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대목장·목조각장·번와장·칠장 … 인간문화재 4인 12년 지은 이 절

    대목장·목조각장·번와장·칠장 … 인간문화재 4인 12년 지은 이 절

    최기영 대목장, 박찬수 목조각장, 이근복 번와장, 정수화 칠장 등 네 명의 무형문화재들이 12년에 걸쳐 지은 한마음 선원 부산지원. [사진 한마음 선원 부산지원] 국내 최고의 장인

    중앙일보

    2012.11.16 01:12

  • [시론] 덕수궁에 전통공예 랜드마크를

    [시론] 덕수궁에 전통공예 랜드마크를

    신응수사단법인 한국중요무형문화재기능보존협회 이사장 대목장으로 수십 년간 전국을 누비며 사찰을 짓고 수원화성 장안문, 창경궁·창덕궁·경복궁 등의 복원공사를 했다. 2008년 2월 1

    중앙일보

    2012.10.24 00:38

  • [브리핑] ‘이상 문학강연-통인동 154번지에서 이상을 이야기하다’ 개최 外

    [브리핑] ‘이상 문학강연-통인동 154번지에서 이상을 이야기하다’ 개최 外

    ◆전통 문화의 현대적 계승에 힘쓰는 재단법인 아름지기(이사장 신연균)에서 ‘이상 문학강연-통인동 154번지에서 이상을 이야기하다’를 연다. 이상이 살았던 한옥(사진)에서 그의 생일

    중앙일보

    2012.09.24 00:36

  • 세계 정상들에 선물한 '특수제작' 태블릿PC는

    이틀 일정으로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치러진 ‘2012 서울 핵안보정상회의’가 지난 27일 막을 내렸다. 이번 회의에는 국가 정상급 인사 58명(5개 국제기구 수장 포함)이 참석했

    온라인 중앙일보

    2012.03.30 00:00

  • 58인의 정상 ‘한국의 봄’ 맛본다

    58인의 정상 ‘한국의 봄’ 맛본다

    ‘한국의 봄’. 26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에 제공될 오·만찬의 컨셉트다. 한창 무르익어가는 춘삼월(春三月)의 풍취를 보여주겠다는 거다.  정상급 58명을 위한 2

    중앙일보

    2012.03.23 00:53

  • [f BEST] 김서령의 이야기가 있는 집 ⑩ 권오춘 국어고전문화원 이사장의 양평 한옥 초은당

    [f BEST] 김서령의 이야기가 있는 집 ⑩ 권오춘 국어고전문화원 이사장의 양평 한옥 초은당

    1 권오춘 국어고전문화원 이사장은 “한옥에 앉아 있으니 춤을 추고 싶어지더라”고 했다. 다섯 번 옻칠을 해 거울처럼 반짝이는 마룻바닥과 손으로 지은 명주 두루마기, 활달하게 치켜

    중앙일보

    2012.01.05 05:00

  • 스와로브스키 박은 꽃신, 소목장이 만든 아이패드 거치대

    스와로브스키 박은 꽃신, 소목장이 만든 아이패드 거치대

    moum의 자기세트(왼쪽) 15일 오전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아직 개막식도 열리기 전인데 벌써 삼삼오오 구경 다니는 사람들이 눈에 띈다. 이상철 총감독이 주제관 앞에서 이것

    중앙선데이

    2011.12.17 18:07

  • 또 다른 한류의 꿈, 공예문화상품 ⑧ 공예브랜드 ‘채율’ ‘색동칠보’의 칠보

    또 다른 한류의 꿈, 공예문화상품 ⑧ 공예브랜드 ‘채율’ ‘색동칠보’의 칠보

    칠보(七寶)는 원래 금속공예다. 비녀·노리개·은합·은식기 등 금속 위에 빨주노초파남보의 영롱한 보석가루로 그림을 그려내는 공예다. 칠보라는 말이 일본에서 유래해 일본 공예로 알려지

    중앙일보

    2010.10.25 00:19

  • [2010 세계대백제전] 역사 속으로 시간여행 … 대백제의 혼, 사비궁에 다시 담았다

    [2010 세계대백제전] 역사 속으로 시간여행 … 대백제의 혼, 사비궁에 다시 담았다

    충남 부여군 규암면 합정리 일대에 들어선 3276㎡ 규모의 백제문화단지. 17년 동안 6904억원을 투자한 백제문화단지는 세계대백제전의 메인 무대다. [프리랜서 김성태]2010세계

    중앙일보

    2010.09.15 00:05

  • 또 다른 한류의 꿈, 공예문화상품 ⑥ 정수화 칠장과 작가들의 ‘옻칠’

    또 다른 한류의 꿈, 공예문화상품 ⑥ 정수화 칠장과 작가들의 ‘옻칠’

    전통적 문양이나 형태가 우리 공예의 전부가 아니다. 우리 전통 공예의 경쟁력은 소재에서도 찾을 수 있다. 소재를 현대화하려는 노력이 바로 우리 공예를 세계화하는 또 하나의 방안이

    중앙일보

    2010.08.23 00:05

  • ‘놀라워라 한국 옻칠공예’ 로마 박물관서 온 초대장

    ‘놀라워라 한국 옻칠공예’ 로마 박물관서 온 초대장

    명장 김규장의 나전칠기 3단 서랍(오른쪽)과 십장생함. 나전칠기는 얇게 갈아낸 자개를 옻칠을 해가며 부착한 뒤 다시옻을 발라 완성한다. 청동기 유적지에서도 옻칠한 유물이 발굴될 정

    중앙일보

    2010.04.06 01:10

  • [style&design] 갤러리에 흐르는 명품의 기품

    [style&design] 갤러리에 흐르는 명품의 기품

    1 노재운의 총 8개의 작업으로 이루어진 ‘태평양 PACIFIC’ 가운데 한 작품 2 남화연의 영상프로젝션 ‘오퍼레이셔널 플레이 2009 서울’3 박윤영의 ‘검은 날개’ 시리즈 중

    중앙일보

    2009.10.16 00:01

  • 옻 장인들, 원주에 둥지 틀다

    옻 장인들, 원주에 둥지 틀다

    원주 옻 문화센터에서 수강생들이 옻칠공예를 체험하고 있다. [원주옻칠문화진흥회 제공]원주는 전국 최대 옻나무 산지다. 원주시 땅과 사유지 등 470㏊에 140만 그루의 옻나무가 있

    중앙일보

    2009.10.05 02:06

  • 힘보다 뜻이 컸던 군주의 운명은

    힘보다 뜻이 컸던 군주의 운명은

    신숙주의 영정 이상(理想)을 택한 사육신에 비해 현실을 택한 신숙주의 여유롭고 부귀한 모습이 잘 드러난 영정이다. 그러나 신숙주는 조선시대 내내 사육신과 비교 대상이 되었다. 사

    중앙선데이

    2009.10.01 23:58

  • [우리말 바루기] ‘-장이’와 ‘-쟁이’

    호수공원의 연꽃 향이 맑다. 흙탕물 가득한 곳에서 피어난 작은 우주가 ‘존재’에 대해 물었다. “햇빛과 물과 공기를 가져다 사람들에게 기쁨을 줄 수 있다면….” 글쟁이의 바람은 크

    중앙일보

    2009.06.25 00:12

  • “숭례문 복원 명장들 나선다”

    “숭례문 복원 명장들 나선다”

    화마에 휩싸여 누각 2층이 붕괴된 국보 1호 숭례문은 한국의 대표적 고건축 문화재였다. 금강송을 깎아 누각을 올리고 고유의 곡선미를 살려 기와 지붕을 얹었다. 단청에도 전통 공예의

    중앙일보

    2008.02.20 04:49

  • 국새 제작단

    ▶국새: 민홍규(55) 옥새전각장, 이창수(42) 전통금속공예가, 손우목(41)·윤영준(20) 민홍규 문하생. ▶의장품: 구혜자(66·여) 중요무형문화재 89호 침선장, 김극천(5

    중앙일보

    2008.01.01 04:24

  • [남기고] 낭만주먹 낭만인생 20. 조부의 DNA

    [남기고] 낭만주먹 낭만인생 20. 조부의 DNA

    필자의 아버지(방인묵(左))와 어머니(이춘자). 황해도 일대의 장돌뱅이로 큰 이름을 남긴 분은 내가 알기에 남강 이승훈(1864-1930)선생이다. 그는 유기행상을 해서 번 돈으로

    중앙일보

    2006.04.10 18:13

  • [문화계 소식] 중앙박물관 자원봉사 外

    *** 중앙박물관 자원봉사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지건길)은 국내외 관람객들에게 우리 역사와 전시유물에 대해 설명할 자원봉사자를 모집한다. 중앙박물관(다른 박물관 포함) 특설강좌를 수

    중앙일보

    2003.02.02 18:45

  • [소설]아라리 난장

    제5장 길 끝에 있는 길 그들이 봉환을 남기고 경상북도 봉화로 출발한 것은 그로부터 닷새 뒤였다. 고집을 부리던 봉환은 나중에 합류하기로 약속을 했기 때문에 그와 행동을 같이하려

    중앙일보

    1998.09.05 00:00

  • 전통공예 무형문화재 지정 확대

    앞으로 중요무형문화재 지정이 크게 확대된다. 문화재관리국은 침체에 빠진 전통공예를 활성화하기 위해 현재 29개 종목인 전통공예부문의 중요무형문화재 가짓수를 대폭 늘리기로 했다.이를

    중앙일보

    1996.01.11 00:00

  • 경기 안성 칠장사-고요한 山寺

    깊은 산속에 자리한 산사에서 소슬바람이 전해주는 풍경소리는 마음의 평온을 찾게 하는 힘이 있다. 경기도안성군이죽면칠장칠장산 기슭 무성한 나무터널끝에 자리한 칠장사(七長寺)경내

    중앙일보

    1995.07.14 00:00

  • 漆匠기능보유 洪淳泰옹 별세

    서울시 무형문화재 제1호인 漆匠기능보유자 洪淳泰옹(78.서울종로구견지동110)이 18일 오전6시 서울 영동세브란스병원에서노환으로 별세했다. 강원 횡성출신인 洪씨는 11세때 李王家미

    중앙일보

    1994.07.19 00:00

  • 경기도,냉해영향으로 벼 계획比 23萬섬 減收

    경기도내 올해 벼수확량은 당초 생산계획량 5백13만섬보다 3.7%인 23만여섬이 감수될 것으로 보인다.이는 지난해 생산량5백28만섬(16만2천7백93㏊.10a당 4백67㎏)보다 3

    중앙일보

    1993.10.2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