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어떤 아쉬움

    지난 일요일, 오랜만에 고향을 찾았다. 내 고향은 면 소재지에서도 3㎞나 떨어진 산골 마을이다. 그래서 언제나 발전도 늦다. 몇년 전까지만 해도 꼬불꼬불한 샛길을 마라 두 시간 남

    중앙일보

    1974.11.13 00:00

  • 참혹한 종말…비정의 현장

    비정의 사건은 최후까지 잔인하기만 했다. 2년여를 세상을 떠들썩하게 했던 사건은 2명의 범인들이 처절한 모습으로 목숨을 끊은 것과 함께 27일 상오 이정수·최덕현씨의 시체를 발굴함

    중앙일보

    1974.07.27 00:00

  • 우리집아이들

    『자녀는 몇남매나 두셨어요?』 처음 뵙게 되는 분이나 또 어느 모임같은데서 곧잘 이런 질문을 받을때 마다 왠지 선뜻 대답해지지않는다. 둘 낳기 운동, 현명한가족계획, 이런 구호가

    중앙일보

    1974.05.08 00:00

  • (31)|앵무새와 물뱀

    「정글」에 많은 것은 뭐니 해도 뱀일 것이다. 아주 큰 것은 아니나 길이 5m쯤 되어 보이는 「스쿠리」 (물뱀)를 물가에서 보았고 독사도 몇 마리 보았다. 어떤 동물보다도 이 뱀

    중앙일보

    1974.04.26 00:00

  • 남한의 소금강 대둔산

    노령산맥이 만경평야를 굽어보며 솟구쳐 절경을 이룬 곳이 대둔산, 산행 몇년만에 아직도 오르지못한 「알피니스트」라면 봄 「시즌」에 대둔산행을 한번쫌 기획해봄직도 하다. 충남 논산군과

    중앙일보

    1974.04.03 00:00

  • 「자립에의 꿈」을 키운다|「불모」를 「농토」로 바꾼 새마을 그 현장

    【주덕=김순현기자】「새마을」의 꽃은 왕손마을에서 남몰래 먼저 피어났다. 충북 중원군 주덕면 제내리 두덕마을-. 이태조 맏아들 방우의 후손 덕량이 임난때 피신하면서(3백80년전) 이

    중앙일보

    1974.01.19 00:00

  • 운동회

    아들이 몹시 기다리던 운동회 날이다.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 어렸을 적 외치던 소리가 이제 푸른 가을하늘에 여전히 울려 퍼진다. 집에서는 철부지로만 보이던 어린 것들이

    중앙일보

    1973.10.23 00:00

  • (15)|제4화 살마소의 명도공 14대 심수관씨(2)|

    동경에서 1시간50분만에 비행기는 녹아도 공항에 내려앉았다. 위도로 따지자면 녹아도 시는 북위 31도35분으로 「아프리카」대륙의 「카이로」와 같은 위치이지만 기후는 전혀 달라 사

    중앙일보

    1973.09.18 00:00

  • (7)동완|U대회대표단임원 동완 교수 방소 수기

    선수촌의 생활은 초반이 상오7시부터 10시, 점심이 하오1시부터 1시, 저녁이 하오7시부터 9시로 식당의「서비스」시간이 한정되어 있고 옥내의 각 구역간의 왕래와 바깥출입을 할 때

    중앙일보

    1973.09.05 00:00

  • 28년만에 다시 본 소련-동완(1)

    「모스크바·유니버시아드」대회에 한국 대표단 섭외임원으로 참가하고 돌아온 동완 교수가 14일간의 체소 견문기를 수기형식으로 엮어 본지에 기고해 왔다. 동 교수는 28년 전 2차 세계

    중앙일보

    1973.08.29 00:00

  • 「체코」의 3박4일(하)

    차가 묘지 앞을 지난다. 「다비데」성석비가 줄이어 선 이곳은 유대인 묘지로 「프란츠·카프카」도 묻혀있다. 「유럽」에서 가장 오래된 「프라하」의 유대인「게토」(집단 거주지역)에 살던

    중앙일보

    1973.08.28 00:00

  • (1)|제1화 선묘녀의 비련과 의상대사①|프롤로그-심층발굴의 의미|글·사진 김승한

    은수 루천년, 유구한 역사의 흐름을 헤치면서 일본 속에 살아 남아 아직도 생동하고 있는 한국문화의 심층을 찾아 나선 여로이다. 이 긴 여로의 첫발을 멈춘 곳은 경도시 서북쪽 50리

    중앙일보

    1973.08.01 00:00

  • 분단의 철책 옆에 통일촌 새 모습-총성 멈춘지 20년 격전의 상양 씻고

    【경기도 파주군 임진면=이두석 기자】 휴전 20년. 귀농선 이북 버려진 땅에 새마을이 들어섰다. 북한의 하늘을 이웃한 이 마을은 이름도 통일촌. 경기도 파주군 군내면 공덕리, 「자

    중앙일보

    1973.07.27 00:00

  • 공피증

    병에 관한 이야기는 언제나 우리를 우울하게 만든다. 생명에의 애정은 인간의 상정이기도하다. 타인의 병일지라도 걱정스러워 지는 것은 당연하다. 경아는 웬일인지 지난해 12월부터 팔과

    중앙일보

    1973.02.17 00:00

  • 여름의 잔해-박범신

    버스가 지나는 도로변에서 8킬로나 산 속으로 떨어져 있는 재실(재실)속의 석진 오빠는 언제나 음산하게 가라앉아 있었다. 색 바랜 작업복을 걸치고 초저녁부터 이즐 앞에서 움직이지

    중앙일보

    1973.01.01 00:00

  • 멸종직전의 천연기념물 황새 한 쌍 날아와-충북 청원군 미호천 변에

    【청원군 미호천=안기영 김재혁 이민종 기자】우리 나라에서는 암놈 1마리만 남아 절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천연기념물 제199호 황새가 최근 충북 청원군 강내면 미호천 변에 완전한 1쌍

    중앙일보

    1972.12.11 00:00

  • 소양강·안동「댐」 수몰지역 문화재 이전피치

    국토개발의 대역사에 옛 조상의 슬기로웠던 발자취가 사라져가는 그 땅에 대역사에 못지 않은 정부의 수몰문화재 구조작전이 「피치」를 올리고 있다. 지난 10일 역사적인 담수가 시작된

    중앙일보

    1972.11.21 00:00

  • (390)피어린 산과 언덕(14)|「노리」고지 전투(1)

    52년 말의 한국전선 상황은 78만의「유엔」군(이중 한국군 12만명)과 1백20만의 공산군이 팽팽히 대치한 가운데 군사분계선 책정에서 피아간에 한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려고 혈안이

    중앙일보

    1972.11.03 00:00

  • (597)북간도|이지택(제자 이지택)

    독립선언서는 계속된다. 『일, 일본의 합방동기는 그들의 이른바 범 일본주의를 아주에 시행하는 것으로서 바로 동양의 적이니라. 이, 일본의 합방수단은 사기와 강박과 불법무도 무력포

    중앙일보

    1972.10.31 00:00

  • 아악 운율 속 고궁 「파티」|경회루 「리셉션」…남북 대화 1시간 넘어

    12일 밤 북적 대표들을 위한 경회루 「파티」는 8백여명의 인사가 모여 「남과 북」 단 한가지의 화제를 놓고 27년간 끊겼던 대화의 회포를 풀었다. 청사초롱이 켜진 가운데 은은한

    중앙일보

    1972.09.13 00:00

  • (2)산·강·길·도시|본사 이광표 특파원 평양 왕래기

    산천은 여구했고 비목도 다를 것이 없었다. 「27년의 세월」에 가렸던 산하가 눈앞에 다가온다. 8월29일 10시40분. 판문점 「돌아오지 않는 다리」를 건너자 펼쳐지는 풍경. 우거

    중앙일보

    1972.09.05 00:00

  • 하늘이 속인다

    호우일과. 하늘이 어쩌면 저토록 파란지 물난리가 거짓말만 같다. 그러고 보면 공해의 서울에서 저토록 파란 하늘을, 저처럼 깨끗한 하늘을 본 기억이 까마득하기만 하다. 삼각지·한남동

    중앙일보

    1972.08.22 00:00

  • (4) 서울 백련사 엄나무

    해마다 6, 7월이 되면 한 그루 엄나무 꽃향기가 백련사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321) 1만5천여평의 널따란 경내를 메운다. 엄나무는 흔히 부르는 이름으로 해동목. 수령 4백60

    중앙일보

    1972.08.04 00:00

  • 역광선

    오늘 24회 제헌절. 때묻고 얼룩질수록 골동품은 귀하다 지. 독과점 규제 않기로. 그 동안은 다리아래서만 소리쳤었군. 불필요한 기념일 줄이기로. 매일같이 거리가 생기는 판인데….

    중앙일보

    1972.07.17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