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원폭피해 외국인도|치료수첩 발급키로

    【동경2일 동양】일본 후생성은 1일 외국인 원폭피해자에게 입국사증의 종류에 관계없이 정부가 치료를 부담하는 피폭자 건강 수첩을 교부한다는 새 방침을 결정했다. 2차 대전 중「히로시

    중앙일보

    1975.09.02 00:00

  • 원폭 희생 한국인 위령제

    【광도(일본)5일 로이터합동】지난1945년 「히로시마」원폭투하 때 숨진 한국인 원폭 희생자 위령제가 원폭 생존자를 포함한 약2백 명의 재일 교포들이 참석 한가운데 「히로시마」시의

    중앙일보

    1975.08.06 00:00

  • "여러분의 값진 희생은 한국발전의 밑거름"

    박정희대통령은 22일하오 청와대에서 「벤저민·윌슨」부부등 6·25참전용사 19명과 부인등 23명을 접견, 1시간동안 「칵테일」을 베풀고 환담했다. 이들을 초청한 김좌겸국제관광공사사

    중앙일보

    1975.07.23 00:00

  • 충현에 한국인 위령탑 기공

    【동경=박동순 특파원】2차 대전 당시「오끼나와」서 미·일 군간의 격전으로 전사 또는 학살된 한국인 희생자 1만여 명의 원혼을 위로하기 위한 위령탑이 9일「오끼나와」의 비극을 상징하

    중앙일보

    1975.04.08 00:00

  • 세 한국인 남녀 피살

    【월터보로(사우드캐롤라이나주)27일=외신종합】머리에 총탄 1발씩 맞은 한국인시체 3구가 미국 「사우드캐롤라이나」주의 교통 혼잡한 남북해안 고속도로 근처 울창한 숲 속에서 27일 발

    중앙일보

    1974.12.28 00:00

  • 2차 전 희생자 유골-한국송환 계획항의

    【동경=박동순특파원】북한의 평양방송에 따르면 북한 적십자 회 중앙위원회는 2차 대전 중 일본군인 및 군 속으로서 사망한 한국인 유골 2천81주를 일본 정부가 한국 측에 송환하려는

    중앙일보

    1974.05.24 00:00

  • 사할린교포 백37명「송환교섭요청서한」

    【동경=박동순 특파원】해방 후 30년 가까이 귀국을 애절하게 호소해온「사할린」한국인에 대한 일-소간의 송환교섭과 병행해서 이들 귀국희망자들의 연락창구 역할을 해온「사할린억류 귀환한

    중앙일보

    1974.05.21 00:00

  • 2차대전 한국인 희생자 일에 보상 촉구를

    신민당의 박영록 의원 등 24명은 2차 세계대전 때의 한국인 가운데 전사자 영현 봉환과 유족들에 대한 보상조치를 조속히 강구하도록 촉구하는 대정부 건의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건의안

    중앙일보

    1974.04.16 00:00

  • 2차전 구 일군 강제 징별 희생자|한국인 유골 봉환

    2, 3월께 고국에 대부분 봉환될 일본 후생성 보관 전몰 한국인 유골의 명단 2천83위 중 2천 81위(2위는 미상)의 명단이 30일 보사부에 의해 밝혀졌다. 2차대전중 일본에 강

    중앙일보

    1974.01.30 00:00

  • 「확신범」1만명 이상 석방

    【유엔본부21일UPI동양】과거 12년간에 실험적인 기구로 발족된 국제기관인『특사「인터내셔널」』의 도움으로 세계 각국에서 정치범을 포함한 확신범 1만 명 이상이 옥고에서 풀려났다.

    중앙일보

    1973.12.22 00:00

  • 원폭·징용희생 한인|2백40명 영령 귀국

    【부산】2차 대전 당시 일본「나가사끼」에 살다 원폭에 희생됐던 김재환씨(전남 무안군 이로면)등 1백50위와 징용 희생자 90위 등 2백40위의 원혼들이 13일 재일 교포 권수용씨(

    중앙일보

    1973.11.13 00:00

  • (24)|제2장 일본 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제5화 북해도 한인 위영탑의 엘레지(5)

    「삽보로」(찰황)에서 국제공항이 있는 「지도세」(천세)시를 거쳐 곧장 남쪽 태평양 연안까지 내려와, 해안선을 따라 실란·함관에 이르는「하이웨이」는 장장 6백㎞에 달한다. 「도남관광

    중앙일보

    1973.10.23 00:00

  • (22)제2장 일본 속에 맺힌 한인들의 원한

    (3) 북해도는 1년 중 거의 절반을 엄동설한에 묻혀 사는 곳이다. 북위45도6분부터 41도5분 사이를 차지한 이 땅은 우리 나라 함경북도 북단으로부터 멀리 만주와 「시베리아」의

    중앙일보

    1973.10.16 00:00

  • (21)|제5화 북해도 한인 위령탑의 엘레지 (2)|제2장 피맺힌 사연들의 흔적

    『북해도에서 당한 한인들의 고초를 무슨 동정이나 하는 것처럼 입에 담고, 억울하게 죽은 혼령들을 달랜다고 말로만 떠들지들 마십시오.』 한필용 옹은 대뜸 으름장부터 놓으면서 기자의

    중앙일보

    1973.10.10 00:00

  • (하)|주섭일 파리특파원 9일간의 견문기

    「크라쿠프」까지의 기차요금은 1백37「즐로티」(1천6백원). 손짓 발짓까지 동원, 「바르샤바」국제선 역에 당도하여 차표를 받고나니 어쩐지 「바르샤바」를 떠난다는 사실만으로도 마음

    중앙일보

    1973.09.12 00:00

  • 2차 대전 때 일본에 끌려간 한국인 노무자|이렇게 혹사당했다|상 조사단의 보고에 나타난 그 가공할 참상

    【동경=박동순 특파원】제2차 대전 중징용이란 이름으로 북 해도에 끌려가 강제 노역을 당한 한국인 노무자들의 혹사 실태가 일본의「북해도 한국인 강제 연행 진상 조사단」(단장 미기 일

    중앙일보

    1973.05.15 00:00

  • 북해도에 징용된 한국인

    일본의 「북해도 한국인 강제연행조사단」의 조사결과 20만 명의 한국인이 북해도에 강제 연행돼 의식도 제대로 지급 받지 못하고 혹사당하여 「댐」공사의 희생자만도 1천명 이상이 되었다

    중앙일보

    1973.04.25 00:00

  • (하)「3·1운동」기술 길다고 삭제

    가영교수의 『신일본사』는 지난l952년이래 문부성검정에서 4차의 불합격과 5차의 조건부 (수정)합격, 그리고 합격은 단한번뿐이라는 형극의 길을 걸어왔다. 그래서 지난65년에「불합격

    중앙일보

    1973.04.03 00:00

  • 한국인의 일본관

    독일과 일본은 다같이 군국주의·전체주의 국가로서 서로 동맹을 맺고 각각 「유럽」과 「아시아」에서 제2차 세계대전을 도발했다. 그리하여 독일과 일본은 다같이 「유럽」과 「아시아」에서

    중앙일보

    1972.12.07 00:00

  • (390)피어린 산과 언덕(14)|「노리」고지 전투(1)

    52년 말의 한국전선 상황은 78만의「유엔」군(이중 한국군 12만명)과 1백20만의 공산군이 팽팽히 대치한 가운데 군사분계선 책정에서 피아간에 한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려고 혈안이

    중앙일보

    1972.11.03 00:00

  • 아물지 않은 「상처」|되살아나는 「일색」|광복 27주…한국 속의 일본

    해방 27년-. 15일은 4반세기를 넘게 맞는 광복절. 이때마다 되새기게 하는 한·일의 이웃사이에는 변화도 적지 않다. 한·일 국교 정상화이래 물밀듯 밀려온 일본상품, 가요의 「붐

    중앙일보

    1972.08.15 00:00

  • 한국 마나슬루 등반대 4명 조난 사

    해발 8천1백56m의「마나슬루」원정 중 희생한 제2차 한국「마나슬루」원정「팀」희생자는 등반대장 김호섭씨(29), 송준행(32·상업 부산시산악연맹 총무이사), 오세근(28·조선대학교

    중앙일보

    1972.04.14 00:00

  • 22층 대연 각 호텔에 대화

    25일 상오 9시50분쯤 서울 중구 충무로1가25의2 대연 각 호텔(대표 김용산)2층 커피숍에서 프로판가스 폭발로 불이나 삽시간에 3층·4층 등위로 번져 하오 2시 현재 1층과 지

    중앙일보

    1971.12.25 00:00

  • 허무한 귀환

    『29년 동안의 기다림이 이게 한줌의 재(회)로 돌아왔습니다.』추도사의 일절이다. 29일 부산 금수사에선 태평양 전쟁당시의 한국인 전몰자를 위한 위령제가 베풀어졌다. 이 자리엔 지

    중앙일보

    1971.11.3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