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평남 평성시장엔 매대만 5000개, 하루 유동 인구 10만 명

    평남 평성시장엔 매대만 5000개, 하루 유동 인구 10만 명

    관련기사 평양엔 권력형 ‘돈주’, 회령엔 장사로 돈 번 ‘달러돈궤 아바이’ “명절 전날 시장이니까 정신이 없죠. 도매 떼기로 옷을 사러 온성에서 기차를 타고 청진 수남시장에 갔는

    중앙선데이

    2009.08.01 23:29

  • 北에선 “李대통령이 미사일 요격하면 전쟁” 소문

    북한의 미사일 발사가 임박한 가운데 북한 내부에서는 이명박 대통령이 북한 미사일을 요격하려 한다는 소문이 돌고 있다고 CBS 노컷뉴스가 열린북한통신을 인용해 보도했다. 열린북한통신

    중앙일보

    2009.04.04 12:11

  • 원세훈 국정원장 “북한 3대 세습 가능할 것”

    원세훈 국정원장 “북한 3대 세습 가능할 것”

     원세훈 국가정보원장은 25일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후계 구도와 관련, “3대 세습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원 원장은 이날 국회 정보위에 출석해 “북한 내 간부들,

    중앙일보

    2009.02.26 02:51

  • [사진] 北, 김정숙 90회생일 기념행사 잇따라

    [사진] 北, 김정숙 90회생일 기념행사 잇따라

    20일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에서 열린 당,군,청결의대회에서 참석자들이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생모인 김정숙씨를 기리기 위해 집결해 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연합뉴스)

    중앙일보

    2007.12.21 23:22

  • "북한 회령서 시위 … 1명 사망"

    "북한 회령서 시위 … 1명 사망"

    북한 함경북도 회령시에 있는 자유시장의 관리를 둘러싸고 주민들이 당국에 집단 항의하는 등 소란이 잇따라 일어났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29일 베이징 발로 보도했다. 아사히는 북한

    중앙일보

    2006.11.30 04:06

  • CNN, 탈북자 처형하는 북한 실상 다큐로 만들어 방송

    CNN, 탈북자 처형하는 북한 실상 다큐로 만들어 방송

    북한과 중국의 국경도시인 함경북도 회령 인근 야산에 어린이를 포함한 수천 명의 주민이 모여든다. 판사로 보이는 남자가 탈북자를 도와준 죄목으로 체포된 한 남자에게 사형을 선고한다

    중앙일보

    2005.11.14 21:52

  • 북한 공개처형 동영상 첫 공개

    북한 공개처형 동영상 첫 공개

    ▶ 사진 上. 회령시의 공개 처형장에 동원된 북한 주민. N-TV는 회령시 보안서 보안원들이 시내 곳곳을 지키며 수천 명을 처형장으로 집결시켰다고 전했다. 사진 中. 11명의 북한

    중앙일보

    2005.03.16 18:58

  • 베이징 일본학교에 탈북자 29명 진입

    탈북자 29명이 1일 오전 10시30분 베이징(北京)에 있는 일본인 학교로 뛰어들었다. 이들은 진입 40분 만인 오전 11시10분 베이징 주재 일본 대사관 영사부로 이송돼 조사를

    중앙일보

    2004.09.01 18:53

  • 북한 국경지역 "휴대전화 꼼짝 마!"

    북한은 최근 전국적으로 휴대전화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내부 정보가 국경지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사례가 늘자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본지가 22일 단독 입수한 ‘국

    중앙일보

    2003.09.23 08:57

  • 북한 국경지역 "휴대전화 꼼짝 마!"

    북한은 최근 전국적으로 휴대전화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내부 정보가 국경지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사례가 늘자 이에 대한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이는 본지가 22일 단독 입수한 '국

    중앙일보

    2003.09.22 18:56

  • [사람 사람] 탈북의 곡절 詩에 녹여

    "시(詩)에 대해 관심이 많아 중국과 북한에서 틈틈이 썼습니다. 중국에 있을 때는 제가 운영했던 카페에 들른 중국 작가협회 수석.부수석 분들께 제가 쓴 시를 보여드리기도 했습니다.

    중앙일보

    2003.08.21 17:55

  • 한국 외교관들 옷 찢기고 다쳐

    중국 공안당국은 13일 주중 한국대사관 영사부(총영사관)의 정문 경비초소에 붙들어둔 탈북자 원모(56)씨를 강제연행하는 과정에서 한국 외교관들에게 폭력까지 행사하는 비상식적 행동

    중앙일보

    2002.06.14 00:00

  • 春史 탄생 1백주년 그의'흔적'은 어디에…

    아무래도 올 봄엔 춘사 나운규의 자취를 찾아 헤매야 할 모양입니다. 1937년, 만 서른다섯의 나이로 요절한 천재 영화인이 여기저기서 되살아날 듯해서입니다. 함경북도 회령에서 태

    중앙일보

    2002.02.07 00:00

  • 北 쌀값 농민시장서 ㎏당 북한 돈 60∼70원

    최근 북한 농민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쌀 가격은 ㎏당 북한 돈 60∼70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내부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올 여름 함경북도 청진시 농민시장들에서 거래된

    중앙일보

    2001.08.31 15:12

  • "탈북 송환 6명중 넷 정상생활"

    북한은 19일 오후 유엔 인권이사회에서의 인권보고서 심사과정에서 강제송환된 탈북자의 근황 및 인권현황에 대해 공개했다. ◇ '강제송환 6명 살아 있다' =북측 차석 대표인 심형일

    중앙일보

    2001.07.21 00:00

  • [조선족민요기행]5. 끝. 하이린市 미장촌

    천지 (天池)에 버금가는 동북지방의 절승 (絶勝) 경박호 (鏡泊湖) 는 발해의 발상지로 일컬어지기도 하는데 그 도중에 있는 하이린 (海林) 시 신안 (新安) 조선족 자치진을 들른

    중앙일보

    1997.09.06 00:00

  • 함경북도 국경에 큰 산불

    [베이징=문일현 특파원]함경북도 유선군에 지난 3일 대형 산불이 발생,막대한 재산피해가 난 것으로 밝혀졌다. 중국 옌지(延吉)에서 발행되는 옌볜(延邊)일보는 3일 오후2시쯤 중국.

    중앙일보

    1997.05.07 00:00

  • 북한 탈출 이번겨울만 千여명-本紙,중국 현지 긴급취재

    지난 열흘간 중국의 랴오닝(遼寧).지린(吉林)성등에서 만난 북한 탈북자 10여명은 『한국에 가서 생활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한결같이 절규했다. 〈관계기사 3면〉 북한과 가까운

    중앙일보

    1996.02.12 00:00

  • 2.식량난에 풀린 여행통제

    ▲여행제한 부분해제=북한에서 통행증 얻기는 보통 주민으로선 매우 어렵다. 식량 구하기 여행을 자주 다녔던 함흥의 이옥금(李玉錦.45. 여만철씨 부인)씨의 증언-. 『94년1월부터

    중앙일보

    1995.01.21 00:00

  • 8.나진.선봉 평양보다 살기좋을것

    우리나라도 일부 대기업들이 눈독을 들이고,또 이미 몇개기업은현장을 답사하고 온 나진.선봉지구를 북한당국은 「황금의 삼각주」라 불렀다. 91년12월28일 정무원 결정 제74호로 함경

    중앙일보

    1995.01.12 00:00

  • 北 정치범수용소 곳곳에 존재-귀순 안명철하사 회견

    북한 국가안전보위부 정치범수용소 경비대 소속 안명철(25)하사는 24일오전 10시30분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갖고『그동안 북한이 부인해왔던 정치범수용소가 북한 곳곳에 실제로

    중앙일보

    1994.11.24 00:00

  • 북한 형제 또 귀순/우라늄 정련공장 작업반장도

    여만철씨 일가족 귀순에 이어 최근 북한을 탈출한 우라늄 정련공장 작업반장 등 3명이 또 귀순했다. 안기부는 7일 최근 북한 원자력공업부 남천화학연합기업소 작업반장 김대호씨(35)와

    중앙일보

    1994.05.07 00:00

  • 19.환동해경제권 연길시 상업국 金連煥국장

    『淸津~會寧간 도로확장공사와 청진항 확장공사에 많은 인력과 불도저등 장비가 투입돼 공사중인데 휘발유값등 당장 자금이 아쉽습니다.우린 하루라도 빨리 자금을 끌어대려고 하지만 北韓核

    중앙일보

    1994.03.08 00:00

  • 19.환동해경제권9 연길과 손잡는 북한 청진항

    環東海경제권에 거는 기대에는 北韓도 예외가 아니어서 조심스럽게 닫힌 문의 빗장을 열고 있다.북한은 淸津항을 자유무역항으로바꾸고 延吉의 한 회사를 중계자로 삼아 외국자본을 유치하려고

    중앙일보

    1994.03.08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