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 푸른광장|다각개발·혁신 영농을 위한 「시리즈」 |토양이 필요없는 수경재배

    소득이 높아지면서 식생활도 변모하고 있다. 겨울철에도 값비싼 싱싱한 오이나 상치를 찾고 한 여름에도 김장김치처럼 포기 배추로 김치를 담그는 가정이 늘고 있다. 식생활의 탈계절 현상

    중앙일보

    1978.10.20 00:00

  • 「역이민」미국에 이민간 한국인들|되돌아오는 사함이 늘었다

    미국을 지상천국으로 알고 이민 왔던 한국인들 중에서 미국 생활에 끝내 적용하지 못하고 한국으로 되돌아가는「역이민(역이민)」현상이 최근 눈에 띄게 나타나고 있다. 이 같은 역이민 현

    중앙일보

    1978.10.13 00:00

  • (121)다각 개발·혁신 영농을 위한 「시리즈」|과실 수급의 「시스팀」화

    다른 농산물도 그렇지만 과실은 특히 계절에 따른 수급 불균형이 심하다. 성 출하기에 한꺼번에 물건이 쏟아져 나와 값이 폭락됐다가 출하기만 지나면 값이 폭등한다. 반면 국민의 소비성

    중앙일보

    1978.10.06 00:00

  • 고추파동 겪은 농수산부, 이번엔 인사선풍 일듯

    배추·고추·마늘 등 채소와 양념류 파동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는 농수산부에 고추파동이 매듭지어지는 대로 인사선풍이 불 것이란 얘기가 최근에 나돌아 이중으로 어수선한 분위기. 인사선풍

    중앙일보

    1978.09.28 00:00

  • 이순신 존경하는 카자흐인

    신현확보사부장관 일행은 주말을 이용하여 「타슈켄트」의 농촌을 시찰했다. 다음은 중앙일보 동경주재 김두겸특파원에게 전화로 알린 인상기다. ○…「타슈겐트」시에서 조금 떨어져있는 집단농

    중앙일보

    1978.09.11 00:00

  • (14)소득세 모르는 7천5백명 인구의 부국-나우루

    서 남태평양의 작은 섬나라「나우루」. 그런 나라도 있는가고 되물을 정도로 모르는 사람이 태반이지만「나우루」는 놀라운 부국이다.「나우루」는 그 인구가 7천5백명을 넘지 않고 땅덩어

    중앙일보

    1978.07.28 00:00

  • (4)-최호진 교수

    『우리같이 경제공부하고 학생들 가르치는 사람, 지금 얼굴을 들 수 없구먼. 하나도 들어맞지 않으니 말이야.』백발의 경제학자 최호진 박사(연세대 대학원장)는 이 여름이 더위에 땀내

    중앙일보

    1978.07.25 00:00

  • 공산「우고」에도「블루진」과「팝송」의 물결

    【베오그라드=윤경헌 특파원】노동자들의 부산한 걸음걸이, 시내전차들의 경적 소리로「베오그라드」의 아침은 새벽 일찍부터 활기를 띤다. 이른 아침부터의「러시아워」는 야간작업을 끝낸 노동

    중앙일보

    1978.05.30 00:00

  • (114) 가뭄을 이기는 관수요령

    「이스라엘」이 사막에 물을 끌어 올려 푸른 「오린지」농원을 만들고 여기서 생산되는「오린지」를 「유럽」에 수출까지 하고 있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사막을 가꾸어야 하는 「이스라

    중앙일보

    1978.05.18 00:00

  • (5)투기는 공적이다

    남산중턱에 자리잡은 D음식점. 그 한구석에서는 주말마다 조그마한 계모임이 벌어진다 .계원이래야 6명 무역회사 중역인 L씨, 은행중견간부인 P씨 ,정부중앙부서의 국장급인 C씨 ,그리

    중앙일보

    1978.04.26 00:00

  • (3)갈수록 가벼운 장바구니

    서울 반포 「아파트」32평형에 살고 있는 주부 김연희씨(33)는 3월 중순 봄 기성복을 사 입으려고 반포 상가내 기성복 대리점에 들어갔다가 어안이 벙벙해졌다. 3만원이면 수수한 정

    중앙일보

    1978.04.17 00:00

  • (1)잃어버린 계절

    『물가는 흐른다』-이말 한마디로 지난 3월 28일의 물가대책회의는 분위기가 일순 누그러졌다. 물은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법. 올 들어 처음으로 지난 3월 15일부터 25일까지의 순

    중앙일보

    1978.04.13 00:00

  • 우스와야의 동포

    우리나라에서 지구를 꿰뚫으면 어디가 나올까. 지구의를 돌려보면 남미의 남단쯤이 될 것 같다. 여기는「아르헨티나」와「칠레」가 나란히 길게 뻗어 있는 곳이다. 우리나라에선 그야말로 지

    중앙일보

    1978.03.09 00:00

  • 남극의 길목서 야채를 심는「코레아노」|문명근씨 일가 지구 최남단 도시「우스와야」에 산다

    【우스와야=송진혁 특파원】남극에서 가장 가까운 남미대륙에서 황무지를 개간, 한국식 농 법으로 야채를 가꿔『신선한 채소는 금보다 더 귀하다』는 남극대륙과 남부「아르헨티나」인들에게 공

    중앙일보

    1978.03.08 00:00

  • 북간도에·한국인 75만명이 살고있다-30년안에 일본에 돌아간 일인이 밝혀

    【동경=김두겸특파원】북간도에 살고있는 한국인75만명은 비록 문화적 생활은 못하고있으나 경제적·사회적 생활은 중공인과 큰 차별없이 지내고 있는것으로 확인됐다. 4살때 북간도에 건너가

    중앙일보

    1978.02.28 00:00

  • 7백씨족 가진 천혜의 악원|원무재 개발에 한국 진출 기대 76년에 수교|【글·사진 「포트모르즈비」서 이위기 특파원】낯선곳을 찾아 「세계속의 한국」을 비춰본다

    달나라도 갈 수 있는 요즘. 넓다던 세계도 이제는 아주 좁아졌다. 그러나 42억 인구가 모여 사는 이 지구촌에, 도시생활에서의 옆집처럼 낯설게 지내는 나라가 너무 많다. 우리에게

    중앙일보

    1978.01.06 00:00

  • (중)|공산 사회의 민박

    우유를 썩인 「요구르트」한 그릇을 단숨에 먹어 제치곤 기분 좋다하는 시늉을 하니까 집 주인 딸 「비올레타」가 달라지도 않았는데 한 국자 더 떠다주면서 이걸 이 나라 말로 「키셀로·

    중앙일보

    1977.11.03 00:00

  • (37)만성피로엔 『알칼리』성 식품이 좋다

    정상 건강인의 피로라는 것은 「과도한 근육통이나 정신노동 후에 초래되는 생리현상으로 독특한 질병감을 동반하는 육체 및 정신의 기능감퇴」로 정의된다. 그러나 피로를 정확히 어떠한 상

    중앙일보

    1977.08.18 00:00

  • 선거 제도 개혁할 필요 없다|박 대통령, 진해서 기자 회견

    박정희 대통령은 11일 참관인 제도나 선거구 조정 문제 등 현행 선거법 개정을 『정당한 이유가 있는 것이면 고려해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진해 휴양지에서 기자 회견을

    중앙일보

    1977.08.11 00:00

  • 김칫국 요법

    우리 속담에『김칫국부터 마신다』는 얘기가 있다. 앞뒤도 모르고 덤벙대는 사람을 빗대놓고 하는 말이지만, 달리 생각하면 옛날 사람들의 생활풍정이 깃들여 있는 것도 같다. 불시에 졸도

    중앙일보

    1977.02.22 00:00

  • (4)부가가치세 신설

    납세고지서를 받아들고 세금이 너무 많다고 불평을 터뜨리는 사람도 고지서 없이 물건값이나 숙박료 등에 얹혀 나오는 세금-간접세에 대해서는 아주 둔감하다. 우리가 소매상에서 1병에 4

    중앙일보

    1976.12.06 00:00

  • (2)나도 한몫(상)

    1억「달러」를 돌파했던 지난 64년11월30일(제1회 수출의 날)당시만 해도 수출상품의 품목 수는 모두 30개에 불과했고 그나마 농수산물 및 광산물이 거의 전부였다. 한데 지금은

    중앙일보

    1976.12.02 00:00

  • 「장바구니 물가」의 안정

    가계에서 실지로 느끼는 물가의 상승률은 매우 높은데 반해서 물가 지수의 상승률은 높지 않아 소비자들이 물가 지수를 믿지 못하겠다고 불평하는 경우가 많다. 올해 들어 소비자 물가는

    중앙일보

    1976.11.22 00:00

  • 김장값 풍작…적기는 11월 말

    올 가을 김장용 소채류의 작황은 평년작을 웃도는 풍작이 예상. 주부들의 김장 걱정을 덜어 줄 것 같다. 농수산부의 최근 집계에 의하면 올 가을 김장용 배추의 수요량은 전국적으로 총

    중앙일보

    1976.10.12 00:00