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야생조류보호법

    시린 하늘과 소슬바람. 그리고 조금쯤은 빽빽한 소나무. 명승고적도 없어 마냥 심심하고 사람이나 실컷 봤으면 하는 산골. 오늘도 가파른 산꼭대기를 오른다. 고추밭엘 도착하면 기진맥진

    중앙일보

    1973.09.17 00:00

  • 퇴역 원로들의 근황

    - 신경통 말끔히 나아 수덕사로 여행 떠나|초탈한 허무주의는 속세 미련 못 버린 탓· 청남 정구영(78)씨는 요즈음 자신의 건강에 흡족하다.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심한 신경통으로

    중앙일보

    1973.09.15 00:00

  • 시|신경림(시인)

    이 달에는 특히 좋은 시가 많았던 것 같다. 박희진 씨의『관이 타고 있다』(현대문학)는 그 부제가 말해주 듯 고 구자운 시인을 애도한 시이다. 이 시가 우리에게 깊은 호소력을 갖는

    중앙일보

    1973.08.07 00:00

  • 이달의 시

    일반적으로 시가 쉬워지는 경향에 있는 것 같다. 특히 일부 시에 있어서의 민중과의 관계에 대한 자각은 크게 고무적인 일이라 해야 할 것이다. 이제 『문학은 혼자서 하는 것이다』 『

    중앙일보

    1973.06.08 00:00

  • 1900년을 전후한 한·일 관계 역사학대회 공동토론

    제16회 전국역사학대회가 『1900년을 전후한 한일관계-소위 한일합방을 중심으로』를 공동의 주제로 삼아 1, 2일 서강대학에서 열렸다. 이 주제의 발표와 토론은 『1904년∼191

    중앙일보

    1973.06.05 00:00

  • 비지성 비문화의 거점…미국대학의 오늘

    대학의 존재이유를 오늘처럼 절실히 묻고 있는 시대는 일직이 없었다. 문화창조의 최고의 심벌이었던 대학은 곧 문화의 동의어였다. 이러한 전통에 의문이 일기 시작한 근대적 대학이 가장

    중앙일보

    1973.01.31 00:00

  • (상)|「문명의 의사」 3석학이 말한 탈 물질 문명의 처방

    기계 문명이 가져온 번영은 그 자신 속에 이미 파멸의 씨앗을 갖고 있었다. 그리고 그 번영이 범세계적이었듯이 씨앗에서 자라난 「파멸 직물」의 위력도 범세계화하고 있다. 소외·합리주

    중앙일보

    1972.09.30 00:00

  • 김현|문학적 탐구영역의 확장

    조잡한 군대생활이나 사창가만을 즐겨 그리던 한국문학이 그 탐구의 영토를 점점 더 넓히고 있다는 증거를 한국문학은 몇 연내에 계속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으로는 오

    중앙일보

    1972.06.12 00:00

  • (42)염치

    어떤 사회든지 그 성원이 지켜야 할 규범이 있다. 모든 성원은 그것을 지켜야 할 의무가 있고 준수할 것이 기대된다. 이 같은 규범에 어그러질 때 스스로 부끄러워하는 마음을 염치심이

    중앙일보

    1972.04.20 00:00

  • 『광기혁명』

    미국의 저명한 주간지 「타임」의 최근호에서 미국의 사회학자 「멜빈·매독스」는 20세기 후반기에 있어서의 현대지성의 반사고적 경향을 우려하여 이른바 「광기혁명」이라는 것을 비판하는

    중앙일보

    1972.03.14 00:00

  • 이달의 시|탈 의식의 세계|고은(시인)

    서정주의 시 4편(지성)은 그의 시집 『동천』이후의 과작을 반영시켜주고 있다. 그의 자술에 의하면 그는 이른바 언어적 「인플레이션」으로브터 벗어나서 관악산 뻐꾸기 울음소리를 듣거나

    중앙일보

    1971.12.15 00:00

  • 「용광로 식」수뢰처리|40일간 수사와 3천여 만원의 행방

    농어촌개발공사 부정사건 수사는 전 수협중앙회장 박상길씨를 구속한데 이은 부정부패 소탕의 본보기 수사였다. 감사원의 고발로 이사건의 수사에 나선 대검 김성기 부장검사는 지난 11월1

    중앙일보

    1971.12.11 00:00

  • 소품에서 찾은 시의 기교

    시를 많이 쓴다는 것도 불행이지만 시를 많이 읽는다는 것은 더욱 불행한일이다. 많이 읽었다, 다다익선이라는 지언도 시에 관련될 때는 우매하다. 시는 시인에게나 시 독자에게나 산업화

    중앙일보

    1971.11.16 00:00

  • 우익 20여단체 조건부 삼가결정

    전후 처리를 싸고 구체적인 대안이 없이 공위에 마주앉았던 미·소는 5호 성명에서「주장의 본깃점」에 이른 것이었다. 사태가 악화되자「하지」증강파 「아널드」는 우익지도자 중에서 온건한

    중앙일보

    1971.11.05 00:00

  • 신작불황 속에 작품집 붐-김치수

    최근에 정부에서는 「문예진흥법」이니 「문화·예술지원금」이니 하여 새삼스럽게도 문학·예술에 대한 관심의 도를 높이고있다. 이것은 말을 바꾸면 그 동안 문학·예술의 창작 활동이 활발하

    중앙일보

    1971.10.13 00:00

  • 초가을 집 단장|증축

    집을 늘려야할 필요성이 생겼을 때, 우선 현재의 집안 구조를 봐서 불필요한 곳이 없나부터 살핀다. 쓸데없는 복도라든지 흔히 문화주택에서 사용하지 않는 현관 등은 새로운 용도로 활용

    중앙일보

    1971.09.08 00:00

  • 「팁」이란 이름의 병

    인생은 대개 다섯 부분으로 나뉜다. 유년·소년·청년·장년. 노년이 그것이다. 유년은 생명의 시작이요, 노년은 죽음의 문턱이다. 유년이 순 진의 덩어리라면 노년은 경험에서 오는 자제

    중앙일보

    1971.06.21 00:00

  • 공동의 이슈…성년 한국의 정치 의식

    5월도 선거의 달. 「계몽적 사명」을 다하려는 의도에서인지 「월간중앙」은 특별 설문 「나의 정치 고백」과 「알먼드」류의 문제 의식에서 출발한 이영호씨의 「선거 소외 감속의 정치 의

    중앙일보

    1971.05.14 00:00

  • 「죽음」내세워 생과 행복에 대한 애착

    「카뮈」의 미발표 유작 소설 『행복한 죽음』(La Mort Heureuse)이 15「갈리마르」사에 의해 출간됐다. 「카뮈」가 죽은 지 10년, 많은 학자와 대학생, 문학 애호가들의

    중앙일보

    1971.04.19 00:00

  • (18)인간애

    때=12월 12일 곳=본사 회의실 (무순) △김계숙 (건대 교수·철학) △원종덕 (적십자사 혈액원장) △박태진 (시인) △박상일 (수녀·해 성 보육원장) △한순영 (기독교 세계 봉

    중앙일보

    1970.12.24 00:00

  • 일 학생 충격 자살

    【동경=공동합동】일본대판의「이꼐다」(지전) 고등학교의 3학년생「야마사끼」(산기· 18)군은 인기작가「미시마·유끼오」씨의 할복자살에 크나큰 감결(?)을 느껴 방안에서「개스」를 틀어놓

    중앙일보

    1970.11.27 00:00

  • 펜 대회 특별강연|소설에 있어서의 해학|존·업다이크

    「유머」는 쓰여졌든 안 쓰여졌든 경험과 소통의 「뉘앙스」한계에서 작용한다. 한 언어에서 다른 언어로 옮길 때 동의이의의 말 재롱 뿐 아니라 「리듬」·방언·풍유적면이 상실된다. 그래

    중앙일보

    1970.07.01 00:00

  • (26)해방에서 환국까지

    그토록 영친왕을 사랑하고 아끼던 고종황제도 그후 10년이 못가서 갑자기 세상을 떠나게 되었으니 그것은 삼·일운동이 일어나기 조금전인 1919년1월25일 밤의 일이었다. 평소에 식혜

    중앙일보

    1970.06.05 00:00

  • 10만대의 불균형

    우리나라의 자동차 보유대수는 지난10월말현재로 10만을돌파했다. 교통부의 최근 집계에 따르면 승용차가 4만6천3백42대고, 화물차가 3만8천4백44대,「버스」가 1만1천9백8대,

    중앙일보

    1969.11.11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