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고대 생활도서관|주민·근로자에 문 "활짝"

    고려 대 총학생회가 운영하고 있는「생활도서관」이 개관 3년이 넘어 고대 생들의 독서· 학습 중심지로 자리 잡아가고 있다. 학생들이 자율적으로 운영하는 이 도서관은 ▲신간서적을 제때

    중앙일보

    1993.06.09 00:00

  • (8)방과후 지도|마음고생 꼴찌에 사랑과 격려

    대부분의 어린이들이 집으로 돌아간 후 조용한 교실에서 몇몇 학습부진 어린이들과 머리를 맞대는 것이 올해로 교직생활 23년째인 박갑대 교사(경북 석보국교)의 한결 같은 일과다. 남들

    중앙일보

    1993.05.27 00:00

  • (7)어려운 여건불구 바른 교육 외길|교총모집「고마운 선생님」사례들

    교육계 비리니 부조리니 하며 야단법석이지만 바른 인간교육에 정성을 다해 수많은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평생 잊을 수 없는「고마우신 선생님」으로 존경받는 선생님들의 이야기가 한국교원단체

    중앙일보

    1993.05.21 00:00

  • 교육풍토 개혁 시민 운동 점화

    학부모의 교육참여라는 말이「치맛마람」「돈봉투」부터 대뜸 떠올리게 되어버린 교육풍토에서 진정 학부모가 해야할 바를 찾기 위한 시민 운동이 교육 주간(10∼16일)을 맞아 다양하게 펼

    중앙일보

    1993.05.11 00:00

  • “찜찜한 돈봉투보다 정성이 담긴 편지를”

    ◎참교육 학부모회 「스승의 날」 맞아 운동/인사말과 함께 자녀의 성격·취미 등 적어 『서로가 부담스러울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선생님의 자존심을 시험대에 올려놓는 돈봉투보다 짧으나

    중앙일보

    1993.05.06 00:00

  • (5)독서지도

    『아빠, 이 책이 좋겠어요.』 그많은 책들 속에서 국민학교 5학년짜리 아들이 용케도 골라낸 역사이야기책을 살펴보며 김영활씨(43·서울 둔촌동)는 여간 흐뭇하지 않다. 찬찬히 책장을

    중앙일보

    1993.04.30 00:00

  • (3)「봉투」추방 방법들 참교육을 위한 학부모회 추천

    『아니, 요즘 선생님들이 어떤 분들이라고…. 학부모가 정말 빈손으로 찾아가도 일년 내내 우리애를 구박하지 않고 잘 가르쳐 줄거라고 생각하세요?』 『눈엣가시처럼 불편하던「봉투」문제를

    중앙일보

    1993.04.16 00:00

  • "참교육"은 교사·학부모가 함께해야…|선생님 우리선생님

    「남보다 잘난 아이」로 기르는게 최대의 목표인 학부모들에게도 미더운 교사가 있을까. 달달 외워 점수따는 시험선수 양성소, 친구를 적으로 여길 수 밖에 없는 학교, 우등생은 우등생대

    중앙일보

    1993.04.02 00:00

  • 정년 앞두고 보람 찾으려 벽지 자원

    사람들은 얼마만큼 타인에게 조건 없이 봉사할 수 있을까. 또 그 봉사를 위해 얼마나「편안함」을 포기할 수 있는 것일까. 절해고도 같은 첩첩산중의 박정수 교사(59)는 이런 물음들을

    중앙일보

    1990.12.21 00:00

  • 장자철학-최진석 옮김

    중국의 고대 철학자이며 사상가인 장자를 새로운 관점에서 해석하고 있는 ????? 『장자철학』이 최진석씨에 의해 우리글로 옮겨져 나왔다. 중국사회과학 박사논문문고의 하나인 지은이의

    중앙일보

    1990.11.04 00:00

  • (16)대입 열풍에 실업 고 교육 "휘청"

    서울 동작구 S공고 3학년교실. 2학기 들어 당연히 취업준비를 위해 모두 현장실습을 나가 텅 비어 있어야 할 교실에서 20명 남짓한 학생들이 「실업고 말년」과는 동떨어진 국어수업을

    중앙일보

    1989.10.31 00:00

  • 달라지는 「어린이 책세계」|삽화사용 과감|중견작가 참여|창작동화 발굴

    창작과 비평사·중앙일보출판국·견지사를 비롯, 샘터·햇빛·현암사등의 출판사들이 전집류가 지배해온 아동도서시장에 문고형태의 단행본을 내놓아 새바람을 일으키고 있다. ▲창작동화의 발굴

    중앙일보

    1988.05.02 00:00

  • "농어촌 국교학생 자율학습 큰 도움"|「안내지」로 자습 버릇 길러

    과밀학급현상이 심각한 도시학교들과는 반대로 농어촌의 학교들은 각 학급의 평균학생수가 30명 안팎으로 점점 줄고있어 일단 이상적인 교육여건을 갖추고 있는 셈. 그러나 실제적으로는 농

    중앙일보

    1987.10.29 00:00

  • 장애자·문제청소년 사랑·용기를 심는다

    『기쁨은 나눌수록 커지고, 슬픔은 나눌수록 작아진다』는 말을 새삼 되새기게 하는 작은 책들이 잇달아 선보이고 있다. 장애자와 청소년 및 그 친구나 가족들의 괴롭고 슬픈 일, 기쁘고

    중앙일보

    1987.04.20 00:00

  • 동심의 목소리-생생하게 전한다|어린이들이 쓴 글 엮은 단행본 출간 잇달아

    어린이들의 생생한 목소리와 눈빛이 그대로 살아 숨쉬는 글들이 잇달아 책으로 엮어지고있다. 어린이는 책의 독자일 뿐 아니라 훌륭한 필자일수도 있음을 보여주는 글모음집들이 최근 부쩍

    중앙일보

    1987.03.10 00:00

  • "참고서 없으면 허전해요"

    『물론이죠. 전과와 수련장은 꼭 필요해요.』 신학기를 맞아 각종 서점이나 백화점이 설치한 참고서 특설매장에서 만나는 국민학교 학생들은 누구나 이구동성으로 입을 모은다. 이들 학습

    중앙일보

    1987.02.28 00:00

  • 아동전집 『우등생 학급문고 클로버 시리즈』 나와

    역사·전기· 문하· 과학 등 총체적 교육을 지향하는 아동전집 「우등생 학급문고 클로버 시리즈」 20권이 중앙일보사에서 나았다. 이 시리즈는 앞서 나온 「하트시리즈」 20권에 이어

    중앙일보

    1985.03.19 00:00

  • 『우등생 학급문고

    중앙일보사가 국민학교 저학년용의 『우등생 학급문고』20권을 펴냈다. 중앙일보사는 역사·전기·문학·과학등을 망라한 총체적 교육지도서 『우등생 학급문고』 60권을 기획, 올 상반기를

    중앙일보

    1984.04.24 00:00

  • (18)가훈 갖기

    『하나, 정의롭게 살자. 둘, 착하게 살자. 셋, 매사에 최선을 다하자.』- Y대부속병원 문 과장(47·서울 갈현동)집의 하루는 집안식구들의 우렁찬 구호합창으로 시작된다. 『가훈선

    중앙일보

    1983.02.02 00:00

  • 학년별 필독서적 지정, 독후감을 성적에 반영

    문교부는 19일 독서의 생활화를 위해 각급 학교에 학년별 필독도서를 선정하고 학생들의 독서결과를 교과성적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문교부는 이날 장학편수실장을 위원장으로

    중앙일보

    1982.02.19 00:00

  • 우열반 만들고 과목별 이동수업으로 성과

    해마다 대학입시가 끝나면 많은 사람들은 출신고교별 명문대학 합격자수에 관해 적쟎은 관심을 보인다. 수험생 자신은 물론 재학생· 교사·학부모들은 더욱 그렇다. 이른바 일류대학 합격자

    중앙일보

    1981.02.02 00:00

  • 아동저축권장문고 『슬기의 열매』발간

    사단법인 저축추진중앙위원회 (회장 신병현·한은총재)는 어린이들에게 근검·절약·저축하는 마음을 길러주기 위한 학급문고 『슬기의 열매』(국민학교 5, 6학년용) 20만5천부를 새로 발

    중앙일보

    1978.11.03 00:00

  • (5)국민학교 반장선거

    『제가 당선된다면 우선 축구공 5개를 마련해 체력증진에 힘쓰는 것은 물론 가장 우수한 축구「팀」을 만들겠읍니다. 힘센 말이 마차를 잘 끌듯이 건강하고 활동적인 사람이 당선돼야 하겠

    중앙일보

    1978.02.02 00:00

  • 무거운 책가방

    무거운 책가방이 지난해부터 심심지 않게 학교생활 개선 논의의 도마 위에 오르고 있다. 지난가을 1주일에 하루를 책가방 없이 등교하는 날로 정하여 아이들을 교실에서 해방시킨 몇몇 초

    중앙일보

    1973.05.10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