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교통체증해소 위해 신호시스팀 개발을〃

    과기처는 보건·의료, 환경, 주택, 교통분야 등 복지기술개발에 대한 심포지엄을 18∼19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개최했다. 심포지엄에서 보건분야주제발표를 한 김병수 교수

    중앙일보

    1990.01.20 00:00

  • 윤활학회 회장에 선출

    ◇문탁진 고려대교수(재료공학)는 최근 한국윤활학회정기총회에서 회장으로 선출됐다. 부회장은 권오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기계공학부장) 김광순(한국하우톤사장)씨.

    중앙일보

    1990.01.11 00:00

  • 환경과학연구센터 신설 KIST|과기처산하 8개연구소 새해 설계

    과기처 산하 출연연구소들은 90년을 선진과학기술국으로 발돋움하는 출발선으로 설정, 연구체제를 재정비해 첨단연구에 진력할 것을 다짐하고 있다. 이들 연구소의 새해 설계를 들어본다.

    중앙일보

    1990.01.06 00:00

  • KIST 올해 연구사례 전시회 개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올해 연구사례 전시회가 12∼16일 KIST국제회의실에서 열렸다. 금속, 세라믹스, 기계, 화공·환경, 고분자, 화학, 물리·전자, 도핑컨트롤, 시스

    중앙일보

    1989.12.16 00:00

  • 일연구소와 자매결연

    ◇박원낙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은 일본이화학연구소 및 동북대금속재료연구소와의 연구협력을 위한 자매결연협정 체결차 8일 출국.

    중앙일보

    1989.11.08 00:00

  • "혁신 없이는 선진국 기술종속 못 면해"

    지난 6월 새로 발족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개원기념 심포지엄이 2∼3일 KIST존슨강당에서 열렸다. 심포지엄에서 박원희 원장은 「KIST의 역할과 발전방향」이라는 주제의

    중앙일보

    1989.11.04 00:00

  • 금속학회 심포지엄

    ◇김종기 대한금속학회장은 21일 오전 9시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알루미늄합금의 파괴인성에 관한 연구」등을 주제로 제3회 재료 강도 심포지엄을 개최.

    중앙일보

    1989.10.21 00:00

  • 전파흡수체“복제”시비

    국책연구과제로 최근 개발된 「페라이트 전파흡수체」를 둘러싸고 그동안 연구수행기관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이를 생산하고 있는 코니전자(주)와의 「무단복제」 분쟁은KIST측이

    중앙일보

    1989.10.02 00:00

  • KIST 신소재연구사업단 발족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 신소재 연구사업단이 16일 발족됐다. 연구실 중심의 기존 연구조직에서 탈피해 사업단 체제의 사업중심시스팀으로 전환한 것은 모든 연구기능을 최대한 활용

    중앙일보

    1989.08.16 00:00

  • 화학연 고분자연구실(15)

    의료용과 특수 산업용 고분자분야의 첨단기술 개발에 비지땀을 쏟고 있는 한국화학연구소 고분자 제3연구실. 84년 11월 실장 이해방 박사가 미국에서 초빙돼오면서 문을 연 이 연구실의

    중앙일보

    1989.08.09 00:00

  • 21세기 첨단산업 시장에 도전한다|항공 우주 연구소 내달 초 설립

    항공우주분야 기술개발과 관련 산업계 지원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부출연의 한국항공우주연구소가 9월초 대덕연구단지에 설립된다. 지난주 항공산업육성위원회(위원장 조정 부총리)에서

    중앙일보

    1989.08.02 00:00

  • 에너지 연 레이저 연구팀

    원자력분야에서의 레이저이용기술은 인공지능기술·재료기술·방사선저감화기술과 함께 21세기의 원자력핵심 기반기술로 그 중요성이 점차 증대되고 있는 분야다. 레이저분광기술 등 첨단레이저이

    중앙일보

    1989.08.02 00:00

  • 「보이지 않는 비행기」에 사용|레이다 흡수재료 국내서 개발

    미국에서 개발된 「보이지 않는 비행기」B-2 스텔스기의 레이다 흡수물질로 사용돼 유명해진 고주파 흡수재료가 국내 최초로 개발돼 산업 이용 방안 등을 검토 중에 있다. 한국과학기술연

    중앙일보

    1989.07.06 00:00

  • 세계 첨단 초전도체 테이프 국내최초 개발

    절대온도 1백도 선에서 초전도 현상을 일으키는 세계 첨단 수준의 비스무스(B1)계 고온초전도체 테이프가 국내최초로 개발됐다. 한국 에너지 연구소 원동연 박사(35·차폐 재료 개발

    중앙일보

    1989.06.22 00:00

  • KIST 초대원장 박원희박사

    『거듭 태어남을 계기로 KIST를 국가 미래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국책연구개발기관, 21세기에 도전하는 연구기관으로 발전시켜 나갈 각오입니다. 이를 위한 인력과 장비·시설의 정예화와

    중앙일보

    1989.06.14 00:00

  • 수가 올리자니 "물가걱정"|전국민 의보 시행 앞두고 진통

    7월1일로 예정된 전국민의료보험이 진료 수가조정을 둘러싸고 정부(경제기획원)의 7% (보사부 l5%)인상에 의사단체가 30.5%인상을 요구하며 집단휴진 등 실력행사로 맞서고 있어

    중앙일보

    1989.06.07 00:00

  • (2)과기원 무기재료 연구실

    선진국에 비해 5∼10년정도 뒤져있는 무기재료분야의 기술수준을 5년 이내에 따라잡고 말겠다는 강한 집념을 갖고 14명의 연구원들이 한국과학기술원 무기재료연구실에 모였다. 78년에

    중앙일보

    1989.05.10 00:00

  • 미래의 에너지원 개발에 "첫발"

    상온에서의 핵융합연구가 세계 도처에서 쏟아져 나오고 있는 가운데 핵융합현상에 대한 실험이 국내에서도 성공을 거둔 것은 비록 현상을 확인하는 실험에 불과하지만 외국의 성공소식을 듣고

    중앙일보

    1989.04.20 00:00

  • 과기원서 개발하는 전계발광표 시장치|초박형 TV수상기 나온다

    신소재분야 최첨단기술의 하나로 꼽히는 새로운 형태의 표시장치 기술이 세계 3번째로 국내에서도 금년부터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들어갔다. 전계발광 표시장치(ELD)로 불리는 이 신기술은

    중앙일보

    1989.01.18 00:00

  • 기업체 「사내기술대학원」설립 붐

    학교졸업 후에도 계속적으로 전문분야에 대한 교육을 실시, 일하면서 공부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고급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계속교육제도(CEP)인 「사내기술대학원」이 업계에 확산되고

    중앙일보

    1989.01.04 00:00

  • 「과학한국」열기가 가득한 연구소 순방|신물질개발 미래를 건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의 대열에 끼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최근들어 국제사회의 대한 견제움직임도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국내시장의 전면개방을 요구하는등 각종 통상압력을 가해오는

    중앙일보

    1989.01.01 00:00

  • 하이테크 내용 다룬 『첨단산업…』등 출간

    하이테크시대에 필요한내용을 다룬『첨단산업과신소재』(이광영 한국일보특집과학부장역), 『광파이버 광학재료』(조재철 과기원 선임연구원 감수) 가최근 겸지사에서 나왔다. 1백42쪽및 1백

    중앙일보

    1988.07.20 00:00

  • 공산권, 한국기술에 관심높다|기술이전 워크숍·대동구 경협세미나에|폴란드·체코·유고등서 18명 참가

    우리나라와의 경제교류와 기술이전을 목적으로 하는 공산권관계인사들의 발길이 잦아지고 있다. 11일부터 6일간 산업연구원주최로 열리는 제3회국제기술이전 워크숍(올림피아호텔)에 중공·폴

    중앙일보

    1988.07.11 00:00

  • 과학기술원 이전·분리놓고 진통

    과학기술원·과학기술대학은 어디로 가는가. 2일 이정오원장의 갑작스런 교체, 학사부의 대덕이전 반대, 학사부와 연구부의 분리에 따른 방향설정 진통등 국내 최대의 연구및 고급인력 양성

    중앙일보

    1988.05.03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