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환자 "굳이 안 가도 되는데"…이 제도 없어서, 요양병원 찾는다
장현재 서울파티마의원 원장이 지난 6월 재택진료를 하기 위해 서울 노원구 환자 집에 들어서고 있다. 중앙포토 전이되거나 재발한 암 환자의 절반 이상이 요양병원에 입원하는 것으로
-
불붙은 ‘의사조력자살’ 논쟁…의협 “생명 경시 만연할 우려”
대한의사협회가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발의한 소위 ‘의사 조력 존엄사법’을 반대하는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지난달 15일 안 의원의 법률 발의 이후 안락사 논쟁에 불이 붙
-
연명치료 중단 이제 발뗐는데…이번엔 '의사조력 자살' 논쟁
존엄사 그래픽 이미지. [일러스트=김지윤] 대한의사협회가 더불어민주당 안규백 의원이 발의한 소위 '의사 조력 존엄사법'을 반대하는 의견서를 국회에 제출했다. 지난달 15일 안 의
-
웰다잉, 이젠 안락사·의사조력자살 입법화 논의할 때
대구광역시 김경태(42)씨는 9년 전 자전거를 타다 넘어지면서 어깨를 다쳤다. 타박상이라고 생각했는데 엄청난 통증이 찾아왔다. 팔이 불타는 듯하고, 바늘로 찌르거나 면도칼로 끊는
-
42세 희귀병 환자 "한달에 10번 응급실 실려가느니 안락사 선택"
서울의 한 시립병원 호스피스 완화의료 병동에서 연명의료 중단을 선택한 환자의 모습. [중앙포토] 대구광역시 김경태(42) 씨는 9년 전 자전거를 타다 넘어지면서 어깨를 다쳤다.
-
코로나에 밀려난 말기암 환자들, 집에서 버티다 응급실행
“코로나19 전담병원이라 (암환자가) 입원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 산하 한 시립병원은 18일 이렇게 안내했다. 공공병원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전담병원으로
-
"코로나 병상에 밀려난 말기 암환자…응급실서 슬픈 마지막"
[일러스트=중앙DB] "코로나19 전담병원이라서 입원할 수 없습니다." 서울시 산하 한 시립병원은 18일 이렇게 안내했다. 서울시 시립병원 등 공공병원이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전환
-
의대 교수들의 ‘슬기로운 유튜브 생활’
유튜브 영상을 촬영하는 서울의대 교수들. 사진은 임재준 교수. [사진 임재준] “드디어 때가 왔다!”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들이 유튜브 기획을 하면서 했던 말이라고 한다. 지난
-
“드디어 때가 왔다”…서울대 의대 교수들,유튜브서 ‘찐’ 교양강의
지난해 11월 임재준 교수가 '서울의대 열린강의실' 유튜브 첫 촬영에 임하고 있다. 임 교수 제공 “드디어 때가 왔다!” 서울대 의과대학 교수들이 유튜브 기획을 하면서 했던
-
보아 오빠 SNS에 1844개 댓글…매년 23만명 그렇게 운다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지난 12일 가수 보아의 오빠이자 광고·뮤직비디오 감독인 권순욱(40)씨가 인스타그램에 올린 ‘싸늘한 의사들’이라는 글에는 1844개의 댓글이 달렸다. 대부분
-
말기암 보아 오빠 울린 "싸늘한 의사들"···韓 '3분 진료'의 비극
“낫는 병이 아녜요.” “몸에 고통 주지 말고 그냥 편히 ….” 복막암 4기 판정을 받은 권순욱(40·사진)씨에게 의사들이 한 말이다. 그가 다시 묻는다. “죽고 싶은 마음이 전
-
'코로나 감옥' 요양병원,코로나 전에도 사망률 일반병원 2배
코로나19 집단감염이 발생한 부산의 한 요양병원 모습. 24일 환자 9명·간병인 가족 1명 등 10명에 이어 25일 환자 7명·간호사 7명·간병인 2명 등 확진자 16명이 더 나
-
[신성식의 레츠 고 9988] 임종 직전 환자 132명이 연명의료 거부한 까닭은
신성식 복지전문기자 나의 죽음을 미리 준비하고 삶을 마무리하는 기회를 갖고 싶어서-. 연명의료 중단, 즉 존엄사를 선택한 임종환자에게 “왜 그런 결정을 하셨나요”라고 묻기가
-
존엄사 전문가 허대석 “죽음도 삶의 일부”
허대석 “죽음도 삶의 일부다. 각자가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마무리할 수 있어야 한다.” 일평생 의사로서 존엄한 죽음을 고민해왔던 허대석(66·사진) 서울대병원 혈액종양내과 교
-
"어차피 갈 인생"···유언 대신 조용히 존엄사 택한 김우중
김우중 전 회장의 빈소가 마련된 경기도 수원시 아주대병원 장례식장에는 11일까지 조문객의 발길이 이어졌다. 김 전 회장은 생전에 연명의료의 무의미함을 강조해 왔고, 실제로 존엄사
-
서울대병원서 사망한 환자 71%, 연명의료 중단 택했다
얼마 전 60대 여성이 서울대병원 응급실에 실려 왔다. 뇌동맥류(뇌혈관이 꽈리처럼 부푸는 질환) 증세를 모르고 있다가 뇌출혈이 생겼다. 응급 뇌수술을 했지만 호전되지 않았다. 의
-
존엄사 선택 환자 13%, 가족이 인공호흡기 뗐다
[중앙포토] 지난해 2월 연명의료 중단(일명 존엄사)을 도입한 이후 본인이 존엄사를 결정하는 사람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인공호흡기를 제거한 비율이 13%에 달하는
-
사망자 10명 중 1명만 집에서 임종, 가정사망 역대 최저
세브란스 병원의 임종실 모습.[중앙포토] 지난해 사망자가 29만8900명으로 30만명에 육박했다. 1983년 사망원인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다. 하루에 819명이 숨진다.
-
손자 13명 중 2명 서명 못 받아…90세 할머니 호흡기 달고 고통
중환자실에서 연명의료를 하다 숨지는 사람은 한 해 3만~5만 명에 달한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서 환자가 연명의료 장치를 달고 있다. [중앙포토] 얼마 전 90세 할머니
-
"심폐술 뒤 가슴 온통 피멍…지금도 아내에게 미안하다"
서울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한 말기 암환자가 혈액투석기 등의 연명의료 장치를 달고 있다. [중앙포토] “그냥 두면 편안하게 눈 감을 사람을 심폐소생술 하고 인공호흡기 꽂아서
-
말기암 85세 존엄사 선택, 생전 장례식 열고 파티
"지금 살아있는 순간이 감사하게 느껴지며 다가올 죽음에 대해 진지하고 편안하게 생각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인공호흡기 달고 좀 더 살아서 뭐하나요. 그거 아무런 의미 없다고 봐요.
-
다국적 제약사 폐암 치료제 '타그리소'에 밀려…국산 신약 ‘올리타’ 개발 중단
한미약품이 첫 신약으로 허가받은 폐암 치료제 ‘올리타(성분명 올무티닙)’의 개발을 중단한다고 13일 밝혔다. 올리타는 기존 항암제에 내성이 생겨 더는 쓸 치료제가 없는 비소세포폐
-
가족 전원 합의로 인공호흡기 제거한 존엄사 첫 시행
서울의 한 대학병원 중환자실에 환자가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고 있다. [중앙포토] 4일 연명의료 중단이 시행된 이후 가족 전원의 합의에 의해 존엄사를 시행한 사례가 나왔다. 4
-
4일 연명중단법 시행해도 대형병원서만 가능할 듯
허대석 서울대병원 종양내과 교수가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등 9개 줄을 달고 연명의료하는 암 환자를 살피고 있다.[중앙포토] 다음달4일 연명의료 중단, 즉 존엄사가 정식으로 시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