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우덕의 중국경제 이야기] 리창 中 총리는 ‘전시 경제 체제’의 사령관?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시진핑(習近平)의 경제 아바타다.’ ‘부총리를 거치지 않은 첫 총리’… 중국의 새 총리 리창(李强)을 두고 나오는 얘기들이다. 우리 언론도 ‘시진핑 심
-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2023년 중국 콘텐츠산업 7대 키워드
'메타휴먼'은 2023년 중국 콘텐츠산업 7대 키워드 중 하나다. 사진은 중국 알리바바가 선보인 메타휴먼 'AYAYI'. [사진 바이두 캡처] 강력한 ‘제로 코로나’ 정책을
-
요즘 아무도 읽지 않는 시대…문해력 부진, 범인 밝혀졌다 ① 유료 전용
‘사흘 논란’(2020년)에서 ‘무운 논란’(2021년)을 거쳐 ‘심심한 사과 논란’(2022년)까지, 문해력 논란을 촉발한 해프닝은 최근 2~3년간 반복됐다. 그리고 그때마다
-
'가성비'와 '플렉스' 사이... 데이터로 찾은 2023 소비시그널 7
■ Editor's Note 「 2023년, 사람들은 돈을 어디에 쓰고 있을까요? 대홍기획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소비 트렌드를 분석했습니다. 소비 흐름을 바꾸는 7가지 신호를
-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중국 게임산업, 22년 결산과 23년 전망
지난해 12 월 중국에서 외자판호를 발급받은 스마일게이트의 게임 '에픽세븐'. [사진 중국 콘텐츠 산업동향 본문 캡처] 한국 콘텐트 업계 종사자들의 이목이 중국 시장으로 다시
-
디저트는 식후에? 그 편견 깼다…90분간 MZ 홀린 오마카세
롯데백화점 잠실점 ‘디저트 오마카세’ 팝업스토어에서 맛볼 수 있는 음식들.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스타터→세이버리 디저트→메인→피니쉬. 최선을 기자 “디저트만 계속 먹으면
-
[한우덕의 중국 경제 이야기] 중국의 ‘인재 보너스’에 주목해야 할 이유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중국, 세계 넘버 투 경제 대국이다. GDP 1등인 미국의 약 77%까지 추격했다. 전대미문의 비약적 성장이다. 무엇이 중국의 성장을 가져왔는가. 필
-
[주역세상](54) 본분, 선 넘기
여지없다. 일요일 광화문은 시위대 세상이다. 한쪽은 '윤석열 탄핵', 다른 한쪽은 '이재명 구속'이라는 팻말을 들고 악을 써댄다. 그 옆에는 '노동 탄압'을 규탄하는 시위도 열린
-
실험실서 키운 ‘투뿔 등심’…푸드테크, 너 정체가 뭐니 유료 전용
Today’s Topic먹고, 마시고, ‘배양’하라 Future of Food Technology 한우 줄기세포로 키운 인공 꽃등심을 배달 로봇이 집 앞으로 갖다주고, 요리
-
“3% 바닥 치고 돌아설 것” 골드만삭스의 분석은 달랐다
━ 중국 경제 낙관론 vs 비관론 지난 17일 중국 우후시 의 한 공장에서 노동자들이 전기청소차를 만들고 있다. [신화=연합뉴스] 3%. 지난해 중국의 경제성장률이다. 당
-
천년한우부터 샤인머스캣까지…설 선물 여기서 고르세요
━ 이마트, 프리미엄·10만원대 등 다양한 선물세트 합리적 가격에 선보여 설을 앞두고 이마트가 다양한 선물세트들을 합리적 가격에 선보인다. 이마트는 이번 설 명절을 맞아
-
[차이나인사이트] 제조업→서비스업 무게 이동, 중국 소비자들 지갑 여나
━ 2023년 중국경제 기상도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정책시(政策市).’ 중국 주식시장의 특징을 나타내는 말이다. 시장 수급보다 정부 정책에 의해 주가가 더 크게
-
[View & Review] 전기·가스 이어 대중교통…내년 공공요금발 고물가 예고
새해 서울시 대중교통 요금이 8년 만에 300원 오를 전망이다. 서울시는 내년 4월 말 지하철·시내버스·마을버스 등 대중교통 요금을 각 300원씩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고 29
-
'끈적한 고물가' 자리잡은 한국…1월 또 고물가 폭탄 맞는다
정모(42)씨는 11월치 관리비 고지서를 받아보고 난 후 ‘난방비 다이어트’에 들어갔다. 정씨는 “전기ㆍ난방ㆍ수도 모두 지난해보다 덜 썼는데 관리비는 더 올랐다. 춥다고 12월과
-
‘2022 올해의 우수브랜드 대상’ 시상식 성료
12월 27일, 메이필드 호텔 서울에서 중앙일보가 후원하고 제이와이네트워크가 주최하는 ‘2022 올해의 우수브랜드 대상’ 시상식이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올해의 우수브랜드
-
[한우덕의 중국경제 이야기] 부패를 먹고 크는 중국 경제?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지난 칼럼에서도 언급했듯, '국진민퇴(國進民退)'는 시진핑 경제 정책의 핵심이다. 이 말이 본격 등장한 건 2008년이다. 그때 이미 '국가가 나서고 민
-
[한우덕의 중국경제 이야기] 덩샤오핑을 분노케 한 허위 보고
차이나랩 한우덕 선임기자 국진민퇴(國進民退). '국가가 나서고 민간이 빠진다'는 뜻이다. 시진핑 3기의 경제 정책을 전망할 때 자주 등장하는 말이다. 민간에 대한 국가의 개입이
-
[한우덕의 중국경제 이야기] 중국 공산당은 어떻게 민영기업을 장악하나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시진핑 3기, 중국 경제정책은 어떤 모습일까? 중국이 정치뿐만 아니라 경제부문에서도 국가, 좀 더 구체적으로는 당(黨)의 개입을 늘려가면서 제기되는 문제
-
[한우덕의 중국경제 이야기] 중국과 미국, 늑대인가 댄스 파트너인가
한우덕 차이나랩 선임기자 시진핑 집권 3기, 중국은 어디로 갈 것인가. 끊임없이 제기되는 문제다. 많은 전문가가 중국 정치를 말하고, 경제를 전망한다. 이 논의에서 간과하지
-
[팩플] 제도권 안착했는데 사업성은 글쎄? 음악·한우 조각투자 운명은
뮤직카우 TV 광고의 한 장면. 사진 뮤직카우 유튜브 조각투자가 제도권 안으로 들어오고 있다. 음악 저작권료를 시작으로, 한우와 미술품도 합법의 테두리 안에서 조각투자가 가능해질
-
[주역 세상](53)'뻣뻣한 리더십으로는 무엇도 이룰 수 없다'
군대 간 아들이 휴가 나왔다. 밥상을 사이에 두고 어머니와 정담을 나눈다. "우리 사단장 정말 존경할만한 분이에요. 얼마 전 제 몸에 종기가 났어요. 사단장님이 지나가다 보시
-
[주역 세상](52) "칼과 도끼는 악순환만 부를 뿐…"
정권이 바뀌면 여지없이 시작되는 게 적폐청산이다. 사정의 칼날이 번뜩인다. 이번 정권도, 전 정권도, 그 앞 정권도 그랬다. 되풀이되고, 또 되풀이된다. "저 악의 세력을 다
-
코오롱家 4세 경영 본격화…‘사장 승진’ 이규호, 모빌리티 이끈다
경기도 과천에 있는 코오롱그룹 본사 사옥. 연합뉴스 코오롱그룹이 4세 경영을 본격화한다. 이웅열 명예회장의 장남이자 코오롱가(家) 4세인 이규호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하고,
-
한국 기업 울린 '다롄(大連) 공포'
무섭다. '다롄(大連)의 공포'가 엄습한다. SK하이닉스의 다롄 반도체 공장 얘기다. 이 회사가 인텔의 다롄 반도체 공장을 인수한 건 2020년 10월이었다. 90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