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사할린」생존교포 1천25명

    「사할린」교포에 관한 소식은 한국 국민들에게는 항상 묵은 상처를 건드리는 아픔을 준다. 이역만리에서 멀쩡하게 30년의 공백기간을 강요당한 이들이 자유를 되찾고, 조국의 품에 안기기

    중앙일보

    1973.12.10 00:00

  • (30)제2장 일본 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신진도의 성녀 「오다·줄리아」(1)

    임진왜란에 얽힌 잔학담 속에서 핀 향기 높은 인간 「드라마」-. 한국의 성처녀 「오다·줄리아」얘기는 최근 한국에서도 영화화가 될 만큼 꽤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드라마」의 서막은

    중앙일보

    1973.11.13 00:00

  • (23)|제5화 북해도 한인 위령탑의 엘레지|제2장 일본 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4)

    북해도에 사는 교포들을 만나 보고서는 한민족의 생명력이 얼마나 모질고 끈질긴 것인가를 새삼 실감하게 된다. 일·한 합방이후 정든 고향 땅을 등지고 멀리 이곳에까지 흘러들어 원주 「

    중앙일보

    1973.10.19 00:00

  • (22)제2장 일본 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

    (3) 북해도는 1년 중 거의 절반을 엄동설한에 묻혀 사는 곳이다. 북위45도6분부터 41도5분 사이를 차지한 이 땅은 우리 나라 함경북도 북단으로부터 멀리 만주와 「시베리아」의

    중앙일보

    1973.10.16 00:00

  • (21)|제5화 북해도 한인 위령탑의 엘레지 (2)|제2장 피맺힌 사연들의 흔적

    『북해도에서 당한 한인들의 고초를 무슨 동정이나 하는 것처럼 입에 담고, 억울하게 죽은 혼령들을 달랜다고 말로만 떠들지들 마십시오.』 한필용 옹은 대뜸 으름장부터 놓으면서 기자의

    중앙일보

    1973.10.10 00:00

  • (862)|골동품비화 40년(3)|박병래

    전해들은 얘기와 옛날의 기억을 더듬어 보면 우리나라에서 골동에 대한 인식이 처음 생기게 된 것은 아마도 일인들이 이 땅에 발을 디딘 이후부터인가 한다. 도자기 기술이 일본이 전래

    중앙일보

    1973.10.02 00:00

  • (17)제4화 융마소의 명도공14대 심수관씨(4)

    14대 심수관씨는 자동차로 달려온 숨가쁜 모습 그대로 취재「팀」을 반겨 주었다. 『아, 고향에서 오신 손님들…』 심씨는 고향이란 단어에 강한「액센트」를 주어 말했다. 그의 표정에

    중앙일보

    1973.09.25 00:00

  • 28년만에 다시 본 소련-동완(3)

    우리 선수단의 생활은 규칙적이며 질서정연하다. 김택수 단장은 아침 일찍부터 선수들의 숙소생활·훈련상황을 현장에서 보살핀다. 난점이라면 숙소와 각종 경기장 거리가 멀어 왕래에 많은

    중앙일보

    1973.08.31 00:00

  • (818)내가 아는 박헌영(136)|박갑동(제자 박갑동)

    무력준비에 나선 북한은 1949년 7월에는 「조국보위후원회」(군사후원회)를 면·이 등 행정단위의 말단까지 조직하고 민간에서 비행기와 전차를 구입, 헌납하는 운동을 일으켜 군비확장

    중앙일보

    1973.08.09 00:00

  • (817)내가 아는 박헌영(134)|박갑동(필자 박갑동)

    김삼룡이 정태식에게 시달한 지시는 「남로당 지하당의 남북통일에 관한 정책입안의건」이었다. 기한은 3윌25일까지였다. 남로당지하당의 남북통일안을 평양의 박헌영에게 보내는 것은 3월

    중앙일보

    1973.08.08 00:00

  • 미에 한인 등 외국의사가 5분의1 한국인2천3백 여명 포함 총5만

    미국내의 개업의사들 가운데 5분의1은 외국에서 공부한 의사들이라고 미 보건교육 성이 발표한 보고서가 밝혔다. 71년 미국에 건너온 외국인 의사들은 1만5백40명인 반면 미국외과대학

    중앙일보

    1973.06.20 00:00

  • 호주 속의 한국인

    호주는 우리 남북한의 35배나 되는 넓은 면적에 비해 인구는 1천3백만명이 못된다. 아직 2백년이 안된 짧은 개척의 역사이외에 유색인종의 유입을 철저하게 막아온 호주의 이른바 「백

    중앙일보

    1973.05.22 00:00

  • (693)내가아는 박헌영(11) 박갑동

    공산당입당 스무살나던 해에 박헌영은 일본을 거쳐 독립운동의 거점이었던 상해에 발을 디뎠다. 경성고보를 졸업한 직후엔 미국에 가고 싶어하던 박헌영이 어떤 경로로 상해에 갔는지, 또는

    중앙일보

    1973.02.24 00:00

  • (692)내가아는 박헌영(10) 박갑동

    이르쿠츠크파 동부「시베리아」에서 이동휘가 한인 사회당을 만든 것 보다 몇달앞서 1918년 1월21일「이르쿠츠크」를 중심으로 「바이칼」호 서쪽지역에 거주하던 한인들은 「러시아」「이르

    중앙일보

    1973.02.23 00:00

  • 남기고싶은 이야기들(691)내가아는 박헌영(9)-박갑동

    두파의 공산당 중국과 「러시아」를 무대로 활동한 이른바 초기 공산주의 운동자 가운데는 이동휘가 이끈 상해파 고려 공산당(책임위원 이동휘)과 그보다 조금 늦게 조직된 「일크츠크」파

    중앙일보

    1973.02.22 00:00

  • (690)내가아는 박헌영

    박헌영이 경성고보를 다니고 한참 장성할무렵인 1917년께부터 1920년대에걸쳐, 일제에 나라를 빼앗겼던 한국에 대해서는 아주 격동적인 몇가지 계기가 생겨났다. 한가지는 「러시아」

    중앙일보

    1973.02.21 00:00

  • (6)독립운동

    「하와이」와 미주에 이민자 한국 동포들이 벌인 항일 및 독립운동은 시국광복 운동의 큰 몫을 차지했다. 이민 초기부터 꾸준히 계속된 조국 광복 운동은 1919년의 3·1 독립선언을

    중앙일보

    1973.01.13 00:00

  • "「크리스천」의 덕과 향기"|일본 문헌에 나타난 「줄리아」의 행적|명문의 딸, 고향은 서울·평양·진주 설

    임진왜란 때 겨우 3살의 어린 나이로 일본에 붙들려 와 자라서는 천주교에 귀의, 끝내 배교를 거절함으로써 20여세에 절해의 고도에 유배되어 1651년 60여세로 비운의 생애를 마친

    중앙일보

    1972.10.17 00:00

  • (13)비조문화의 핵|김창수

    비조문화라고 하면 먼저머리에 떠오르는 것이 호화로운 불교 문화와 아름다운 시가문학, 그리고 숱한 석조물과 고분 등 유적이다. 비조 지방은 「대화 3산」에 둘러싸여 아늑한 지역인데

    중앙일보

    1972.09.29 00:00

  • (570)경·평 축구전(15)|이혜봉(제자 이혜봉)

    제2회 경·평 대항전의 1차전은 34년 4월6일 배재고 야구장에서 열렸다. 경성군은 그 전해에 평양 대회에 나갔었던 「멤버」가 중심이었으나 추가된 「멤버」로는 연전계통이 많이 끼

    중앙일보

    1972.09.29 00:00

  • (12)행기대승정의 업적

    「왕인후계의 계보기」 「기·기」에 의하면 행기대승정은 동대사 대불전 창건당시 4성 중의 한사람인 왕인의 원손이라 했다. 행기대승정은 한국이 낳은 자랑이요, 위대한 인물이었다. 그는

    중앙일보

    1972.09.28 00:00

  • 신임 재일 민 단장 김정주씨

    신임 재일 한국 거류민 단장 김정주씨 (58)는 지난 60년부터 일본에 한국학을 전파하기 위한 한국 자료 연구소 소장으로 일해온 학자 출신이다. 한일 관계사에 깊은 조예가 있고 일

    중앙일보

    1972.08.09 00:00

  • (531) |내가 아는 이 박사-경무대 사계 여록(158)|윤치영

    이 박사의 대외 활동은 구미 위원부가 근거였다. 1921년 「워싱턴」에서 발족한 구미 위원부 「런던」과 「파리」에도 출장소를 두고 있었고 미국무성이나 국제 기관 각국 공관에선 이

    중앙일보

    1972.08.09 00:00

  • 한인 전몰 자 유골 대일 인수교섭 재개

    정부는 일본 후생 성이 보관하고 있는 태평양전쟁 때 한국인 전몰 자 유골 2천38위에 대한 인수교섭을 재개하기로 했다. 외무부의 한 당국자는『유가족이 분명한 유골은 남-북한을 막론

    중앙일보

    1972.07.14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