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최고선의 기준|이남채

    복은 맑고 겸손한데서 생기고, 덕은 낮추고 겸손한데서 생기고, 도는 고요하고 의로운데서 생기고, 생명은 화창한데서 생긴다. 그러면 맑고, 검소하고, 낮추고, 겸손하고, 고요하고,

    중앙일보

    1975.03.15 00:00

  • (4)해방 삼십년의 문제작·문제 작가|대표 집필 변인식

    이 땅에 영화 예술의 싹이 돋아나기 시작한지도 1919년 8월 15일 이래 어언간 56년이 흘러갔다. 크게 나누어서 26년의 일제 암흑시대를 전기로, 그 뒤 해방 후 약 30년간을

    중앙일보

    1975.01.15 00:00

  • 칠기에「동」자·동물 그림

    【경주=옥치인·김택현 기자】경주 황남동 제98호 고분에서 명문이 있는 칠기조각과 동물 그림이 있는 칠기편, 그리고 지난번에 나온 것과 같은 금제 고배 3개 등이 쏟아져 나왔다. 발

    중앙일보

    1974.10.23 00:00

  • (998)정치여성 반세기(18)|박순천

    지금으로부터 30여 년 전에 여성들의 힘으로 신문을 하나 창간할 수 있었다는 것은 지금 다시 생각해도 마음 벅찬 일이다. 46년5월2일에 첫 호를 낸 후 6·25로 중단될 때까지

    중앙일보

    1974.03.16 00:00

  • (890)제32화 골동품비화40년(31)

    연전에 작고한 이병직씨는 아주 온유한 성품의 선비 풍의 인물이었다. 평생 서화 골동을 극진히 좋아해서 깨끗한 물건을 많이 가졌었다 .해방 전에 원남동에 살았었는데 한 달에 한번정

    중앙일보

    1973.11.03 00:00

  • (885)골동품 비화 40년(26)|박병래(제자 박병래)

    전에도 말한바와 같이 나는 원래 도자기에 곁들여 서화를 모았기 때문에 그리 많지는 못하였다. 아마 1백점 내외가 아니었나 생각된다. 그런데 1·4후퇴 때에 이 서화도 도자기와 함

    중앙일보

    1973.10.29 00:00

  • (874)골동품 비화40년(15)|박병래(제자 박병래)

    일제 때 고려청자병 한쌍이 경매장에 나온 일이 있었다. 경매장에서 중개인이 한 손에 병 하나씩을 쥐고 값을 부르다가 잘못해서 오른손에 든 것을 깨뜨렸다. 나중에 그것을 판상하려

    중앙일보

    1973.10.16 00:00

  • (484)인도군의 포로 관리(9)|설득 설전(5)

    한국군 설득장교들의 친공 포로 설득은 12월 2일부터 11일까지 9일간에 걸쳐 전개됐다. 설득장에 나온 친공 포로들은 모두가 하나같이 공산 학습에서 익힌 문제들을 앵무새처럼 떠들어

    중앙일보

    1973.07.17 00:00

  • 고 김용호 형의 영전에|안수길

    김용호 형. 형의 부음은 큰 충격이 아닐 수 없습니다. 앓고 계시다는 말은 들었으나 이렇게 갑자기 돌아가시리라고는 정말 뜻밖이기 때문입니다. 그럴 것이 벌써 여러 해 전의 일입니다

    중앙일보

    1973.05.16 00:00

  • (439)전시의 문화인들(4)

    문인들의 종군 활동은 6·25직후부터 시작되었지만 이들이 정식으로 단체를 만들어 조직적인 활동을 벌인 것인 마해송씨(고)를 중심으로 한 「공군 문인단」이 제일 먼저였다. 51년3월

    중앙일보

    1973.03.30 00:00

  • 50대의 세 여류 박사

    금년 봄 새로 배출된 2백69명의 박사들 중에는 50대의 세 여류 박사가 들어있어 화제가 되고있다. 이대 유희경 교수(피복사), 중앙대 윤서석 교수(식품사), 연세대 홍창영 교수(

    중앙일보

    1973.03.05 00:00

  • 3·1문화상 근로상받는 최성덕 여사

    3·1문화재단제정 금년도 3·1문화상 근로상 수상자로 결정된 최성덕여사(72)는 『남을 도울수있는 입장에 있다는 것이 그지없이 감사할뿐』이라고 수상의 영광을 먼저 하느님께 돌렸다.

    중앙일보

    1973.02.07 00:00

  • (515) |내가 아는 이 박사-경무대 사계 여록 (142)|김갑수

    장관의 독직 사건이기는 하지만, 그 기소 여행에 부장 검사 회의를 연다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었다. 권 총장은 장관의 지시에 검찰의 총의로써 대항한 것이다. 부장 검사 회의의 결론

    중앙일보

    1972.07.20 00:00

  • (483)|내가 아는 이 박사 경무대 4계 여록(110)|장기영

    체신장관으로 입각하면서부터 나는 다시 이 박사를 가까이 서 모시게 됐다. 이젠 국가 최고통치자인 대통령과 그를 보필하는 각 원의 관계에서. 나의 입각은 전연 뜻밖이었다. 49년

    중앙일보

    1972.06.12 00:00

  • (465)(제자 윤석오)|(제26화)경무대 사계(92)

    6·25동란으로 중앙청의 내부가 불탄 뒤 중앙청에 있던 대통령실은 자연히 없어졌다. 그에 따라 9·28수복 후부터 중앙청 비서실도 경무대로 통합됐다. 평소 중앙청 건물이 일본 통

    중앙일보

    1972.05.22 00:00

  • (463) | 경무대 사계 (90)|김상래

    이 박사는 국내 신문을 거의 읽지 않았다. 그러나 외국 신문 특히 미국에서 발행되는 「뉴요크·타임스」「워싱턴·포스트」등은 관심 있게 읽었다. 그래도 초기에는 공보 비서였던 김광섭

    중앙일보

    1972.05.19 00:00

  • (462) | 경무대 사계 (89)|김상래

    항간에는 이 대통령이 구 황실을 홀대한다는 비난이 있었다. 그러나 내가 알기로는 그렇지 않았다. 오히려 대통령은 『구 황실분들이 체통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에서 도와드리라』는 말

    중앙일보

    1972.05.18 00:00

  • (461) | 경무대 사계 (88)|김상래

    이부란-. 별로 쓰이지 않아 널리 알려지지 않은 「프란체스카」 부인의 한국식 이름이다. 이 이름은 6·25전에 작명 됐다. 「마담」은 서양식으로 이 박사의 성을 취해 「이 프란체

    중앙일보

    1972.05.17 00:00

  • (460) | 경무대 사계 (87)|김상래

    이 박사는 물가에 대한 관심이 대단했다. 쌀값 걱정 때문에 쌀값이 오를 때마다 농림장관을 경질한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이 박사는 가끔 틈나는 대로 남대문 시장 등에 직

    중앙일보

    1972.05.16 00:00

  • 「한국 근대미술 60년전」, 6월 개최|문공부 주최로 3백 점을 선정

    한국의 근대미술을 수집, 총 정리하는 「한국근대미술 60년전」이 오는 6월24일∼7월23일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다. 문공부 주최 국립현대 미술관 주관의 이 미술전은 1900년 이

    중앙일보

    1972.05.05 00:00

  • (445)경무대 사계(72)황규면

    9월에 접어들면서 정가에는 때맞지 않은 찬바람이 불었다. 그 동안 자유당을 쥐고 흔들던 이른바 족청계 제거작업이 벌어진 것이다. 날짜는 잘 기억나지 않지만 하루는 이 박사가 만송

    중앙일보

    1972.04.28 00:00

  • 민족의 증언 목차|4월3일로 총 310회 연재

    ▲가장 길었던 3일(37회) ①=전선과 경무대표정 ②=토요일의 심야 파티 ③=육본의 대책 ④=심야의 비상각의 ⑤∼⑦=국회의 수도사수결의 ⑧=정훈국과 KBS ⑨=대통령의 전화방송 ⑩

    중앙일보

    1972.04.03 00:00

  • (421)경무대사계(48)황규면

    부산 피란 시절의 대통령관저는 경남 도청 뒤에 자리잡은 지사관사였다. 이대통령은 이 지사관사의 조그마한 방에서 집무했다. 너무도 초라한 집무실이어서 우리비서들이 민망할 정도였다.

    중앙일보

    1972.03.30 00:00

  • (251) 국민방위군 사건 (10) 선고와 형 집행

    1951년7월19일 고등 군법 회의는 국민 방위군 사건의 관계 피고들에게 형을 선고했다. 심언봉 재판장은 김태청 검찰관이 구형한대로 5명의 피고에는 사형을, 그리고 5년 구형을

    중앙일보

    1971.11.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