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322.

    6.25전쟁중 북한측의 움직임을 상세히 알 수 있는 『김일성(金日成)명령서』시리즈를 박명림(朴明林.고대 강사)박사의 집필로 5회에 걸쳐 연재한다.1,2회 연재에 이어 계속해 게재될

    중앙일보

    1995.06.25 00:00

  • 257.

    中央日報 현대사연구소는「46년 10월 총파업 蘇군정이 지원」「좌익계 3당 합당 蘇군정이 지시」등의 내용이 담긴『스티코프비망록 1,2권』에 이어 해방정국의 또다른 역사적 진실을 밝혀

    중앙일보

    1995.06.06 00:00

  • 24전문가좌담

    中央日報 현대사연구소가 최근 러시아에서 발굴한『스티코프비망록』1부연재가 끝났다.비망록을 통해 해방정국의 감추어진 역사적 진실이 새로 밝혀지자 학계는 『현대사를 다시 쓰는 계기가 됐

    중앙일보

    1995.05.30 00:00

  • 해방직후 총파업.대구폭동 소련이 직접개입

    [모스크바=安成奎특파원]해방직후 남한을 뒤흔들었던 9월총파업과 10월폭동(대구폭동)에 소련이 2차에 걸쳐 일화(日貨)5백만엔의 자금을 직접 지원하고 행동지침에 대한 지시를 내리는등

    중앙일보

    1995.05.09 00:00

  • 14.그림자조직 美CIC 上.

    일본의 패망과 함께 시작된 남한의 해방정국은 미.소의 주도권각축과함께 통일이냐.분단이냐 하는 심각한 갈림길에 놓여 있었다. 이러한 복잡한 해방정국의 양상 속에서 미군정당국과 남한의

    중앙일보

    1995.04.10 00:00

  • 13.누가 최고지도자인가

    1945년 11월12일 선구회(先驅會)가『先驅』12월호(편집인 安峰守.발행인 高麟燦)에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는 해방직후 정치가들에 대한 국민들의 인상과 인기도를 추측할 수 있다는

    중앙일보

    1995.04.03 00:00

  • 13.누가 최고지도자인가

    해방정국에서 최고 인기 정치지도자는 누구였나.얼핏 임시정부 주석 김구(金九)나 초대 대통령 이승만(李承晩)이 먼저 떠오른다.그러나 해방정국시기에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 결과는 그러한

    중앙일보

    1995.04.03 00:00

  • 분단의 원일을 찾아4.우리도 책임있다

    한반도 분단의 책임을 외세(外勢)에만 돌릴 수는 없다.45년8월 미국과 소련이 한반도를 분할 점령하기는 했지만 그것이 영구분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사실 해방정국의 소용돌이속에

    중앙일보

    1995.03.27 00:00

  • 소련,해방직후 내각제 좌익臨政 구상-김일성 내무상 내정

    한반도를 분할 점령한 과거 소련은 좌익이 주도한 내각책임제 형태의 남북임시정부를 세워 한반도 전체를 소비에트화한다는 계획아래 수상에 여운형(呂運亨),부수상에 박헌영(朴憲永)과 김규

    중앙일보

    1995.02.14 00:00

  • 한국현대정치사 다룬 무협소설 大道無門출간

    암살과 민족상잔의 전쟁,혁명과 군부쿠데타 등으로 얼룩진 한국의 현대정치사는 피비린내나는 한판의 패권다툼과도 같은 양상을 보여왔다.최근 한국 현대정치사를 막강한 무술실력을 가진 인물

    중앙일보

    1994.08.13 00:00

  • 1.전쟁발발과 휴전

    정부가 20일 발표한 러시아 외무부의 한국전쟁관련 문서요약은북한 金日成이 6.25 전쟁을 계획한 경위에서부터 蘇聯과 中國의 전쟁지원및 중공군 개입과정등을 소상히 밝히고 있다.이번에

    중앙일보

    1994.07.21 00:00

  • 金日成 출생에서 사망까지 2.피와 공포로 일관 권력투쟁가

    1912.4.15 평남대동군고평면남리 만경대출생 26 만주 화전현 화성의숙 수학 27 만주 길림 육문중학 중퇴,재학중 共靑가입 31 중국공산당 입당 32 중국공산당 조선인부대 지대

    중앙일보

    1994.07.09 00:00

  • 세계사 유례없는 49년 권좌/김일성 출생에서 사망까지

    ◎한국민엔 용서받지 못할 전범 낙인/6·25실패후 반대파 숙청 재기성공 북한의 김일성주석이 사망했다. 김일성처럼 극단적인 평가속에 살다간 인물도 드물 것이다.그는 북한주민에게「위대

    중앙일보

    1994.07.09 00:00

  • (21)모순의 출발점 "현대사 뿌리" 추적|『해방전후사의 인식』한길사간

    한길사에서 펴낸 『해방전후사의 인식』은 80년대 지식인·대학생들에게 가장 많은 영향력과 충격을 준 책으로 꼽힌다. 79년 10월에 출간된 이 책은 「해방전후사」라는 용어를 우리 시

    중앙일보

    1993.08.03 00:00

  • 본지연재 『청와대비서실』등 2권 출판기념회

    본지에 장기연재중인 인기특집물의 최근까지 연재된 내용을 단행본으로 묶은 『청와대비서실』(김진기자)과 『비녹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김국후 유영구 안성규기자공저)의 출판기념회가 7일

    중앙일보

    1992.07.02 00:00

  • 박헌영에 관한 첫 연구서

    『비운의 혁명가 박헌영』(고준석 지음, 유영구 옮김)은 박헌영을 학술적 관점에서 다룬 첫 연구서다. 지금까지 박헌영에 대해서는 남로당 간부 출신의 박갑동씨가 중앙일보의 「남기고 싶

    중앙일보

    1992.03.01 00:00

  • 공청의 변천과정:상(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1)

    ◎김일성 대중기반잡기 “물밑작업”/「분국」창설 발맞춰 빨찌산파가 주도/우익단체들과 곳곳서 격렬한 충돌 해방의 환희가 아직은 거리마다 짙게 깔려있을 무렵인 45년 9월중순 비밀리에

    중앙일보

    1992.02.24 00:00

  • 「항일」내세워 김을 지도자로(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40)

    ◎김일성 선택과 소군부 역할:하/이승만 귀국알고 서둘러 입북시켜/토지개혁등도 김의 이름으로 추진 평양주둔 소 25군 사령부는 제1전선군 군사정치위원 스티코프상장의 「절대비밀」지시를

    중앙일보

    1992.02.17 00:00

  • 박헌영의 정치노선:상(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37)

    ◎“해방직후 공산당재건 소와 합의”/8월18일 상경… 소 영사관과 극비접촉/광주서 지하활동 때부터 메시지 오가/증언자 고광표씨 쿨리코아씨 □특별취재반 북한부 김국후 차장 안희창 기

    중앙일보

    1992.02.06 00:00

  • 박헌영­김일성 비밀회동:1(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23)

    ◎견제­협력하며 권력놓고 경쟁/미소공위 급진전에 3차 평양행/김등 고위간부들 외곽까지 마중 해방직후부터 분단까지 조선공산당의 활동은 많은 부분이 비밀에 묻혀 있다. 음모와 공작이

    중앙일보

    1991.12.09 00:00

  • 스탈린/김일성 오른쪽 앉혀 낙점암시/45년만에 밝혀진 북한 비사

    ◎평양에 군용기 보내 김·박헌영 불러/“박은 지명도 낮다” 판단 탈락/“차기후보” 주위 위로에 박 불만없이 소에 수긍/면접뒤 연안파 합당등 김 체제 확립 【모스크바=김국후특파원】

    중앙일보

    1991.11.30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4542)-서울야화(9)-지도자암살

    좌익은 장안파니, 무엇이니 하는 내부싸움 끝에 드디어 박헌영이 헤게모니를 잡고 우익과 대항하는 싸움을 시작했다. 그 싸움하는 방법이 악랄하고 무자비해 사상 앞에는 가정도, 부모도,

    중앙일보

    1991.11.20 00:00

  • "조봉암 간첩혐의는 조작 가능성"

    정치인들이 최근 국회에 복권 청원한 진보당 당수 죽산 조봉암은 정치사·현대사연구학계에서 이미 복권된 인물이다. 죽산은 59년7월29일 간첩혐의로 교수형 된 이후 세인의 관심에서 사

    중앙일보

    1991.10.29 00:00

  • 공산당분국 창설(비록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10)

    ◎국내파에 견제당하는 김일성 대회기간 내내 박헌영측과 심한 갈등/소서 추천한 김용범이 책임비서 맡아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의 등장은 북한의 정치적 전환점이었다. 이전까지 김일성의 권

    중앙일보

    1991.09.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