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앙시평] 감세 우습게 보면 안 된다
이현상 논설실장 7, 9월마다 나오는 주택분 재산세 고지서를 받고 놀랐다. 지난해보다 40% 가까이 줄었기 때문이다. 20% 정도 경감될 것이라는 정부 발표는 있었지만, 훨씬 더
-
[안동현의 이코노믹스] ‘성장 엔진’ 멈춘 중국, 국가주도 모델 이젠 안 통해
━ 갈림길에 선 중국 경제 안동현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 최근 월가를 중심으로 세계 제2위의 경제 대국 중국이 추락할 수도 있다는 위기론이 부상하고 있다. 실제 중국 경제는
-
[세컷칼럼]피크 차이나, 피크 코리아
우리에게는 흔히 ‘IMF 사태’로 통용되는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는 세계 경제학계에서는 ‘아시아 금융위기’로 불린다. 전 세계적 위기로 전이되지 않았다는 의미도 있지만, 위기
-
[중앙시평] 피크 차이나, 피크 코리아
이현상 논설실장 우리에게는 흔히 ‘IMF 사태’로 통용되는 1990년대 후반 외환위기는 세계 경제학계에서는 ‘아시아 금융위기’로 불린다. 전 세계적 위기로 전이되지 않았다는 의미
-
“물가 안 잡힌다, 투자 미뤄라” “이미 근원 물가 꺾이고 있다” 유료 전용
■ 머니랩 프리뷰 「 정보는 돈입니다. 투자자가 금융·자산시장의 이슈와 이벤트를 꿰고 있어야 하는 이유죠. 머니랩이 전문가 6명(그래픽 참조)의 조언을 받아 투자자들에게 꼭 챙
-
“왜 신차 비닐 안 뜯습니까” 현대차 싹 뜯은 ‘정의선 스타일’ 유료 전용
#1. 기아자동차엔 세 가지가 없다. 주력 시장이 없고(homeless), 팔아도 이윤이 남지 않으며(profitless) 결정적으로 정신이 부재하다(spiritless).
-
[팩플] 논란의 '블루체크', 다시 생겼네?…트위터 유료화 작전 실패?
트위터가 공식 계정임을 인증해주는 ‘블루 체크’ 기능의 유료화를 둘러싼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연합뉴스=AP 돈을 내면 트위터가 공식 계정이라고 인증해주는 ‘블루 체크’ 서비스(
-
[세컷칼럼] 지금 재정 긴축할 땐가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옮겨붙었다.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도 역성장이 우려된다. 역성장은 딱 세 차례 있었다. 1980년(-1.7%, 2차 오일쇼크)과 98년(-5.
-
[고현곤 칼럼] 지금 재정 긴축할 땐가
고현곤 편집인 금융시장 불안이 실물경제로 옮겨붙었다. 지난해 4분기에 이어 올해도 역성장이 우려된다. 역성장은 딱 세 차례 있었다. 1980년(-1.7%, 2차 오일쇼크)과 98
-
인구 0.06% 줄었을 뿐인데…“中 쇠락 신호탄” 난리난 이유 유료 전용
장기적으로 우리는 세계가 이전에 본 적이 없는 중국을 보게 될 것이며 우리가 알던 중국은 더는 존재하지 않는다. 새해 벽두부터 중국 인구가 감소로 돌아섰다는 발표가 나오며 세
-
[리셋 코리아] 미국의 보호무역 회귀, 국제연대로 견제해야
안호영 전 주미대사, 경남대 석좌교수·리셋 코리아 외교안보분과 위원 미국 정치학자 에드워드 러트워크는 냉전이 끝날 무렵 “이제 지정학의 시대는 가고, 지경학의 시대가 왔다”고 말
-
韓‧美 동시 호재... 오일머니까지 캐는 현대차, 주가 반등할까
지난해 12월 울산 북구 현대자동차 울산공장에서 임시 번호판을 부착한 완성차가 빠져나오고 있다. 뉴스1 전기차 보조금과 관련해 한국과 미국 정부의 입장이 국내 완성차 업체에 유리
-
韓 뒤집은 IRA 반전 "물가 아닌 테슬라 잡아…바이든 최악 실책"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11월 백악관에서 연설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8월 미국 의회를 통과하고 내년 본격 시행을 앞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대한 불편한 시
-
[진중권 칼럼] 이야기와 정치
진중권 광운대 교수 “이승만 때 친일 청산이 안 된 업보를 짊어져 지금까지 우린 77년을 고통 속에 살았다. 다시는 밀정이나 변절자들이 지금처럼 죄책감 없이 살아가면 결코 안 된
-
[서소문 포럼] AI가 한국 정치에 답하다
정재홍 국제외교안보에디터 미국의 인공지능(AI) 연구재단 오픈AI가 지난 1일 공개한 챗봇 ‘ChatGPT’는 인간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다. 또 사용
-
"'시진핑 퇴진' 구호 놀라운 일…中시위 10년 억압의 결과"
지난 27일 중국 베이징에서 '제로 코로나' 봉쇄 정책에 반대하는 시위자들이 항의의 표시로 백지를 들고 행진하고 있다. EPA=연합뉴스 천안문사태 이후 30여년 만에 중국 전역에
-
[송호근의 세사필담] 아름다운 사람들
송호근 본사 칼럼니스트·한림대 도헌학술원 원장·석좌교수 온 국민이 넋 놓고 하나의 열망으로 수렴된 시간은 얼마 만인가. 정쟁의 소음을 벗어던지고 멋진 한 골을 고대한 시간은 얼마
-
유승민 “레고랜드 끝 몰라…IMF보다 더 고통일 수도”
유승민 전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달 29일 오전 대구 북구 경북대학교 경상대 합동강의실에서 ‘무능한 정치를 바꾸려면’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하고 있다. 뉴스1 경제학자 출신인 유승민
-
학자금 대출 탕감해준다고 인플레이션이 온다고? 유료 전용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간선거를 3개월 앞둔 지난 8월 학자금 대출을 최대 2만 달러(약 2800만원)까지 탕감하는 전례없는 방안을 내놨다가 찬반 논쟁을 부른 바 있다. 공화
-
[이현상의 퍼스펙티브] ‘바이 아메리칸’에 위협받는 ‘메이드 인 코리아’
━ 고래 싸움에 시달리는 한국 경제 이현상 중앙일보 칼럼니스트 “무역협정 준수가 지구를 구하는 일보다는 중요하지 않다.” 친 민주당 성향의 미국 경제학자 폴 크루그먼(
-
[오늘의 톡픽(TalkPick)] “세계화의 퇴조가 눈앞에 와 있다.”
폴 크루그먼 교수. -폴 크루그먼 뉴욕시립대 교수, 6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 칼럼에서- 로봇과 같은 노동력 절감 기술의 발전, 권위주의적 국가 체제에 경제를 의지하고 있는
-
[분수대] 외환위기
조현숙 경제정책팀 차장 외환위기의 정의는 간단하다. 원화와 맞바꿔 쓸 달러(외환)가 모자라 생긴 위기다. 1997년 한국이 경험했다. 한국은 외환보유액이 바닥나며 국가 부도 위기
-
"거품 끝나는 소리? 펑 아닌 쉭"…그래도 8·16대책 필요한 이유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
━ [안장원의 부동산 노트] 8·16 주택공급 확대 대책 안장원 부동산선임기자 “버블(거품)이 끝나는 소리는 ‘펑’이 아니라 ‘쉭’이다."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경제
-
"러·중 흑자 행진, 푸틴·시진핑 약점" 눈길 끄는 크루그먼 분석
블라디미르 푸틴(왼쪽)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지난 2월 4일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 에서 만나 웃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계속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