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7월은 추사의 달"

    문화부는 한국인의 재발견 작업의 일환으로 매달 「이달의 문화 인물」을 선정, 문화 인물 조명을 통한 우리 문화재 조 명작업을 퍼나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7월24일로 탄신 2백4주

    중앙일보

    1990.07.10 00:00

  • 시가 있는 국토기행 |시인 이근배

    한 폭의 그림속에 시를 담고 있는 일은 예사롭다. 그러나 완당 김정희의 세한도만큼 그림과 시가 완벽하게 짝을 짓고 있는 작품은 동서고금에서도 찾기 어려울 것이다. 세한도는 인사동

    중앙일보

    1990.04.08 00:00

  • 추사체연 회원전시회

    추사체연구회(회장 김응섭)는 추사선생 탄신2백주년을 기념하는 회원전을 7월3∼9일까지 세종문화회관 1, 3전시실에서 연다. 이번 전시회에는 고문 윤길중·김건씨, 회장 김응섭씨와 임

    중앙일보

    1986.06.26 00:00

  • 완당친필 문집·서찰공개

    【대전=연합】조선말기 금석학의 대가이자 서예가 완당 김정희선생 (1786∼1856)의 자필문집인 『완당집』의 초고원본 일부와 제주도 유배때 6촌형에게 보낸 서찰등이 처음 공개돼 학

    중앙일보

    1986.04.08 00:00

  • 추사 김정희

    조선 말기의 석학 김정희에겐 호가 많았다. 1백여에 이른다는 관측도 있다. 「추사」는 그가 가장 자주 쓴 호였다. 그러나 「완당」이니, 「완장 노인」이니 하는 호도 흔히 썼다. 그

    중앙일보

    1986.03.21 00:00

  • 김정희선생 기념사업회 발족

    문인이며 사화가·금석학자인 추사 김정희선생 (1786∼1856년) 탄신 2백주년을 맞아「추사 김정희선생기념사업회」가 지난12일 발족됐다. 회장에 이병도씨 (민족문화추진회 이사장),

    중앙일보

    1986.03.17 00:00

  • 「중원」등 개 사적 관광코스 새로 지정

    오는 8월15일 개관 예정인 독립기념관을 중심으로 경기, 충남·북의 중요문화재·사적지를 잇는 5개·문화재관광코스가 새로 설정됐다. 문공부 문화재관리국이 마련한 이 코스는 이제까지

    중앙일보

    1986.02.28 00:00

  • 서양화 김영덕씨 산주제 작품 20여점 선보여

    ○…서양화 중진 작가 김영덕 화백(55)이 산의 풍정을 새로운 조형 언어로 해석한 작품전(1∼9일·조선호텔 지하 조선화랑)을 열고 있다. 『20년 넘게 산행을 하면서 그림으로 시를

    중앙일보

    1985.11.01 00:00

  • 문화유적도 보고 심신도 다지고…|종교명소 많이 찾는다

    최근 역사적인 신앙의 명소를 찾는 발길이 부쩍 늘어났다. 이들은 단체 또는 개인적으로 종교적 선각자의 자취를 찾아 참배를하고 심신을 가다듬는 신도들이 대부분이다. 흔히 성지라고 불

    중앙일보

    1985.10.26 00:00

  • 박물관 순례간송 미술관

    간송미술관은 일반인에게는 널리 알려져 있지 않지만 국내최초의 개인박물관이다. 서울성북동97번지 언덕에 자리잡고 있는 7천여평규모의 북단장에 들어서면 울창한 수림 왼편으로 조촐한 2

    중앙일보

    1985.07.12 00:00

  • 졸업

    볼을 에는듯한 추위 속에서도 대학졸업식 인파의 열기는 아랑곳하지 않는가 보다. 나는 며칠 전 클럽선배가 졸업하는 졸업식장에 참석해 졸업식장 주변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곳곳에서는 도

    중앙일보

    1983.02.28 00:00

  • (10)-벽돌문화속의 개성(2)

    내가 지금 쓰고 있는 이 편지 글씨만 해도 예외가 아닙니다. 그 글씨 하나하나는 모두가 벽돌장과도 같은 것입니다. 왜냐하면 내 손에 쥐어져 있는 것은 붓이 아니라 볼펜인 까닭입니다

    중앙일보

    1982.11.04 00:00

  • (19)제자 : 철정 권창윤|청주 한씨

    한국 최고의 성씨. 한 씨는 그 세 보를 기자 조선(기원전 1l15년)을 출발점으로 적고 있다. 기자조선과 마한 시대를 지배했던 고 왕족의 후예인 삼한 갑족이다. 1대를 30년으로

    중앙일보

    1982.06.12 00:00

  • 사실 꾸며내면 드라마 현실성 잃어|6월2일자 이은성씨 글을 읽고

    방송극작가 이은성씨의 글(중앙일보 6월2일자)에 대해 뻔한 문제들일 듯 싶어 가볍게 쓴다. ⓛ이홍장과「슈폘트」-우리대표간의 회담은 없었다. 조선의 교섭이란 중국과의 교섭에 한 하였

    중앙일보

    1982.06.04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3372)|제76화 화맥인맥 월전 장우성(91)|추사 김정희

    추사(김정희)는 1786년6월3일 충남예산군 신엄면 룡궁리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순조 때 이조판서를 지낸 김노경이고 어머니는 유씨다. 어머니 유씨가 추사를 잉태, 24개월만에 출

    중앙일보

    1982.03.25 00:00

  • 남기고 싶은 이야기들3367|(제76화) 화맥인맥 월전 장우성(86)|의재 허백련

    의재(허백련)는 1891년 음력동짓달 초이튿날 전남 진도에서 태어났다. 의재는 조선시대 말엽의 서화가로 추사(김정희)의 격찬을 받았던 소치(허 유)의 집안이다. 소치는 의재의 종고

    중앙일보

    1982.03.19 00:00

  • 인선

    화예 (한문) ▲흥덕왕칙명 (이기종) ▲난의송심 (김호) ▲맹생환령(주수창) ▲손라정서보 (송천식) ▲임백씨초당기 (박인혁) ▲고운선생시 (금봉근) ▲이퇴계선생시 (임호철) ▲주자

    중앙일보

    1981.05.16 00:00

  • 제72화 비관격의 떠돌이 인생(1)김소운

    벌써 40여년 전이 세상을 떠난 분이지만, 영남 일대에서는 널리 이름이 알려진 하성파라는 서예가가 있다. 추사체로는 당대 재1인자로 불리던 분이다. 나는 이분과 생전에 일면식이

    중앙일보

    1981.01.06 00:00

  • 한·일 정통다도 비교회 개최|한국은 「예절」, 일본은 「청결」|주발식과 청주잔 닮은 찻잔도 이색

    다례의 맥을 찾아 정통다도를 재현키 위한 한일양국의 다도비교회가 20일상오10시 설악산 「파크·호텔」에서 열렸다. 이날 다도회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다례를 비교 소개하고 우리의 정통

    중앙일보

    1980.04.22 00:00

  • 온양 민속박물관 개관 1주년 서도전|25∼11월 30일 충남 명현 30인의 필적·유물도

    온양민속박물관(관강 김?직)은 25일 개관 1주년을 맞아 충남명현유품전과 심당 김재·희재 황규동씨의 서도전을 열고 있다. 25일부터 11월30일까지 열리는(특별전시실) 충남명현유품

    중앙일보

    1979.10.26 00:00

  • 우종완씨 서예전|조계사 화관에서

    춘포 우종완씨의 서예전이 18일까지 조계사 불교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동국대 교수로 추사서체 보전연구회 부회장직을 맡고 있는 우 교수는 추사선생의 제자였던 성파 하동주 선생으로부터

    중앙일보

    1979.07.10 00:00

  • 폐전 직전에 제 모습을 찾은 완당 김정희선생 고택

    한국이 낳은 최대의 서예가이며 보학자이기도 한 완당 김정희선생 (1786∼1856) 의 고택이 1백23년만에 비로소 일부나마 제 모습을 되찾게 됐다. 충남 비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중앙일보

    1979.04.19 00:00

  • 국립박물관에 기증된 수화유품(김환기)·도산초상화(안창호)

    □…두 화가의 유품 및 작품이 지난l월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기탁되어 화재를 모으고 있다. 작고한 유학가 수화 김환기씨의 유품은 2백42점의 많은 분량인데 장기기탁형식으로 박물관

    중앙일보

    1979.02.06 00:00

  • 김홍현씨 서예전|서울 미술회관

    김홍현씨(75) 서예전이 16∼22일 서울미술회관에서 열리고 있다. 김씨는 하재원 하동주의 뒤를 이어 3대째로 추사선생의 직계필통을 이어받고 있다. 일본과 미국에서 개인전을 가졌으

    중앙일보

    1978.01.16 0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