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정월대보름엔 나물? 별미 김밥 '복쌈' 드셔보셨나요 [쿠킹]

    정월대보름엔 나물? 별미 김밥 '복쌈' 드셔보셨나요 [쿠킹]

      윤지아의 저탄수 균형식 ⑥ 안초비 냉이 김밥 저탄수 잡곡밥과 제철 냉이, 안초비, 달걀말이로 만든 김밥. 사진 윤지아 2월 24일, 오늘은 음력으로 1월 15일, ‘정월 대보

    중앙일보

    2024.02.24 08:00

  • [7인의 작가전] 매창 ㅡ거문고를 사랑한 조선의 뮤즈ㅡ #12. 그대의 집은 부안에 있고 (2)

    [7인의 작가전] 매창 ㅡ거문고를 사랑한 조선의 뮤즈ㅡ #12. 그대의 집은 부안에 있고 (2)

    아침 안개가 낀 들판은 아늑하고 포근했다. 가을이 되니 늘 보던 풍경에도 기름기가 돌았다. 피난에서 돌아온 사람들도 하나둘 농사 채비를 시작했다. 논밭의 곡식은 농부에게 자식이나

    중앙일보

    2017.02.06 00:02

  • 수제비 닮은 파스타, 식감은 쫄깃

    수제비 닮은 파스타, 식감은 쫄깃

    ● 로마식 세몰리나 뇨끼 (4인분) 주재료: 세몰리나(밀을 가공한 것으로 밀가루보다 입자가 거칠고 오톨도톨한 가루) 250g, 우유 4컵, 소금간 하지 않은 버터 100g, 소금

    온라인 중앙일보

    2015.06.07 09:44

  • 수제비 닮은 파스타, 식감은 쫄깃

    수제비 닮은 파스타, 식감은 쫄깃

    이 시리즈를 맡은 기자로서 이탈리아는 단연 욕심이 나는 나라였다. 리조또·파니니·차바타·티라미수·모차렐라·에스프레소 등 한국인에게 잘 알려진 이탈리아 음식을 대려면 끝도 없을 터

    중앙선데이

    2015.06.06 17:23

  • 팥엔 보온·다이어트 효능 … 단팥죽은 살빼기 도움 안 돼

    팥엔 보온·다이어트 효능 … 단팥죽은 살빼기 도움 안 돼

    동짓날 먹는 팥옹심이죽. [사진 팥집] 22일은 동지(冬至)로 팥죽 먹는 날이다.동지는 음(陰)이 극에 달해 음성인 귀신이 성(盛)하는 날로 알려져 있다. 귀신을 내쫓기 위해 조

    중앙선데이

    2014.12.21 02:22

  • 팥죽·팥시루떡엔 소금만 넣어야 고소한 게 제맛

    팥죽·팥시루떡엔 소금만 넣어야 고소한 게 제맛

    1 옥루몽의 단팥죽. 견과류·떡을 올린 놋그릇에 나와 향수를 자극한다. 관련기사 국산 팥 쓰고 전통 방식으로 만들어 인기 생각해 보면, 어린 시절에 팥은 늘 마음을 들뜨게 했습니

    중앙선데이

    2013.12.21 16:24

  • 깊은 맛의 증류주, 요리 궁합은 한식

    깊은 맛의 증류주, 요리 궁합은 한식

    새해를 맞아 모인 소중한 사람들과의 자리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맛있는 음식과 우리 술이다. 사진은 석결명 갈비찜과 오가리 굴림만두, 갈비구이, 우리술 화요. 새해가 시작 되면 세

    중앙일보

    2012.01.03 12:10

  • 오곡이 뿜는 화려한 향기, 김 하나만 있어도 진수성찬

    오곡이 뿜는 화려한 향기, 김 하나만 있어도 진수성찬

    요즘 같은 생활패턴으로는 참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명절이 바로 정월대보름이다. 설 지난 지 보름 만에 무슨 명절을 치른단 말인가. 설 때 그만큼 음식을 해댔으면 됐지, 또 새로운

    중앙선데이

    2011.02.12 19:37

  • 입에 착착 붙는 생새우 무조림, 보양식 같은 들깨 뭇국

    입에 착착 붙는 생새우 무조림, 보양식 같은 들깨 뭇국

    나는 어릴 적 익은 무를 아주 싫어했다. 대신 아작거리는 생무는 좋아했다. 김치 담그는 함지박 옆에 붙어 앉아 하염없이 집어 먹고는 냄새 나는 트림을 하기 일쑤였고 동치미나 총각

    중앙선데이

    2011.01.15 19:50

  • [food&] 한입 먹고 입이 떡 ~ 방방곡곡 특산 떡

    조선시대 문헌에 등장하는 떡 종류만도 250여 종이나 된단다. 여기에 요즘 나오는 떡까지 합치면 수십 종은 더 늘어날 것 같다. 송천 떡마을 등 떡을 만들어 전국에 파는 동네가 생

    중앙일보

    2010.02.09 09:15

  • [이연자의종가음식기행] ⑫·끝 강원도 강릉 창녕 조씨 종가

    [이연자의종가음식기행] ⑫·끝 강원도 강릉 창녕 조씨 종가

    "씨종지떡은 저희 마을에서 대대로 모심기 철에 먹었던 일 바라지 떡입니다. 모판에 쓰고 남은 종자 볍씨를 빻아 호박고지.대추.밤.콩.팥.감 껍질 등과 햇쑥을 섞어 떡을 찝니다.

    중앙일보

    2007.06.24 16:17

  • [week& 라이프] 시래기 말리기 딱 좋은 날

    [week& 라이프] 시래기 말리기 딱 좋은 날

    *** 무말랭이와 무청 시래기 일반적으로 김장을 하고 난 후에 남은 것을 말리게 되는데, 요즘은 늦은 김장으로 갑자기 수은주가 떨어지면 얼었다 녹았다 하기 십상이다. 건조하고 습도

    중앙일보

    2003.11.06 16:43

  • 한가위 손님상에 정겨운 향토음식을

    뭐니뭐니 해도 추석 상차림에 빼놓을 수 없는 송편. '예쁘게 빚는 처녀는 좋은 신랑을 만나고 아낙네는 예쁜 딸을 낳는다' 는 옛말과 함께 팔도 (八道) 어디서나 즐기는 음식이지만

    중앙일보

    1997.09.09 00:00

  • "부럼을 팝니다"시장마다 대보름

    ○…정월 대보름(14일)이 다가옴에 따라 재래시장마다 부럼. 오곡밥을 만들 잡곡과 정월 나물거리를 사려는 주부들로 북적거리고 있다. 게다가 설이 지난 후 남은 음식을 물리도록 해치

    중앙일보

    1995.02.10 00:00

  • 호박오가리떡의 향수

    명절이 다가오면 많은 사람들은 고향에 갈 일에 마음이 들떠 고향이야기와 어렸을 적 추억을 얘기하며 꿈꾸는 듯한 표정이 된다.그러나 나는 고향이 서울이다 보니 고향에 대한 추억이나

    중앙일보

    1994.02.03 00:00

  • 오곡밥 성다른 여러집 것 먹어야 「복」-대보름 시절식

    6일은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며 오곡밥과 약밥, 아홉 가지 묵은 나물, 복쌈을 먹고 귀밝이술을 마시며 부럼을 깨무는 정월대보름이다. 이날 먹는 시절식인 오곡밥은 그 해 농사의 풍

    중앙일보

    1993.02.04 00:00

  • 물 적게 붓고 차조는 끓은 후에 넣어야-오곡밥| 도라지 등은 미리 삶아 쓴맛 빼내도록-나물|아홉 가지 나물에 오곡밥…

    18일은 아홉 가지 나물에 오곡밥을 먹는다는 정월대보름. 달이 가득 찬 날이라 하여 무병장수와 풍년을 기원하는 갖가지 풍습이 전해 내려오는 날이다. 대보름 시절식으로는 오곡밥과 아

    중앙일보

    1992.02.15 00:00

  • 새벽에 부럼깨물며 무병기원

    오는 3월1일은 음력정월대보름. 오곡밥과 묵은 나물·귀밝이술·부럼·복쌈 등을먹는 이날의 풍습에는 무병과 복을 기원하는 우리조상들의 염원이 담겨있다. 또 영양면에서 대보름 음식은 한

    중앙일보

    1991.02.27 00:00

  • 정월대보름 한해의 소원을 빈다.

    6일은 상원이라는 정월대보름. 이른 새벽에 일어나 호두·밤·잣 등을 깨무는「부럼」으로 한해의 건강을 빌어보기도 하고 「귀밝이술」을 마셔 한해 동안 좋은 소식을 기대해보기도 한다.

    중앙일보

    1985.03.05 00:00

  • 정월대보름에 즐기는「옛 맛」|오곡밥 나물과 각종 과자를 만들 때

    정월대보름이 가까워지고 있다. 보름음식 하면 요즘은 오곡밥이나 각색 나물정도로 생각하고 있지만 옛날에는 강점이나 수수엿·노치·약과·메밀부침 등 아기자기한 맛을 즐길 수 있는 우리나

    중앙일보

    1981.02.14 00:00

  • 대보름 장보기|부럼까기용 실과 값 올라…호두·은행 한되에 4천원

    대보름에는 부럼을 깐다. 호두·잣·밤 등을 까서먹고 껍질을 버리면 그해에 부스럼을 앓지 않는다는 전통적인 풍습 때문이다. 따라서 보름장에는 호두·밤·잣·은행 등 부럼까기 실과들이

    중앙일보

    1981.02.14 00:00

  • 쌀과자

    쌀풍년이 났다고 쌀로된 떡과 쌀과자 등을 마음대로 만들어 팔아도 좋다는 시달이 있었다. 쌀이 모자라 야단 법석하던 때가 바로 어제 같은데 말이다. 「창세기」에 보면 「야곱」의 야들

    중앙일보

    1977.11.30 00:00

  • 상약

    풀「초」자와 즐거울「악」자가 모여「약」이 되었다. 약의 소재는 원래 초목이었던 것 같다. 즐거울「악」자가 포함된 것은 그 초목약재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리라. 옛날 우리의 가정엔 상

    중앙일보

    1976.11.11 00:00

  • (9) 서울 「솥 비빔」

    날씨가 찰 때는 따끈한 국물이 있는 음식이 추위를 잊게 해주지만, 매일 국·찌개류만 식탁에 오르게 되면 싫증을 느끼게 된다. 이런 때 밥을 색다르게 지으면 별미가 있다. 서울이 고

    중앙일보

    1974.12.0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