 국내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사람 난자에서 줄기세포를 배

    중앙일보

    2004.02.12 23:54

  • 장기복제 특종, 엠바고 파기 논란

    국내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사람 난자에서 줄기세포를 배양해 내는 개가를 올렸다. 세계는 한국인의 저력에 놀라고 있다. 중앙일보는 이 내용을 지난 12일자로 특종보도했다. 그러나

    중앙일보

    2004.02.12 23:40

  • 한국인이 연 장기 복제

    한국 과학자들이 세계 최초로 사람의 체세포와 난자만으로 인간 배아(胚芽) 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 (본지 2월 12일자 1면)이 12일 세계 언론들에도 주요 뉴스로 소

    중앙일보

    2004.02.12 18:39

  • [취재일기] 정부 지원은 5억뿐

    프랑스를 빛낸 역사상 최고의 영웅은 누구인가. 많은 사람은 나폴레옹을 첫손으로 꼽는다. 그러나 실제 프랑스 국민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해보면 그게 아니다. 파스퇴르를 꼽는 사람이

    중앙일보

    2004.02.12 18:38

  • [권영빈 칼럼] 절망, 그러나 희망은 있다

    생물교사 이태원은 스승 최기철 교수의 영향을 받아 민물고기를 공부하기 시작했다. 이때 그는 우리나라 고전에 나타난 기록들을 접하면서 물고기 이름의 어원과 역사 관련 기록에 관심을

    중앙일보

    2004.02.12 18:17

  • [사람 난자서 줄기세포 배양] 복제羊 돌리 뛰어 넘는 '생물학적 사건'

    "한두달 내 복제양 돌리 탄생에 버금갈 정도로 생물학사에 큰 획을 긋는 사건을 목격할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광우병 예방 소 복제에 성공한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가 기자와의

    중앙일보

    2004.02.12 11:37

  • [사람 난자서 줄기세포 배양] 복제羊 돌리 뛰어 넘는 '생물학적 사건'

    [사람 난자서 줄기세포 배양] 복제羊 돌리 뛰어 넘는 '생물학적 사건'

    "한두달 내 복제양 돌리 탄생에 버금갈 정도로 생물학사에 큰 획을 긋는 사건을 목격할 것입니다." 지난해 12월 광우병 예방 소 복제에 성공한 서울대 수의대 황우석 교수가 기자와의

    중앙일보

    2004.02.12 06:38

  • "급구 ! 송아지 혈청" 바이오 연구진 호소

    대구 계명대 의대 의학유전공학 교실의 박종구 교수는 요즘 '젖동냥' 받는 기분으로 살고 있다. 동물세포를 배양하는 데 사용해온 '우태혈청(자궁 속 송아지의 혈청)'을 구하기 위해

    중앙일보

    2004.02.04 15:19

  • 무균돼지 세포 제공한 시카고의대 김윤범교수

    "평생을 바친 연구의 결과물이 모교를 위해, 그리고 조국을 위해 쓰일 수 있어 너무 다행입니다." 시카고의대 김윤범(74)교수는 서울대 수의학과 황우석 교수팀의 '무균 돼지'복제에

    중앙일보

    2004.01.14 15:37

  • [황우석·황창규 시대를 논하다] 中. 이공계를 살리는 길

    [황우석·황창규 시대를 논하다] 中. 이공계를 살리는 길

    사회=두번째 주제인 '이공계 살리기'다. 두 분 모두 대표적인 이공계 출신이다. 먼저 이공계의 현실이 어떻다고 보는가. 황창규=서울대에 강의를 나갔을 때 일이다. 강의실 2백석이

    중앙일보

    2004.01.02 19: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